+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Date post: 19-May-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2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332
Transcript
Page 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11-1480523-000521-01NIER NO. 2009-68-1124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Ⅲ)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Ⅲ)

Ecosystem Assessment Division

Ecolog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Ⅲ)

생태연구부 생태평가과

김종민, 길지현, 김영하, 이창우, 이도훈, 김재헌, 김명진

(주)생물다양성연구소 양현, 최성국, 장준호, 고재근

(주)에코캠프 김종범, 강성욱, 장석원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Ⅲ)

Jongmin Kim, Jihyon Kil, Youngha Kim, Changwoo Lee, Dohun Lee,

Jaehun Kim, Myungjin Kim

Ecosystem Assessment Division

Ecolog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Hyun Yang, Sungkuk Choi, Junho Jang, Jaekeun Koh

Institute for Biodiversity Research

Jongbum Kim, Sungwook Kang, Sukwon Jang

Asia-Pacific Amphibians and Reptile Institute

2009

Page 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i -

요 약 문

1. 제 목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Ⅲ)

2. 목 적

o 국내 도입 외래종 중 생태계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

는 10종을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로 지정하여 관리(야생동·식물보호법)

o 이들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각 종별 분

포현황과 개체수 증감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3. 연구배경

o 야생동·식물보호법 제25조(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의 관리 등)에 의하여 환

경부장관은 생태계교란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조

사·평가하고 생태계교란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o 야생동·식물보호기본계획(‘05. 12) 및 생물자원보전종합대책(’05. 1)에 의하

여 도입 외래종에 대한 생태 조사·연구 및 생태계교란종 지정·관리 강화

o 『생태계교란종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06. 4~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결과에서 주관기관 및 방법을 제안

o 제안된 방법에 따라 환경부에서 국립환경과학원에 예산 재배정(‘09. 2)

4.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조사 기간 : '09년 1월 ~ 12월

나. 조사 횟수 : 연 2 ~ 3회(계절별 또는 다수 출현 시기)

다. 조사지역수 : 황소개구리 등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10종 29개 지역

Page 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ii -

종 별 지 역 종 별 지 역

황소개구리 4지역 서양등골나물 3지역

붉은귀거북 3지역 털물참새피 3지역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3지역 물참새피 2지역

돼지풀 3지역 도깨비가지 4지역

단풍잎돼지풀 4지역 합 계 29지역

라. 조사대상 종별 모니터링 방법

(1) 황소개구리

- 포획조사: 투망(10회)과 족대(40분)를 사용하여 조사, 통발(4회) 설치 후

수거

- 목견조사: 포획조사구 주변 수변(100x5㎡) 종 및 개체수 관찰

- 공서종 파악

(2) 붉은귀거북

- 포획조사: 뜰채와 투망 이용

- 목견조사: 포획조사구 주변 수변(100x5㎡) 종 및 개체수 관찰

- 공서종 파악

(3)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 하천별 어류상: 투망(망목: 5×5㎜, 10회)과 족대(망목: 4×4㎜, 40분) 사용

- 식이물 분석: 루어낚시 포획(200㎜ 이상 개체) 후, 위 적출

(4)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 식물 6종

- 생육위치: 표지목 설치 후, 좌표 및 사진 기록

- 생육현황: 방형구 추출(5x5㎡, 3회) 통한 표본조사

- 동반 출현종 조사: 분포면적 내 (30m 길이) 분포종 도보조사

Page 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iii -

5. 연구결과

가. 황소개구리

(1) 개체수의 지역별 비교

무안(저수지) 청주(하천) 하의도(도서) 나주(저수지)

목견 성체 50, 유생 5 성체 9 성체 7 성체 91

포획 유생 112 유생 0 유생 12 성체 1, 유생 13

(2) 년도별 비교

- 2007년도

무안(저수지) 청주(하천) 하의도(도서) 나주(저수지) 계

목견 성체 134 성체 1 성체 211 성체 252 성체 598

포획 유생 68 유생 194 유생 0성체 4

유생 97

성체 4

유생 359

계 202 195 211 353 961

- 2008년도

무안(저수지) 청주(하천) 하의도(도서) 나주(저수지) 계

목견 성체 52성체 11

유생 1성체 14

성체 289

유생 426

성체 366

유생 427

포획성체 1

유생 200유생 13 유생 0

성체 16

유생 28

성체 17

유생 241

계 253 25 14 759 1051

Page 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iv -

- 2009년도

무안(저수지) 청주(하천) 하의도(도서) 나주(저수지) 계

목견성체 50

유생 5성체 9 성체 7 성체 91

성체 157

유생 5

포획 유생 112 유생 0 유생 12성체 1

유생 13

성체 1

유생 137

계 167 9 19 105 300

나. 붉은귀거북

(1) 붉은귀거북의 년도별 비교

전주 덕진연못 함평 대동저수지 울산 태화강

2007년도 15 1 27

2008년도 11 3 2

2009년도 26 1 3

다.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1) 제 1지역: 진위천 수계

- 전체적으로 전년도에 비해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개체수가 증가하

였고, 특히, 상류인 조사구 A에서의 출현률이 다소 높아짐.

(2) 제 2지역: 만경강 수계

- 큰입배스는, 조사구 A에서 출현량이 높았고, 파랑볼우럭의 경우, 조사

구 B에서 출현량이 매우 높고, 조사구 D에서는 출현하지 않음.

-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조사구 A의 경우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개

체수 증가.

Page 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v -

(3) 제 3지역: 용담댐호

- 전년도와 비교해 보았을 때, 출현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체량에

있어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음.

라. 돼지풀

- 3년간 조사한 자료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대상식물종 피도 증

가에 따라 식물체의 키, 공서종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연천) 141 131 77 35 48 20

제 2지역(남원) 184 161 138 35 81 88

제 3지역(전주) - 132 134 - 58 80

마. 단풍잎돼지풀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파주) - - 217 - - 85

제 2지역(부산) - 270 193 - 83 88

제 3지역(고양) - - 207 - - 80

제 4지역(인천) 328 315 252 83 73 85

Page 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vi -

바. 도깨비가지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화순) - - 65 - - 86

제 2지역(영암) 91 77 65 55 53 91

제 3지역(화성) 73 96 62 43 46 78

제 4지역(제주) - - 32 - - 31

사. 서양등골나물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평화의공원) - 100 100 - 66 95

제 2지역(남산공원) 115 120 101 75 55 80

제 3지역(남한산성) 108 103 98 32 52 77

아. 털물참새피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제주) 37 107 63 53 46 98

제 2지역(나주) 110 99 58 61 53 91

제 3지역(해남) 115 82 56 63 46 95

제 4지역(창녕) - 145 - - 90 -

Page 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vii -

자. 물참새피

지 역식물체 높이(㎝) 피 도(%)

‘07 2차 ‘08 2차 ‘09 2차 ‘07 2차 ‘08 2차 ‘09 2차

제 1지역(고흥) 49 118 55 76 60 93

제 2지역(제주) 101 86 69 88 73 96

제 3지역(진주) - 94 - - 88 -

차.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전국분포조사

(1) 돼지풀

- 전국에 군생 또는 산재형태로 분포하며 총 137지점에서 확인

- 나지, 공터 등 양지에 주로 군락을 이루거나 산지, 하천변, 경작지 등에

산재

(2) 단풍잎돼지풀

- 강원도, 경기북부, 부산에 대규모 분포하며 총 140지점에서 확인

- 숲과 경작지 주변 및 길가, 하천변을 따라 분포

6. 결론

가. 생태계교란야생동물

(1) 황소개구리

- 성체는 나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나 무안에서는 유생이 상당수 출

현하여 향후 확산 방지를 위해 무안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우선적으로

제거 필요

(2) 붉은귀거북

- 전주 덕진연못에서 다수의 개체가 출현하여 제거 필요

Page 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viii -

(3)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 진위천 수계: 전체적으로 전년도에 비해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개체

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상수원 보호구역인 조사구 A는 출현량이 매우

높아져 관리 필요

- 만경강 수계: 조사구 A는 전년도에 비해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개체

수가 증가하였고, 고산천 등 확산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확산 방지

필요

- 용담호: 파랑볼우럭이 전년도에 비해 개체수가 증가하였고, 큰입배스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새우류의 피식률이 전년도에 비해 낮아져 개체군 감

소조치 필요

나.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 확산지역은 관리로 인하여 확산이 증폭되는 경

향이 있어 과학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조사지역에서 대개 피도가 증가

된 경향을 보였음

(2) 서양등골나물

- 서양등골나물은 조사지역에서 모두 밀도와 피도가 전년도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분포가 한정되어 집중 관리시 효과적인 제거 기대

(3) 도깨비가지

- 도깨비가지는 자연생태계에서 확산이 저조하고 전년도에 비하여 조사

지역에서 피도와 밀도 등이 감소하였으며 확산이 국지적이기 때문에

집중관리로 효과적인 제거 가능

(4)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 털물참새피는 나주, 해남 조사지에서 출현이 증가하고 물참새피는 제

주의 조사지에서 출현이 약간 감소하였으며 수로 정비사업에 연계하

는 등 집중적인 관리 효과 기대

Page 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ix -

7.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방법 개발 및 관리 자료집 작성

o 선형/면형 조사방식 개발 및 16종에 대하여 160개 모니터링 지역 선정

및 방식 도출

o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자료집‘ 작성 (16종, 환경부가 책자 발간)

8.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건의

o 생태계교란종 관리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o 지속적인 외래종 분포 정보 축적에 활용

o 생태계교란종 관리계획 수립과 관리 성과 평가에 연계

o 조사연구결과의 홍보 교육과 관리 지원

Page 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 -

목 차

요 약 문 ··························································································································ⅰ

목 차 ·························································································································ⅹ

Abstract ·························································································································ⅹⅳ

서론 ···································································································································1

제 1장 생태계교란야생동물

제1절 황소개구리 ··········································································································2

Ⅰ. 서론 ··························································································································2

Ⅱ. 조사방법 및 내용 ·································································································3

1. 조사지역 ···················································································································3

2. 조사시기 ···················································································································3

3. 조사방법 ················································································································· 4

Ⅲ. 조사결과 ··················································································································5

1. 조사지역별 황소개구리 개체수 ···········································································5

2. 황소개구리 개체수의 년도별 비교 ·····································································9

3. 조사구의 수질 분석 ·····························································································12

Ⅳ. 고찰 ························································································································14

제2절 붉은귀거북 ········································································································15

Ⅰ. 서론 ························································································································15

Ⅱ. 조사방법 및 내용 ·······························································································16

1. 조사지역 ···············································································································16

Page 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i -

2. 조사시기 ···············································································································16

3. 조사방법 ···············································································································16

Ⅲ. 조사결과 ················································································································17

1. 조사지역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17

2. 붉은귀거북 개체수의 지역별 비교 ·································································20

3. 붉은귀거북 개체수의 년도별 비교 ·································································20

4. 조사구의 수질 분석 ···························································································22

Ⅳ. 고찰 ························································································································23

Ⅴ. 참고문헌 ················································································································24

제3절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25

Ⅰ. 서론 ························································································································25

Ⅱ. 조사방법 및 내용 ·······························································································26

1. 조사지역 ···············································································································26

2. 조사시기 ···············································································································29

3. 채집방법 ···············································································································30

4. 식이물 분석 ·········································································································30

Ⅲ. 조사결과 및 고찰 ·······························································································31

1. 큰입배스 ···············································································································31

2. 파랑볼우럭 ···········································································································81

Ⅳ. 결론 ······················································································································131

Ⅴ. 구제방안 ··············································································································134

Ⅵ. 참고문헌 ··············································································································139

Page 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ii -

제 2장 생태계교란야생식물

Ⅰ. 서론 ························································································································140

Ⅱ. 조사방법 ················································································································141

Ⅲ. 대상종별 모니터링 결과 ···················································································141

제1절 돼지풀 ·············································································································141

1. 조사시기 및 지역 ·····························································································141

2. 조사결과 ·············································································································142

제2절 단풍잎돼지풀 ································································································150

1. 조사시기 및 지역 ·····························································································150

2. 조사결과 ·············································································································153

제3절 서양등골나물 ································································································162

1. 조사시기 및 지역 ·····························································································162

2. 조사결과 ·············································································································162

제4절 털물참새피 ····································································································172

1. 조사시기 및 지역 ·····························································································172

2. 조사결과 ·············································································································174

제5절 물참새피 ·········································································································185

1. 조사시기 및 지역 ·····························································································185

2. 조사결과 ·············································································································185

제6절 도깨비가지 ····································································································194

1. 조사시기 및 지역 ·····························································································194

2. 조사결과 ·············································································································197

Page 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iii -

Ⅳ.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전국분포조사 ································································206

1. 돼지풀 ·················································································································206

2. 단풍잎돼지풀 ·····································································································209

Ⅴ. 고찰 ························································································································222

Ⅵ. 참고문헌 ················································································································227

제 3장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개선안

Ⅰ. 개요 ························································································································228

Ⅱ. 선형과 면형 모니터링 ·······················································································229

Ⅲ. 종별 모니터링 ·····································································································233

1. 생태계교란야생동물 모니터링 ·······································································233

2.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모니터링 ·······································································251

Ⅳ. 현장조사표 ············································································································287

Ⅴ. 참고문헌 ················································································································313

Page 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iv -

Abstract

We monitored 10 ecosystem disturbing plant and animal species in Korea

in 2009. Distribution, growth pattern, density, species composition and

ecosystem impact of each species were surveyed to reveal the population

change over years. Management suggestions for each species were also

established. Rana catesbeiana was under good control at Cheongju and

island Hawido monitoring sites due to repeated catch of alien species and

persistence of Channa argus,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Trachemys spp. showed increased in 2009 compared to 2007 and 2008 at

Jeonju monitoring site. Overgrowth of lotus at the monitoring sites might

contribute to stabilize Trachemys spp. population.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showed some fluctuation in population size at all

monitoring sites during 2007-2009 survey period; these have been firmly

naturalized with 2-20% relative abundance in density. Most of the

ecosystem disturbing plant species showed steady increase in coverage with

some fluctuation at their monitoring sites. Monitoring schemes are

developed for 16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ith total 160 monitoring

sites, which will be in use from 2010. Monitoring sites are defined as

linear or areal unit to reveal nation-wide distribution in detail. Details on

the monitoring results were followed.

1. Rana catesbeiana : The numbers of bullfrog adults observed were 50, 9, 7

and 91 at Muan, Cheongju, Hawido and Naju, respectively. Bullfrogs

were under sufficient control at Cheongju by catching and Hawido in

the presence of snakehead fish, Channa argus. The bullfrog populations

Page 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v -

at Naju and Muan monitoring sites showed no drastic change during

the last 3 years. Either biological control or catching seems to be

effective to manage bullfrog in small semi-closed waterbody.

2. Trachemys spp. : Red eared slider was under fairly good control at

Hampyong and Ulsan monitoring sites. However, the number of red

eared slider increased at Jeonju monitoring site, Dukjin pond possibly

due to lotus-covered water surface, which made difficult to catch it

from the pond. It is recommended to remove red eared slider at pond

Dukjin in spring or in winter with little lotus vegetation simultaneously.

3. Micropterus salmoides & Lepomis macrochirus : In Jinwicheon stream, the

number of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increased remarkably, especially

in A site at the upper stream. In Mangyeonggang river, the number of

largemouth bass Lepomis macrochirus in A site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sites; the number of bluegill, Micropterus salmoides in B site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sites. In Yongdamho dam, the numbers of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were increased, comparing with the

numbers in the previous yea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omass.

4. The coverages of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and A. trifida

increased at the 7 monitoring sites among 8 in 2009 compared with the

result in the previous year. Their rigorous growth was brought by

repeated wild management leading to severe disturbance of soil layer

and vegetation. It is strictly required to conserve soil layer and

vegetation in the removal of alien species.

Page 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xvi -

5. The coverages of Eupatorium rugosum at the monitoring sites of Namsan

park, Hanuel park and Namhansan increased in 2009. E. rugosum might

be rather easily managed by intensive removal: Its distribution is quite

limited in the distribution sites.

6. The distribution areas of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in Jeju

monitoring sites were smaller in 2009 than in the previous year. In

Naju and Haenam, the distribution areas of P. distichum var. indutum

were increased in 2009. It is required to dig out all creeping stems and

roots of these two speci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7. The populations of Solanum carolinense in natural ecosystem monitoring

sites experienced decrease during the road vegetation management in

Jeju and Kwangju. The populations of S. carolinense remained stably at

the pasture monitoring sites in Youngam, Hwasung and Jeju. S.

carolinense can exert little harm on the wild because its spread is quite

limited in nature.

Page 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 -

서 론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침입외래종이란 도입, 정착하여 귀화하는 과정을 통하

여 그들의 생존 범위를 넘어 확산함으로써 심각한 생태적 영향을 미치는 종을

가리킨다(CBD 2007).

매년 수많은 동식물들이 그들의 자연적인 서식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지역으

로 확산되고 있다. 이들 비토착 외래종의 많은 수가 새로운 생태계에 적응하

여 토착 식물 혹은 동물의 생태적 군락 내 생태적 지위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침입의 결과, 생태계에 미미한 영향부터 심각한 위협이 되기도 한다. 침입종은

자생종과 경쟁하여 생태계를 변화시키거나 자생 식물 혹은 동물군 뿐 아니라

인간에 질병을 초래하기도 한다(Andow 2003).

생물학적 침입은 남아프리카에서의 HIV 감염 확산과 같이 때로 심각한 방

향으로 사회를 위협하기도 한다. 침입종의 관리는 어느 면에서는 매우 특별한

종류의 공공의 선을 수행하는 방편이 된다. 한 종의 본래 생존 범위는 물류나

사람의 이동과 관련하여 침입 범위내로 확대된다. 따라서 침입종의 관리는 한

지역 뿐 아니라 그 종이 확산되어 정착하는 지역, 즉,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

인 협조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효과적일 경우가 많이 있다(Perrings 2002).

미국은 외래식물을 포함한 외래생물종의 유입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연간 40억 달러 이상의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그 관리비용은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Daszak et al. 2000). 외래종의 침입은 초기에는

느리게 진행되다가 가속화하는 경향이 있다(Veit and Lewis 1996).

환경부에서는 야생동·식물보호법(2005)에 고시된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10

종, 즉,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과 물참새피, 털물참새피, 도깨

Page 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 -

비가지 등 식물 6종과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등 동

물 4종을 선정하여 특별 관리하고 있다.

본 조사는 3차년도로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10종에 대해 장기적이고 체계

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외래종에 대한 기초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러

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외래종의 효율적 관리와 방제 및 생태계 복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Page 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 -

제 1장 생태계교란야생동물

제1절 황소개구리

Ⅰ. 서론

황소개구리는 개구리과에 속하고 올챙이의 크기 10~13㎝, 성체는 12~45㎝,

평균 체중 200~400g에 달한다. 국내에는 강원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거의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곤충, 어류, 국내 토종개구리는 물론 뱀까지 잡

아먹는 탐식성 양서류로서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교란하고 자연생태계를 파괴

하며 새우, 참게 양식장 등에도 무차별적으로 침입하여 양식장을 훼손하는 등

의 악 영향을 끼치고 있다.

황소개구리의 원산지는 미국 남캐롤라이나주로서 우리나라에는 지난 1971년

부터 식용을 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각 농가에서 다량으로 사육되었다.

그러나 수지타산이 맞지 않고 뚜렷한 소비처가 없다는 이유로 사육농가들이

이를 무단 방류, 1970년 중반부터 국내 각 수계에 야생으로 확산되기 시작했

다. 전국의 저수지, 댐, 강, 하천 및 물이 고여 있는 지역, 강화도 등 일부 도

서지방에서 서식하고 있으며(전국 250개 조사지역 중 분포율 약 40%) 우리나

라 기존 개구리류에 비해 월등히 큰 체구(참개구리에 비해 크기는 약 2배)를

지니고 있어 야외에서 쉽게 구분된다. 어린 개구리는 머리부터 등에 걸쳐 녹

색을 띠고 있고 성장에 따라 흑색으로 바뀌고 어린 개구리의 성장속도는 매우

빨라 부화된 지 2년 후에는 어른 개구리로 자라며 몸의 크기는 12~20㎝ 전후

이다. 울음소리가 황소가 우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황소개구리라고 한다.

Page 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 -

황소개구리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당시만 하더라도 천적이 없어 급속도로 확산

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너구리, 족제비 등의 포유류와 큰입배스, 파랑볼

우럭, 메기, 가물치 등의 어류, 그리고 쇠백로, 중대백로 등의 조류 등이 황소

개구리나 그 유생을 잡아먹는 것으로 확인되어 최근 황소개구리가 감소 추세

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제로 특정 지역에서의 감소 추세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 확산되어 있는 황소개구

리의 분포 지역에서 이들 서식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분포, 개체수, 주변

생태계 등의 변화를 파악하고 외래종 관리에 활용하고자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Ⅱ. 조사방법 및 내용

1. 조사지역

조사지역은 황소개구리가 서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저수지로는 전남

무안군 평척저수지, 하천으로는 충북 월운천과 무심천 합류부, 도서지역으로는

전남 신안군 하의도와 웅덩이로는 전남 나주시 풍림리 풍림제를 선정하였다.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표 1-1).

2. 조사시기

각 조사지역별 조사시기는 다음과 같다.

제 1지역 전남 무안군 평척저수지

2009년 7월 7일 ~ 8일

제 2지역 충북 청주 월운천-무심천 합류지점

Page 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 -

2009년 7월 30일 ~ 31일

제 3지역 전남 신안군 북포저수지

2009년 7월 22일 ~ 23일

제 4지역 전남 나주시 풍림제

2009년 7월 21일 ~ 22일

표 1-1. 황소개구리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제 1지역 저수지 전남 무안군 망운면 양학리 평척저수지

제 2지역 하천 충북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 장평교-평촌교

제 3지역 도서지역 전남 신안군 하의면 오림리 북포저수지

제 4지역 웅덩이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풍림제

3. 조사방법

가. 포획조사

수심이 1m 내외인 하천이나 웅덩이에서는 투망(10회)과 족대(40분)를 사용

하였고 수심이 깊은 저수지에서는 황소개구리가 주로 출현하는 지점에 4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통발을 저녁에 설치하여 다음날 오후에 수거하였다.

나. 목견조사

포획 조사구 주변의 수변 길이 100m, 폭 5m인 목견조사구를 선정하여 이동

하면서 종 및 개체수를 관찰하였다.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쌍안경을 사

Page 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 -

용하여 조사하였다.

다. 공서종 파악

조사구에서 출현하는 공서종을 파악하였다. 출현종의 동정은 강영선과 윤일

병(1975), 양서영 등(2001), 심재한 등(2007)에 따랐고, 종명과 학명은 2009 환

경부 지침서의 종목록과 김종범(2009)의 종목록을 참조하였다.

라. 수질분석

각 조사구의 수온, ㏗ 등의 수질환경을 현장에서 분석하였다.

Ⅲ. 조사 결과

1. 조사지역별 황소개구리 개체수

가. 제1지역: 전남 무안군 망운면 양학리 평척저수지

평척저수지의 경우 목견에 의하여 성체 50개체와 유생 5개체가 확인되었으

며 통발에 의하여 유생 112개체가 채집되었다(그림 1-1). 황소개구리와의 공서

종은 청개구리(Hyla japonica), 맹꽁이(Kaloula borealis)가 확인되었다.

나. 제2지역: 충북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 장평교와 평촌교 사이

청주에서는 황소개구리 성체 9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채집은 통발과 투망, 족

대에 의한 채집에도 불구하고 유생이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그림 1-2). 한편

공서하는 양서파충류종은 청개구리(Hyla japonica), 옴개구리(Rana rugosa)가 발

견되었다.

Page 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 -

23 20

93

51 59

1

1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통발

목견

그림 1-1. 무안군에서 조사된 황소개구리 개체수

1 1

5

2

0

1

2

3

4

5

6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통발

목견

그림 1-2. 청주시에서 조사된 황소개구리 개체수

Page 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 -

다. 제3지역: 전남 신안군 하의면 오림리 북포저수지

하의도에서는 목견에 의해서 성체 7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투망이나 족대 그

리고 통발에 의한 유생의 채집을 실시한 결과 지난 2년간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보였으나 금년에는 유생 12개체가 채집 확인되었다(그림

1-3). 한편, 하의도 조사지역에서 양서파충류 공서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라. 제4지역: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풍림제

본 나주 풍림제에서는 목견에 의해 성체 91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통발에 의

한 채집에서 작은 크기의 황소개구리 성체 1개체와 유생 13개체가 확인되었다

(그림 1-4). 아무르장지뱀(Takydromus amurensis), 유혈목이(Rhabdophis tigrinus),

맹꽁이(Kaloula borealis)가 공서종으로 조사되었다.

1

5

1

2

8

2

0

2

4

6

8

10

12

14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통발

목견

그림 1-3. 신안군에서 조사된 황소개구리 개체수

Page 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 -

25

12

2826

311

0

5

10

15

20

25

30

35

40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통발

목견

그림 1-4. 나주시에서 조사된 황소개구리 개체수

55

9 7

91

112

12 14

0

20

40

60

80

100

120

제 1지역(저수

지)

제 2지역(하천) 제 3지역(도서) 제 4지역(저수

지)

개체

수 목견

포획

그림 1-5. 각 조사지역별 조사된 황소개구리의 개체수

Page 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 -

제 1지역인 무안 저수지에서는 성체 50개체와 유생 5개체가 목견되었고 유

생 112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제 2지역인 청주 하천에서는 성체 9개체가 목견

되었고 유생이 투망이나 통발에 의한 채집에서 전혀 포획되지 않았다. 제 3지

역인 신안 하의도에서는 성체 7개체가 목견되었으며 유생 12개체가 채집 확인

되었다. 제 4지역인 나주 풍림제에서는 성체 91개체가 목견되었고 성체 1개체

와 유생 14개체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성체의 목견은 나주에서 91개체로 가장 많았고, 유생의 채집은 무안

저수지의 경우 112개체로 가장 많았다(그림 1-5).

2. 황소개구리 개체수의 년도별 비교

2007년도부터 2009년도까지의 조사결과를 비교한 결과는 그림 1-6~9와 같

다.

전체적으로 2007년 961개체에서 2008년 1,051개체로 증가하였다가 2009년

다시 현격하게 감소하여 총 300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지 별로 살펴보면 무

안(저수지)의 경우 년차별로 유의한 변동이 없었다. 청주(하천)는 성체의 경우

별 유의한 변동이 없었으나 유생은 2007년 194개체, 2008년 13개체, 2009년 0

개체로 대폭 줄어드는 현상을 보였고 2009년 금년에는 유생이 한 개체도 확인

되지 않았다. 이는 2007년에는 보지 못했던 베스(어류)가 급격히 늘어나 채집

되는 점으로 보아, 황소개구리의 천적으로 알려진 베스의 서식 영향으로 유생

이 채집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의도(도서)의 경우 성체의 목견수가

2007년도 211개체 2008년도 14개체 2009년도 7개체로 현격히 줄어들었고 2007

년, 2008년에는 유생이 전혀 채집되지 않았으나 2009년에는 유생이 12개체 포

획되었다. 저수지에는 가물치가 대량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바 2008년도

Page 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 -

에는 황소개구리의 천적으로 알려진 가물치의 영향으로 유생이 채집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바 있다. 금년에는 유생이 12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저수

지 안쪽이 아닌 비로 인하여 임시로 형성된 얕은 웅덩이에서 채집되었고, 이

렇게 수심이 얕은 웅덩이에서는 가물치가 생육할 수 없으므로 유생의 생육이

가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견된 성체의 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데

이 또한 유생의 감소와 상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주(저수지)의 경우도

2009년에는 2007년도와 2008년도에 비교해 성체나 유생 모두 현격히 줄어드는

특징을 보였다.

134

52 5568

201

112

0

50

100

150

200

250

2007 2008 2009

개체

수 목견

포획

그림 1-6. 무안의 2007-2009년 황소개구리 개체수 비교자료

Page 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 -

112 9

194

13

0

50

100

150

200

250

2007 2008 2009

개체

수 목견

포획

그림 1-7. 청주의 2007-2009년 황소개구리 개체수 비교자료

211

147 12

0

50

100

150

200

250

2007 2008 2009

개체

수 목견

포획

그림 1-8. 하의도의 2007-2009년 황소개구리 개체수 비교자료

Page 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 -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3.6 6.73 160

조사구 2 23.6 6.73 160

조사구 3 24.5 6.97 320

조사구 4 24.5 6.97 320

252

715

91101

4414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07 2008 2009

개체

수 목견

포획

그림 1-9. 나주의 2007-2009년 황소개구리 개체수 비교자료

3. 조사구의 수질 분석

가. 제 1지역(무안)

1지역에서 수질측정치는 다음과 같으며 탁도, 수온, ㏗는 다소 편차를 보였

다(표 1-2).

표 1-2. 제 1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Page 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 -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8.3 7.62 260

조사구 2 28.5 7.70 260

조사구 3 24.9 7.44 150

조사구 4 25.4 7.51 200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30.0 9.53 120

조사구 2 27.3 8.25 110

조사구 3 27.6 9.41 110

조사구 4 27.3 9.60 110

나. 제 2지역(청주)

1조사구~4조사구의 수온, ㏗, 탁도 모두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표 1-3).

표 1-3. 제 2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다. 제 3지역(하의도)

제 3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는 다음과 같다. 탁도는 1조사구~4조사구에서 유

사하게 조사되었고, 수온과 ㏗는 다소 편차를 보였다(표 1-4).

표 1-4. 제3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Page 3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 -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0.8 7.27 70

조사구 2 20.3 7.78 70

조사구 3 20.8 6.73 60

조사구 4 20.1 6.82 60

라. 제 4지역(나주)

1조사구~4조사구에서의 수온, ㏗와 탁도는 다소 편차가 나타났다(표 1-5).

표 1-5. 제 4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기존에 알려져 있는 황소개구리의 주요 활동 시기는 4월에서 10월까지이며,

서식지의 수온 14~29℃, 기온은 19~34℃, ㏗는 6.5~7.2, 유속은 0.8~12.0㎝/sec

정도에서 주로 활동한다(출처: 국립중앙과학관 인터넷 자료)고 하였다. 그러나

위의 현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해 볼 때, ㏗는 황소개구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Ⅳ. 고 찰

성체는 나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나 무안에서 유생이 상당수 발견되었

으므로 향후 확산 방지를 위해 무안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우선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Page 3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 -

제2절 붉은귀거북

Ⅰ. 서론

붉은귀거북은 거북목 늪거북과에 속하며, 몸길이 수컷 약 15.6㎝, 암컷 약

20㎝, 최대 29㎝까지 자란다. 등껍질은 부드러우며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고 색

은 진초록색으로 노란색의 줄무늬가 있다. 눈의 바로 뒤쪽에 붉은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여기에서 이름이 비롯되었다. 아래턱은 둥글고, 뒷발가락

은 다른 수생동물처럼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약 20년 정도를 살며, 호수나 큰

강, 웅덩이 등에 서식한다. 국외에서는 원산지인 미국 인디애나주~뉴멕시코

주, 텍사스주~멕시코만 등지에 분포가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 후

반부터 애완용이나 방생을 목적으로 수입하였다. 그러나 종교적인 방생을 비

롯해 여러 이유로 자연에 놓아주면서 생태계 파괴를 불러왔고 지금은 수입이

금지되어 있다. 생태계 내에서는 아직 포식자가 없으며 더구나 황소개구리까

지 먹을 수 있는 식성이 좋은 종이다(환경부 2004). 더구나, 국내에 천적이 없

어 우리 고유의 어류, 수서곤충, 양서류 등을 잡아먹고 있어 호소와 하천생태

계의 먹이사슬을 교란시키고 있다. 피해 어류로는 붕어, 미꾸라지, 피라미, 어

린물고기 및 각종 알, 기타 개구리 등 양서·파충류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01년 12월 24일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되었고, 법적으로 수입을 금지하게

되었고, 정책적 방안을 찾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확산되어 있는 붉은귀거북의 서식에 대한 장

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분포의 증감, 개체수,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Page 3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 -

Ⅱ. 조사방법 및 내용

1. 조사지역

조사지역은 붉은귀거북이 서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연못 또는 호수로

는 전북 전주시 덕진공원, 저수지는 전남 함평 대동저수지, 하천으로는 울산광

역시 태화강 일대를 선정하였다.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

다(표 1-6).

표 1-6. 붉은귀거북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제 1지역 연못 또는 호수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덕진공원

제 2지역 저수지 전남 함평군 대동면 서호리 대동저수지

제 3지역 하천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태화강 일대

2. 조사시기

각 조사지역별 조사시기는 다음과 같다.

제 1지역 전북 전주시 덕진공원

2009년 7월 6일 ~ 7일

제 2지역 전남 함평군 대동저수지

2009년 7월 7일 ~ 8일

제 3지역 울산광역시 태화강

2009년 7월 30일 ~ 31일

Page 3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 -

3. 조사방법

가. 포획조사

수심이 1m 내외인 하천에서는 뜰채와 투망을 이용하여 포획 조사하였다.

나. 목견조사

포획 조사구 주변의 수변 길이 100m, 폭 5m인 목견조사구를 선정하여 이동

하면서 종 및 개체수를 관찰하였다.

다. 공서종 파악

조사구에서 출현하는 양서·파충류의 공서종을 파악하였다. 출현종의 동정은

강영선과 윤일병(1975), 양서영 등(2001), 심재한 등(2007)에 따랐고, 종명과 학

명은 2009 환경부지침서의 종목록과 김종범(2009)의 종목록을 참조하였다.

라. 수질분석

각 조사구의 수온, ㏗ 등의 수질환경을 현장에서 분석하였다.

Ⅲ. 조사 결과

1. 조사지역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가. 제 1지역: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공원

덕진공원의 경우 총 25개체가 확인되었다(그림 1-10). 공서하는 양서·파충류

는 발견되지 않았다.

Page 3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 -

3

8

2

8

1

2

1

0

1

2

3

4

5

6

7

8

9

10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포획(뜰채)

목견

그림 1-10. 제 1지역(전주)의 조사지점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1

0

0.2

0.4

0.6

0.8

1

1.2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포획(뜰채)

목견

그림 1-11. 제 2지역(함평)의 조사지점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Page 3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 -

나. 제 2지역: 전남 함평군 대동면 서호리 대동저수지

대동저수지의 경우 총 1개체만이 목견에 의해서 확인되었다(그림 1-11). 한

편, 공서종으로는 청개구리(Hyla japonica),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가 확인

되었다.

다. 제 3지역: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태화강일대

태화강의 경우 총 3개체의 붉은귀거북이 목견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공서종

은 확인되지 않았다(그림 1-12).

1 1 1

0

0.2

0.4

0.6

0.8

1

1.2

조사구 1 조사구 2 조사구 3 조사구 4

개체

수 포획(뜰채)

목견

그림 1-12. 제 3지역(울산)의 조사시점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Page 3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 -

2. 붉은귀거북 개체수의 지역별 비교

제 1지역인 전주 덕진연못에서 25개체가 목견 또는 채집되었으며 제 2지역

인 전남 함평 대동저수지에서 1개체만 목견되었다. 제 3지역인 울산 태화강

하천에서는 3개체가 목견되었다. 따라서 덕진연못이 25개체로 가장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그림 1-13).

25

1

3

0

5

10

15

20

25

30

전주 덕진연못 함평 대동저수지 울산 태화강

개체

그림 1-13. 각 조사지역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3. 붉은귀거북 개체수의 년도별 비교

전주 덕진연못의 경우 2007년도에 15개체였던 것이 2008년 조사에서는 11개

체로 감소하였고 2009년에는 25개체로 대폭 늘어났다(그림 1-14). 함평 대동저

수지의 경우는 2007년도 1개체에서 2008년 3개체로 늘었고 2009년에는 다시 1

Page 4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 -

개체로 줄었다. 울산태화강의 경우는 2007년도의 27개체에서 2008년 2개체로

현격히 줄어들었으며 2009년에도 3개체만이 발견되었다. 자세한 증감 여부는

추후 조사를 통해 더 조사를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되나, 덕진연못의 경우

매년 꾸준히 많은 개체가 확인되어 조절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하류쪽으로의

유입을 막기 위해 수문주변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알을

낳는 땅으로 가는 길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5

1

27

11

32

25

1

3

0

5

10

15

20

25

30

전주 덕진연못 함평 대동저수지 울산 태화강

개체

2007 2008 2009

그림 1-14. 2007-2009년 조사지역별 붉은귀거북 개체수

Page 4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 -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5.0 8.02 230

조사구 2 24.9 8.02 230

조사구 3 24.5 8.01 230

조사구 4 25.0 7.72 230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1.0 7.36 90

조사구 2 18.0 6.60 120

조사구 3 20.0 6.99 90

조사구 4 17.5 6.53 90

4. 조사구의 수질 분석

가. 제 1지역

제 1지역인 전북 덕진공원의 수질 분석 자료는 다음과 같다(표 1-7). 이 지

역에서는 조사구별 수온, 탁도, ㏗가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표 1-7. 제 1지역에서의 수질 측정치

나. 제 2지역

제 2지역인 전남 함평에서는 저수지에서 측정한 것으로 수온, ㏗ 및 탁도가

조사구 별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표 1-8).

표 1-8. 제 2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Page 4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 -

조사지역 수온(℃) ㏗ 탁도

조사구 1 21.5 7.40 130

조사구 2 21.4 7.54 120

조사구 3 21.5 7.30 140

조사구 4 21.4 7.42 140

다. 제 3지역

제 3지역인 울산광역시 태화강에서의 수질 측정치는 표 1-9와 같다.

표 1-9. 제 3지역에서의 수질측정치

Ⅳ. 고 찰

붉은귀거북의 경우는 뜰채를 이용한 채집이 비교적 용이하였으나 이 또한

수심이나 기타 다른 문제들로 인하여 채집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집단간 또

는 동일 집단 내 개체수의 연간 변화 등은 목견을 이용한 비교가 바람직하리

라 생각된다. 조사지역 중에서는 전주 덕진연못에서의 우선관리가 필요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덕진연못의 경우 하류로의 유입을 막기 위해서는 수문

주변에 그물망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번식장소인 땅

으로 가는 길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age 4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 -

Ⅵ. 참고문헌

강영선, 윤일병. 1975. 한국동식물도감, 제17권 동물편(양서·파충류). 문교부.

김종범, 2009. 한국산 양서류의 분류목록과 분포상.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

1(1): 1-13.

심재한, 김종범, 민미숙, 오홍식, 박병상, 2007. 세밀화로 그린 양서파충류도감.

보리. pp. 1-253.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 2001. 한국의 양서류(Monograph of

Korean Amphibia). 아카데미서적. pp. 1-181.

환경부. 2004. 붉은귀거북의 한약재 등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Page 4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 -

제3절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Ⅰ. 서론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인간으로 인한 자연 훼손과 환경오염이 극심해짐으로 인

해 여러 가지 생물종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최근의

보도에 의하면 현재와 같은 멸종을 방치할 경우, 향후 50년 내에 지구 동식물종의

약 25% 가량이 멸종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반도의 경우도 이러한 세

계적 추세와 다르지 않아, 한반도의 생물종 다양성은 그간의 경제성장 및 개발 위

주의 국가정책, 인구증가, 국토의 난개발 등으로 인하여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자생생물의 서식지 또한 국립공원과 일부 보호지역을 제외하면 빠른 속도로 감소

되고 있어 생태계의 균형 및 기능이 파괴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인간에 의

한 자연 훼손과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70년대 단백질 공급원으로 도입되어진

큰입배스, 블루길, 틸라피아 등과 같은 외래 도입 어종들이 대형 댐호와 하천

에 유입되면서 이들에 의해 토착어류들이 포식됨으로 인해 이미 큰입배스와

블루길이 유입된 수역에서는 수중생태계의 붕괴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

는 실정이다.

내륙의 담수생태계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오염원들을 바다로 방출시켜주

는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생태학적 지위를 가지는 다양한

수중생물들이 일정한 서식비율을 유지하며 살아가면서 오염원들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자정능력은 온전한 수중생태계가 유지될 때만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정된 수중생태계에 큰입배스와 같은 먹이사슬의 최상

단계에 있는 외래 포식자가 유입되게 되면 다양한 수중생물들이 포식되어 생

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됨으로서 자정능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오염원을 제거하지 못함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발생하게 되어 댐호와

같은 정수역에는 녹조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Page 4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 -

우리나라에 도입된 큰입배스는 미국 북부 등 북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지이

며, 1973년도에 양식어종으로 도입되었고, 파랑볼우럭은 캐나다 동부, 미국 동

부, 멕시코 북동부 등 북아메리카 동부 지방이 원산지이며, 1969년도에 수산청

이 내수면 수산자원 증식을 목적으로 일본으로부터 도입하였다. 최근 큰입배

스와 파랑볼우럭은 대형 댐호와 중소형 저수지를 중심으로 이와 연관된 주변

의 강과 하천에 매우 포괄적으로 넓게 서식하게 되면서 이들이 서식하는 수역

에는 수생태계 건강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먼저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이 도입되었으며, 자

연 수계로 서식지가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수생태계에 막대한 악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일본은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큰입배스와 파랑

볼우럭의 구제 및 관리를 위한 다각면적인 방안들이 연구 또는 시행되고 있

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에 대한 정밀한 분포실태

조차도 파악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태에 대한 조사도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조사는 이미 하천과 호수에 정착하여 서식하고 있는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서식상황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을 분석함으로서 적절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조사방법 및 내용

1. 조사지역

하천권역으로는 진위천 수계와 만경강 수계, 댐호 권역으로는 용담댐호 등

모두 3개소를 선정하였다.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제 1지역 : 진위천 수계(그림 1-15)

A 조사구 : 경기도 오산시 진위면 봉남리 봉남교

Page 4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 -

B 조사구 : 경기도 오산시 서탄면 금암리

C 조사구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황구지리

D 조사구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문곡리 동연교

그림 1-15. 제 1지역(진위천 수계)의 각 조사구 위치도

제 2지역 : 만경강 수계(그림 1-16)

A 조사구 : 전북 전주시 평화동 삼천취수장

B 조사구 : 전북 전주시 팔복동 금학보

C 조사구 : 전북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삼례교

D 조사구 : 전북 전주시 전미동

Page 4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 -

그림 1-16. 제 2지역(만경강 수계)의 각 조사구 위치도

제 3지역 : 용담댐호(그림 1-17)

A, B 조사구 : 전북 진안군 용담면

A

그림 1-17. 제 3지역(용담댐호)의 A 조사구 위치도

Page 4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 -

그림 1-18. 제 3지역(용담댐호)의 B 조사구 위치도

2. 조사시기

각 조사지역별 조사시기는 다음과 같다.

제 1지역(진위천 수계)

1차 조사 : 2009년 5월 8일

2차 조사 : 2009년 8월 3일

3차 조사 : 2009년 9월 30일

제 2지역(만경강 수계)

1차 조사 : 2009년 5월 14일

2차 조사 : 2009년 8월 3일

3차 조사 : 2009년 9월 21일

Page 4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 -

제 3 지역(용담댐호)

1차 조사 : 2009년 5월 22일~23일

2차 조사 : 2009년 7월 28일~29일

3차 조사 : 2009년 9월 15일~16일

3. 채집방법

각 조사지역별 어류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천의 경우 투망(망목: 5×5㎜)과

족대(망목: 4×4㎜)를 사용하였으며, 용담댐호의 경우는 삼각망(유도망 15m, 망

목 10×10㎜)을 24시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투망의 경우는 10회를, 족대는 40

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투망과 족대로 쉽게 채집되지 않는 큰입배스의

경우 많은 개체수를 대상으로 식이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루어낚시를 병행하였

으며 포획된 개체는 어류상에는 추가하지 않았다. 채집된 어류는 현장에서 동

정하여 계수한 후 대부분 방류하였으며, 어류의 동정은 김익수와 박종영

(2002), 김익수 등(2005)에 따랐다. 이와 더불어 각 조사구를 대상으로 수문학

적인 조사와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4. 식이물 분석

큰입배스의 경우 체장 200㎜ 이상의 개체는 현장에서 위를 적출하여 식이물

을 분석하였으며, 큰입배스 체장 200㎜ 이하의 개체들은 포획 즉시 10% 포르

말린에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여 식이물을 분석하였다. 식이물의 분석은

해부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어류는 김익수와 박종영(2002), 수서곤충

은 윤일병(1995), 식물성플랑크톤은 정 준(1993), 동물성 플랑크톤은 조규송

(1993)에 따라 동정 가능한 분류군까지 분석하였다.

Page 5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1 -

Ⅲ. 조사결과 및 고찰

1. 큰입배스

가. 물리적 서식환경

(1) 제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

진위천의 상류수역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인근에 진위면 소재지가 위치하

고 있으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져 있다. 전체 진위천 조사구 중에서

비교적 가장 많은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하폭은 70m 내외이며, 유폭은

20~50m 내외이고, 수심은 30~18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

성되어져 있으며, 하천 평탄화 공사가 이루어진 흔적이 남아 있다. 수량은 비

교적 풍부하며 유속은 그다지 빠르지 않다. 하변에는 수변 식생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나) B 조사구

오산천과 진위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길이 약 70m, 높이 약 2m의

물보가 설치되어 있다. 물은 매우 탁하고 약간의 악취가 난다. 하폭은 150m

내외이며, 유폭은 7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가 많으며 물보 아래쪽으로 형성된 여울부에는 자갈이 주를 이룬다. 수량

은 매우 풍부하지만 물보에 의하여 위쪽은 비교적 정체수역이며, 아래쪽은 여

울부가 형성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다. 물보 위쪽으로 수생식물이 잘 발달되

어 있으며, 수변에도 식생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다.

(다) C 조사구

황구지천과 진위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하폭은 250m 내외, 유폭은

70~120m 내외,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로 구성되어져

있다. 교량이 위치하고 있으며, 교량의 상방에는 유수역이며, 하방은 유속이

느려지면서 유폭이 넓어진다. 수량은 풍부하지만 물은 비교적 탁하다.

Page 5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2 -

(라) D 조사구

진위천의 하류수역에 해당하는 지역이며, 동연교가 위치하고 있다. 수환경이

매우 불안정하여 바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탁하고 악취가 난다. 간혹 물 표

면에 기름막과 거품이 형성되어 있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7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펄과 모래로 이

루어져 있으며, 동연교 교각을 중심으로 자갈과 콘크리트 조각들이 쌓여 있으

며, 교각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간간이 수생식물군락지가 형성되어 있지만 수

변부는 식생의 발달이 미비하다.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

만경강의 지천 중 삼천에 해당하는 수역이다. 길이 60m 내외, 높이 3m 내

외의 물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쪽 수역은 상수원 보호구역으로서 상수도 취

수장이 위치하여 있다. 하폭은 100m 내외이며 유폭은 30~60m 내외이고, 수심

은 50~18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로 구성되어져 있으나 물보 아래쪽은

자갈이 주를 이룬다. 수량은 풍부하지만 수환경은 비교적 불안정하다. 물보 위

쪽은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으나 아래쪽은 비교적 빠른 여울부가 형성되어

져 있다. 수생식물이 발달되어 있으며 수변에는 넓은 갈대밭이 형성되어져 있

다.

(나) B 조사구

삼천과 전주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길이 약 100m 내외, 높이 3m

내외의 대형 물보가 설치되어 있다. 물은 매우 탁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수

환경이 매우 불안정하다. 하폭은 150m 내외이며 유폭은 5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와 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보

아래쪽으로는 제방 축조에 사용되는 암석조각이 쌓여 있다. 물보 위쪽의 수변

부는 수생 및 반수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되어져 있으나 아래쪽은 하변 정비로

Page 5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3 -

인하여 수변부 식생이 미비하다.

(다) C 조사구

고산천과 전주천이 합류하여 만경강 본류가 시작되는 수역이다. 물은 탁하

고 악취가 나는 등 수환경이 불안정하다. 길이 150m, 높이 2m 내외의 물보가

설치되어져 있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50~7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물보 위쪽의 경우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쪽은 큰 바위와 자갈 등이 주를 이룬다. 하변은 제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생발달이 미비하다.

(라) D 조사구

만경강의 지천인 소양천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약 1㎞ 간격으로

물보가 설치되어져 있어 물의 흐름이 대부분 정체되어 있으나 물보 아래쪽으

로는 간간히 여울부가 형성되어져 있다. 하변부와 하중도의 식생과 다양한 수

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되어져 있어 다소의 불안정한 수환경을 보안해주고 있

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50~12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

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져 있다.

(3) 제 3지역(용담댐호)

(가) A 조사구

용담호 본댐이 위치한 하단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큰입배스의 조사지역

이다. 매월 조사시 수위가 점차 내려갔으며, 7월에는 다소 녹조현상이 발생하

기도 하였다.

(나) B 조사구

용담호의 중단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파랑볼우럭의 조사지역이다. 수량

과 수환경은 A 조사구와 유사하였다.

Page 5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4 -

나. 이화학적 수질조사

(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표 1-10)

용존산소(DO)는 5월의 경우 상류수역인 A 조사구가 5.17㎎/L로 가장 낮았

으며, 하류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월과 9월에는 C

조사구가 각각 9.12㎎/L와 10.49㎎/L로 가장 높았으며, B 조사구가 4.77㎎/L

와 4.56㎎/L로 가장 낮았다.

수소이온농도(㏗)는 5월의 경우 A 조사구가 7.10으로 가장 낮았으며, 하류수

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월의 경우 A 조사구가 7.33으

로 가장 낮았으며, C 조사구가 7.85로 가장 높았다. 9월에는 B 조사구가 7.25

로 가장 낮았으며, C 조사구가 7.85로 가장 높았다. 수소이온농도는 조사지점

과 조사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8월의 경우 하류 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으며, 모든 조사구가 대부분 9월 조사에서 921.0㎲(C 조사구)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소요구량(BOD)은 모든 조사시에 하류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구가 5월 조사에서 9.8㎎/L(D 조사구)로 가장 높

은 수치를 보였고, 9월 조사에서 0.2㎎/L(A 조사구)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

다.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은 전반적으로 상류수역에 낮았으며,

하류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S는 8월에 29.9㎎/L(D 조사

구), T-N은 9월에 7.711㎎/L(D 조사구), T-P는 5월에 0.442㎎/L(D 조사구)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Page 5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5 -

조사구

항목 및 시기A 조사구 B 조사구 C 조사구 D 조사구

수온(℃)

5월 17.8 20.6 21.3 20.2

8월 25.7 25.2 27.1 27.1

9월 21.5 23.1 23.2 23.0

DO(㎎/L)

5월 5.17 6.24 7.59 8.52

8월 7.64 4.77 9.12 6.58

9월 6.66 4.56 10.49 5.73

수소이온농도

(㏗)

5월 7.10 7.43 7.51 7.63

8월 7.33 7.34 7.85 7.61

9월 7.46 7.25 7.85 7.70

전기전도도

(㎲)

5월 288.7 890.0 748.0 697.0

8월 243.9 500.0 531.5 646.0

9월 291.7 725.5 921.0 764.0

BOD(㎎/L)

5월 2.6 5.6 6.8 9.8

8월 1.4 3.4 3.0 5.9

9월 0.2 1.9 5.9 5.4

SS(㎎/L)

5월 20.1 13.2 14.9 24.5

8월 13.6 16.2 16.9 29.9

9월 4.1 7.2 15.5 20.6

T-N(㎎/L)

5월 3.152 5.804 5.850 7.130

8월 1.705 3.948 3.124 4.847

9월 1.726 5.780 5.692 7.711

T-P(㎎/L)

5월 0.118 0.275 0.281 0.442

8월 0.029 0.248 0.160 0.389

9월 0.024 0.357 0.237 0.393

표 1-10. 제 1지역(진위천)의 각 조사구에 대한 조사시기별 이화학적 수질조사

Page 5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6 -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표 1-11)

용존산소(DO)는 5월의 경우 C 조사구가 7.29㎎/L로 가장 높았으며, D 조사

구가 4.35㎎/L로 가장 낮았다. 8월에는 D 조사구가 19.4㎎/L로 가장 높았으며,

B 조사구가 3.92㎎/L로 가장 낮았다. 9월에는 A 조사구가 7.51㎎/L로 가장 높

았으며, D 조사구가 4.64㎎/L로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의 경우 조사지점과 조

사시기에 따른 규칙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소이온농도(㏗)는 5월의 경우 C 조사구가 8.66로 가장 높았으며, D 조사

구가 7.52로 가장 낮았다. 8월에는 D 조사구가 7.67로 가장 높았으며, B 조사

구와 C 조사구는 7.0이하로 안정적이었다. 9월에는 A 조사구가 7.90으로 가장

높았으며, C 조사구가 6.98로 안정적이었다. 수소이온농도의 경우 조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른 규칙성을 보이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조사시기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 조사구는 190㎲ 이

하로서 다른 조사구에 비하여 낮았으며, D 조사구는 250㎲ 이상으로 상대적으

로 높았다.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은 D 조사구의 경우 0.6~1.4㎎/L로서 조사시기에

상관없이 비교적 낮았으나 다른 조사구는 조사시기에 따라 변동폭이 컸다. 특

히 B 조사구의 5월 조사에서는 6.1㎎/L로서 가장 높았다.

부유물질량(SS)은 C 조사구와 D 조사구의 경우 6.0㎎/L 이하로 모든 조사

시기에 낮았으며, B 조사구의 경우 9.6~13.6㎎/L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총질소(T-N)는 8월의 경우 모든 조사구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의

경우 A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며, D 조사구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

다. C 조사구의 경우 조사시기별로 변동폭이 작았다.

총인(T-N)은 D 조사구의 경우 모든 조사 시기에 0.022㎎/L 이하로 다른 조

사구에 비하여 가장 낮았으며, B 조사구의 경우 모든 조사 시기에 가장 높았

다.

Page 5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7 -

조사구

항목 및 시기A 조사구 B 조사구 C 조사구 D 조사구

수온(℃)

5월 21.0 20.5 17.4 18.4

8월 23.5 25.2 26.4 26.6

9월 22.3 23.2 22.1 22.9

DO(㎎/L)

5월 7.07 6.09 7.29 4.35

8월 7.10 3.92 19.4 6.57

9월 7.51 5.64 5.45 4.64

수소이온농도

(㏗)

5월 7.91 7.81 8.66 7.52

8월 7.09 6.92 6.73 7.67

9월 7.90 7.68 6.98 7.73

전기전도도

(㎲)

5월 206.7 264.9 142.7 288.7

8월 206.9 218.7 184.0 258.3

9월 171.7 216.9 165.5 280.0

BOD(㎎/L)

5월 1.8 6.1 2.9 1.4

8월 1.0 2.2 0.7 1.1

9월 2.6 2.4 0.9 0.6

SS(㎎/L)

5월 6.2 13.6 5.7 3.8

8월 10.1 9.6 2.5 2.8

9월 9.5 10.9 3.5 5.5

T-N(㎎/L)

5월 0.800 2.105 1.136 0.254

8월 3.385 3.174 1.796 3.154

9월 1.083 1.175 1.646 1.747

T-P(㎎/L)

5월 0.042 0.254 0.068 0.022

8월 0.061 0.156 0.032 0.022

9월 0.071 0.307 0.033 0.020

표 1-11. 제 2지역(만경강)의 각 조사구에 대한 조사시기별 이화학적 수질조사

Page 5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8 -

조사시기

수질항목5월 7월 9월

수온(℃) 18 22 19

DO(㎎/L) 8.2 9.8 6.1

수소이온농도(㏗) 7.7 7.9 7.7

전기전도도(㎲) 139 132 105

BOD(㎎/L) 1.1 0.9 1.0

SS(㎎/L) 1.3 1 5.1

T-N(㎎/L) 1.543 2.094 2.069

T-P(㎎/L) 0.009 0.010 0.030

(3) 제 3지역(용담댐호; 표 1-12)

용존산소(DO)는 7월에 9.8㎎/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에 6.1㎎

/L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수소이온농도(㏗)는 모든 조사시기에 7.7~7.9로 큰 변화 없이 비교적 일정하

였고, 전기전도도는 5월이 가장 높았으며, 9월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

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0.9~1.1㎎/L로서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유물질량(SS)는 7월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질소(T-N)는 5월에 가장 낮았으며,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인(T-P)은 5월이 가장 낮았으며, 9월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 1-12. 제 3지역(용담댐호)의 월별 이화학적 수질분석 결과

다. 공서종

(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표 1-13, 14; 그림 1-19, 20)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3과 12종으로서 우점종은 피라미

Page 5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9 -

(40.4%)이었고, 아우점종은 파랑볼우럭(19.3%), 큰입배스와 모래무지(10.3%), 돌

마자(4.9%)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파랑볼우럭(46.5%), 큰입배스(20.3%),

피라미(13.4%), 모래무지(10.8%)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6종,

2008년도에 2목 4과 14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

은 2007년도에 6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3종만이 출현하였

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잉어, 각시

붕어, 왜매치, 누치, 긴몰개, 점줄종개, 참종개, 동사리, 밀어 등 9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강준치, 얼록동사리 등 2종이었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큰입배스는 23개체(10.3%)로서 진위천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2007년도 조사부터 상대풍부도

에서 있어 점차 증가하였다. 평균 체장은 98.8(58~233)㎜이었고, 평균 체중은

34.6(4.6~255)g 이었다.

0

10

20

30

40

50

피라

파랑

볼우

모래

무지

큰입

배스

돌마

참마

참붕

돌고

강준

붕어

얼록

동사

치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19.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Page 5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0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1 3 1.3 7 1.7 23 7.1Cyprinus carpio 잉어 3 0.7 1 0.3Rhodeus uyekii 각시붕어* 1 0.2 1 0.3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2 0.6Hemibarbus labeo 누치 1 0.2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 6 2 10 4.5 33 8.2 14 4.3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0 1 11 4.9 17 5.2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6 17 23 10.3 88 21.8 17 5.2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7 8 3.6 1 0.2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4 5 2.2 3 0.7 10 3.1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3 0.7 6 1.9Zacco platypus 피라미 3 48 39 90 40.4 206 51.1 198 61.1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4 4 1.8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 1 0.4 11 3.4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1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 13 27 43 19.3 27 6.7 4 1.2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4 18 23 10.3 18 4.5 12 3.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0.3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2 2 0.9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1 2.7 총개체수 20 84 119 223 403 324총종수 6 8 11 12 14 16

표 1-13.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6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1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4 8 12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53 155 19 227 5.9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9 3 22 0.6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10 301 411 10.8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 22 24 0.6Pungtungia herzi 돌고기 3 14 17 0.4Zacco platypus 피라미 38 263 210 511 13.4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39 39 1.0Hemiculter eigenmanni 치리* 2 2 0.1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1 788 955 1,774 46.5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76 280 421 777 20.3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3 3 0.1총개체수 220 1,641 1,958 3,819총종수 6 8 11 12

표 1-14.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A 조사구

0

3

6

9

12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20.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Page 6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2 -

(나) B 조사구(표 1-15, 16; 그림 1-21, 22)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3과 14종으로서 우점종은 몰개(41.5%)

였고, 아우점종은 피라미(24.1%), 치리(15.7%), 파랑볼우럭(4.1%)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치리(21.2%), 파랑볼우럭(20.9%), 몰개(16.5%), 큰입배스(14.7%)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8종이, 2008년도에 2목 3과 14종이 채집

되었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에 4종이 출현하였으나 본 조사에서는 2종

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

은 가시납지리, 돌마자, 점줄종개, 미꾸리, 쏘가리 등 5종이었으며, 본 조사에

서만 채집된 종은 강준치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본 조사에서 몰개와 끄리

의 상대풍부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돌마자는 유속이 완만한 자갈 바닥에 사는

저서성 어류로 2007년 조사 이후 채집이 되지 않은 것은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느리고 노출되기가 쉬워서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22개체(3.1%)가 채집되어 2008년도 조사보다 높은

상대풍부도를 나타내었으며, 평균 체장은 113.7(73~184)㎜이었고, 평균 체중은

48.5(10.4~160)g 이었다.

0

10

20

30

40

50

몰개

피라

치리

파랑

볼우

큰입

배스

붕어

모래

무지

밀어

끄리

잉어

참마

참붕

강준

줄몰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2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Page 6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3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15 17 2.4 11 1.6 17 3.4Cyprinus carpio 잉어 5 5 0.7 2 0.3 3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 0.3 12 2.4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1 1 0.1 3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 2 5 0.7 39 5.7 8 1.6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20 4.1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9 7 17 2.4 48 7.0 53 10.8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3 3 0.4 1 0.1 6 1.2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279 12 291 41.5 134 19.5 62 12.6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2 11 13 1.9 8 1.2 3 0.6Zacco platypus 피라미 85 84 169 24.1 153 22.3 163 33.1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1 2 3 0.4Hemiculter eigenmanni 치리* 3 96 11 110 15.7 233 34.0 110 22.3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0.2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opomidae 꺽지과

Siniperca scherzeri 쏘가리 1 0.2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 14 12 29 4.1 28 4.1 6 1.2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 10 10 22 3.1 15 2.2 15 3.0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8 8 16 2.3 11 1.6 9 1.8총개체수 301 244 156 701 686 493총종수 9 10 10 14 14 18

표 1-25.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6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4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0.4 399 399.4 4.2Cyprinus carpio 잉어 269 269 2.8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3 23 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8 72 90 1.0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65 49 102 216 2.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0 10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1,482 82 1,564 16.5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86 201 287 3.0Zacco platypus 피라미 291 644 935 9.9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123 138 261 2.8Hemiculter eigenmanni 치리* 58 1,674 276 2,008 21.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46 1,094 641 1,981 20.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425 346 617 1,388 14.7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8 11 29 0.3총개체수 2,403.4 3,888 3,169 9,460.4총종수 9 10 10 14

표 1-26.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6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5 -

B 조사구

0

1

2

3

4

5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22.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다) C 조사구(표 1-17, 18; 그림 1-23, 24)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6과 18종으로 전체 진위천 수계 조사

구 중 가장 다양한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피라미(31.5%)였고, 아우점종

은 치리(24.6%), 몰개(18.6%), 붕어(9.5%)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

(29.2%), 치리(22.5%), 붕어(15.1%), 피라미(13.5%)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

목 4과 17종이, 2008년도에 2목 4과 14종이 채집되었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

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돌마자, 참몰개, 끄리, 미꾸리 등 4종

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누치, 미꾸라지 등 2종이었다. 과거 조

사에 비하여 몰개와 피라미의 상대풍부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가시납지리,

모래무지, 치리는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돌마자는 유속이 완만한 자갈 바닥에

사는 저서성 어류로 지난 2007년도 조사 이후 채집되지 않은 것은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느리고 노출되기 쉬워서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기 때문으로 생

각된다, 또한 외래어종인 나일틸라피아가 꾸준히 채집되었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17개체(4.9%)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대

Page 6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6 -

풍부도에서 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129.7(47~231)㎜이었고, 평균

체중은 90.4(2.5~277)g 이었다.

0

10

20

30

40

피라

치리

몰개

붕어

큰입

배스

파랑

볼우

얼록

동사

가시

납지

참마

나일

틸라

피아

잉어

줄몰

모래

무지

왜매

누치

참붕

미꾸

라지

밀어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23.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C 조사구

0

1

2

3

4

5

6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24.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Page 6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7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7 25 33 9.5 90 12.4 45 6.7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6 23 3.2 4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4 4 1.1 154 21.3 84 12.6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1 1 0.3 1 0.3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2 0.6 1 0.1Hemibarbus labeo 누치 1 1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4 4 1.1 24 3.3 12 1.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9 1.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2 2 0.6 34 4.7 30 4.5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3 5 0.7 3 0.4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 0.3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57 8 65 18.6 6 0.8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 1.3Zacco platypus 피라미 9 47 54 110 31.5 21 2.9 51 7.6Hemiculter eigenmanni 치리* 81 5 86 24.6 313 43.3 391 58.6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1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 1 0.3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 3 2 10 2.9 12 1.7 5 0.7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6 10 17 4.9 18 2.5 13 1.9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4 4 1.1 16 2.2 2 0.3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4 1 5 1.4 3 0.4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1 0.3 4 0.6 5 0.7총개체수 156 84 109 349 723 667총종수 8 11 11 18 15 17

표 1-17.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6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7 17 1,036 1,070 15.1Cyprinus carpio 잉어 179 8 187 2.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49 49 0.7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4 4 0.1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6 6 0.1Hemibarbus labeo 누치 12 12 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3 23 0.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8 18 0.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0 10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255 43 298 4.2Zacco platypus 피라미 94 417 449 960 13.5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466 133 1,599 22.5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7 17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102 24 188 314 4.4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658 494 923 2,075 29.2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458 458 6.4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5 1 6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3 3 0.04총개체수 2,599 1,237 3,273 7,109총종수 8 11 11 18

표 1-18.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6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49 -

(라) D 조사구(표 1-19, 20; 그림 1-25, 26)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4과 12종으로서 우점종은 몰개(30.7%)

였고, 아우점종은 참붕어(25.2%), 치리(16.5%), 파랑볼우럭(6.3%)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잉어(41.4%), 붕어(20.9%), 떡붕어(15.2%), 치리(9.2%) 등의 순이

었다. 2007년도에 2목 2과 10종이, 2008년도에 2목 3과 12종이 채집되었다.

2007년도나 2008년도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누

치, 모래무지, 끄리, 피라미 등 4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외래

종인 떡붕어와 나일틸라피아가 각각 1개체씩 채집되어 주목된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잉어, 참붕어, 몰개의 상대풍부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붕어와 치리는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7개체(5.5%)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대풍

부도에서 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88.6(57~167)㎜이었고, 평균 체

중은 40.3(5.1~135.6)g 이었다.

0

10

20

30

40

50

몰개

참붕

치리

파랑

볼우

잉어

큰입

배스

강준

붕어

참몰

밀어

떡붕

나일

틸라

피아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25.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Page 6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0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2 1.6 16 4.8 53 6.9Carassius cuvieri 떡붕어 1 1 0.8Cyprinus carpio 잉어 3 1 3 7 5.5 11 3.3 3 0.4Hemibarbus labeo 누치 1 0.3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5 1.9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5 16 11 32 25.2 31 9.4 22 2.8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 2 1.6 3 0.9 32 4.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14 3 22 39 30.7 24 7.3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4 0.5Zacco platypus 피라미 35 10.6 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5 5 3.9 29 8.8 1 0.1Hemiculter eigenmanni 치리* 4 11 6 21 16.5 164 49.7 625 80.9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6 2 8 6.3 2 0.6 2 0.3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 5 7 5.5 11 3.3 16 2.1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1 1 0.8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1 2 1.6 3 0.9 총개체수 36 42 49 127 330 773총종수 8 9 7 12 12 10

표 1-19.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7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1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711 325 1,036 20.9Carassius cuvieri 떡붕어 752 752 15.2Cyprinus carpio 잉어 640 117 1,290 2,047 41.4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8 48.3 64 140.3 2.8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5 5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45 12.7 56 113.7 2.3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52.4 52.4 1.1Hemiculter eigenmanni 치리* 76 223 156 455 9.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97 4.9 101.9 2.1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1.1 214 225.1 4.5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15.5 15.5 0.3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3 1 4 0.1총개체수 1,605 1,236.9 2106 4947.9총종수 8 9 7 12

표 1-20.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7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2 -

D 조사구

0

2

4

6

8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26.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표 1-21, 22; 그림 1-27, 28)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15종으로서 우점종은 참종개

(21.2%)였고, 아우점종은 피라미(20.3%), 큰입배스(18.5%), 밀어(16.2%), 파랑볼

우럭(7.7%)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61.7%), 잉어(17.8%), 파랑볼

우럭(11.0%), 피라미(4.8%)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9종이, 2008년

도에 2목 5과 16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에 6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4종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가시납지리, 각

시붕어, 참붕어, 중고기, 참몰개, 미꾸리 등 6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

된 종은 눈동자개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점줄종개와 참종개는 다소 증가하

였으며, 참마자, 돌마자, 피라미는 다소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큰입배스는 41개체(18.5%)가 채집되어 전체

만경강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2007년도 조사부

Page 7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3 -

터 상대풍부도에 있어 증가하였다. 평균 체장은 144.3(48~270)㎜이었고, 평균

체중은 109(2.5~507)g 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참종

피라

큰입

배스

밀어

파랑

볼우

점줄

종개

모래

무지

붕어

참마

동사

잉어

돌마

돌고

눈동

자개

줄몰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27.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A 조사구

0

4

8

12

16

20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28.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Page 7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4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4 4 1.8 1 0.2 37 11.3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9 1 0.2 2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2 Rhodeus uyekii 각시붕어* 2 0.6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5 2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 3 1.4 27 4.4 13 4.0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2 0.9 13 2.1 14 4.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 4 7 3.2 32 5.2 14 4.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 0.3 18 5.5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 2 0.9 7 1.1 8 2.5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2 0.6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4 1.2Zacco platypus 피라미 5 10 30 45 20.3 474 77.3 142 43.6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7 3 10 4.5 2 0.3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2 5 10 47 21.2 8 1.3 1 0.3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2 1 0.3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1 2 0.9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 8 4 17 7.7 13 2.1 8 2.5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9 13 19 41 18.5 25 4.1 14 4.3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2 1 3 1.4 3 0.5 2 0.6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7 2 17 36 16.2 3 0.5 39 12.0총개체수 76 57 89 222 613 326총종수 7 14 11 15 16 19

표 1-21.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7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5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2 22 0.3Cyprinus carpio 잉어 1,240 43 1,283 17.8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5 1.5 0.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57 57 0.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3 1 2.3 0.0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9 7 16 0.2Pungtungia herzi 돌고기 11 5 16 0.2Zacco platypus 피라미 63 15 267 345 4.8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28 13 41 0.6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88 15 23 126 1.7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0.5 6 6.5 0.1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24 321 147 792 11.0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439 2,388 1,634 4,461 61.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28 9 37 0.5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6 3.4 13 22.4 0.3총개체수 959 4,114.7 2,155 7,228.7총종수 7 14 11 15

표 1-2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나) B 조사구(표 1-23, 24; 그림 1-29, 30)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6과 15종으로서 우점종은 피라미

(49.6%)였고, 아우점종은 파랑볼우럭(20.1%), 참몰개(10.9%), 모래무지(6.8%), 큰

입배스(5.3%)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35.1%), 피라미(29.2%), 파

랑볼우럭(12.9%), 잉어(7.5%)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23종이, 2008

Page 7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6 -

년도에 2목 4과 15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에 7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3종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큰납지리, 납지

리,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줄몰개, 누치, 돌마자, 돌고기, 중고기, 점줄종개, 참

종개 등 12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버들붕어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피라미는 증가하였으며, 붕어, 잉어, 참붕어, 참몰개, 밀어는 다소 감소

하였다. 특히 납자루아과 어류인 가시납지리, 큰납지리,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등은 급격히 감소하거나 채집되지 않아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

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30개체(5.3%)가 채집되어 비교적 높은 상대풍부도

를 보였으며, 평균 체장은 143.5(29~362)㎜이었고, 평균 체중은 128.7

(0.6~1,091)g 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피라

파랑

볼우

참몰

모래

무지

큰입

배스

가시

납지

참마

끄리

동사

밀어

잉어

미꾸

붕어

참붕

버들

붕어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29.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Page 7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7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2 7 1.1 62 11.4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4 4 0.7 8 1.5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8 2 10 1.8 5 0.8 8 1.5Acanthorhodeus macropterus 큰납지리 13 2.1 Acheilognathus rhombeus 납지리 5 0.9Rh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 8 1.5Rhodeus uyekii 각시붕어* 2 0.4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0.4Hemibarbus labeo 누치 2 0.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8 1 9 1.6 8 1.5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6 1.1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2 1 5 38 6.8 131 21.4 25 4.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2 2 0.3 29 5.3Pungtungia herzi 돌고기 3 0.5 8 1.5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3 0.6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32 21 8 61 10.9 70 11.5 100 18.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4 2 3 9 1.6 24 3.9 7 1.3Zacco platypus 피라미 108 99 72 279 49.6 181 29.6 171 31.4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0.2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2 0.4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 2 0.4 3 0.6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3 35 55 113 20.1 118 19.3 4 0.7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1 14 5 30 5.3 41 6.7 26 4.8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2 3 0.5 1 0.2 1 0.2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2 3 0.5 9 1.5 56 10.3 Belontiidae 버들붕어과

Macropodus ocellatus 버들붕어 1 1 0.2총개체수 227 181 154 562 611 545총종수 9 14 9 15 15 23

표 1-23.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7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8 8 0.1Cyprinus carpio 잉어 805 8 813 7.5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8 4 32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85 58 143 1.3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30 32 244 606 5.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0.8 0.8 0.01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80 261 59 500 4.6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53 79 213 345 3.2Zacco platypus 피라미 202 1,919 1,046 3,167 29.2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0 20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61 188 654 1,403 12.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899 1,698 210 3,807 35.1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7.1 2 9.1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0.4 2 2.4 0.02 Belontiidae 버들붕어과

Macropodus ocellatus 버들붕어 2.3 2.3 0.02총개체수 4,143 4,265.6 2,450 10,858.6총종수 9 14 9 15

표 1-24.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7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59 -

B 조사구

0

2

4

6

8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30.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다) C 조사구(표 1-25, 26; 그림 1-31, 32)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23종으로서 전체 만경강 수계 조

사구 중 가장 다양한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피라미(37.1%)였고, 아우점

종은 밀어(15.2%), 누치(11.6%), 파랑볼우럭(11.4%)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

는 누치(22.5%), 큰입배스(16.6%), 잉어(16.3%), 파랑볼우럭(14.9%) 등의 순이었

다. 2007년도에 2목 4과 19종이, 2008년도에 3목 6과 20종이 채집되어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쉬리, 치리, 미꾸라지, 꺽지 등 4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줄몰개, 참갈겨니, 얼록동사리 등 3종이었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누치, 피라

미, 밀어는 증가하였으며, 모래무지, 참붕어, 참몰개는 다소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19개체(3.6%)로 2007년과 2008년 조사보다 낮은 상

대풍부도를 보였으며, 평균 체장은 168.1(62~257)㎜이었고, 평균 체중은 137.0

(5.8~358)g 이었다.

Page 7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0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2 1 0.3 22 5.7Cyprinus carpio 잉어 4 4 0.7 2 0.5 1 0.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3 3 0.6 8 2.1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1 1 2 0.4 37 9.6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3 0.8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2Hemibarbus labeo 누치 42 13 7 62 11.6 37 9.7 21 5.4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9 5 2 26 4.9 33 8.7 11 2.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2 2 0.4 2 0.5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28 14 42 7.9 74 19.4 32 8.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2 2 0.5 18 4.7Pungtungia herzi 돌고기 2 2 0.4 4 1.0 1 0.3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1 1 1 3 0.6 2 0.5 5 1.3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5 1 6 1.1 11 2.9 29 7.5Zacco platypus 피라미 175 13 10 198 37.1 90 23.6 125 32.3Zacco koreanus 참갈겨니* 1 1 0.2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4 1 5 0.9 2 0.5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1 2.8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2 2 0.4 1 0.3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 0.5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 0.3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8 9 1.7 3 0.8 Perciformes 농어목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1 0.3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7 31 23 61 11.4 46 12.1 8 2.1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9 6 4 19 3.6 22 5.8 22 5.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1 1 0.2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7 3 71 81 15.2 9 2.4 25 6.5총개체수 299 101 134 534 381 387총종수 12 15 15 23 20 19

표 1-25.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Page 8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1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3 13 0.1Cyprinus carpio 잉어 1,658 1,658 16.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 2 0.02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4 7 11 0.1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4.3 4.3 0.04Hemibarbus labeo 누치 1,032 739 523 2,294 22.5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35 122 44 301 3.0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4 4 0.04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40 440 780 7.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7 7 0.1Pungtungia herzi 돌고기 2 2 0.02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5 4 5 14 0.1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8 1 29 0.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3 93 0.9Zacco platypus 피라미 309 76 11 396 3.9Zacco koreanus 참갈겨니* 3 3 0.03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995 253 1,248 12.2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1.9 11.9 0.1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3.2 43 46.2 0.5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813 209 498 1,520 14.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68 940 481 1,689 16.6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9 9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5 0.8 55 60.8 0.6총개체수 4,610 3,642.2 1,944 10,196.2총종수 12 15 15 23

표 1-26.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8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2 -

0

10

20

30

40

피라

밀어

누치

파랑

볼우

모래

무지

참마

큰입

배스

눈동

자개

참몰

강준

잉어

가시

납지

중고

납자

돌마

돌고

끄리

점줄

종개

붕어

줄몰

참붕

참갈

겨니

얼록

동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31.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C 조사구

0

2

4

6

8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3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8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3 -

(라) D 조사구(표 1-27, 28; 그림 1-33, 34)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11종으로 전체 만경강 수계 조사

구 중 가장 적은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밀어(39.2%), 피라미(36.8)이었

고, 아우점종은 큰입배스(11.8%), 참종개(5.4%), 눈동자개(3.9%)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78.4%), 피라미(15.2%), 밀어(2.3%), 눈동자개(1.5%) 등

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8종이, 2008년도에 3목 6과 14종이 채집되

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

지 않은 종은 잉어, 가시납지리, 납자루,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줄몰

개, 참마자, 모래무지, 참붕어, 끄리 등 11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미꾸리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참종개, 눈동자개, 피라미는 증가하였으

며, 특히 납자루아과 어류인 가시납지리, 납자루,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

어 등은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아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24개체(11.8%)가 채집되어 비교적 높은 상

대풍부도를 보였다. 평균 체장은 159.0(78~255)㎜이었고, 평균 체중은

112.2(12.2~406)g 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밀어

피라

참종

눈동

자개

큰입

배스

붕어

쉬리

돌고

점줄

종개

미꾸

동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33.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Page 8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4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5 14 4.0Cyprinus carpio 잉어 1 0.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4 2 0.6Acheilognathus lanceolata 납자루 1 0.4 Acheilognathus rhombeus 납지리 36 10.2Rh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 5 1.4Rhodeus uyekii 각시붕어* 3 0.9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1 1 0.5 5 1.9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5 9.3 3 0.9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1 4.1 11 3.1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0.4 21 6.0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 0.5 6 2.2 1 0.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5 1.9 Zacco platypus 피라미 9 29 37 75 36.8 140 52.0 156 44.3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1 0.5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8 3 11 5.4 8 3.0 1 0.3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1 0.5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2 6 8 3.9 1 0.4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12 11 24 11.8 42 15.6 34 9.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1 0.5 1 0.4 3 0.9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3 2 65 80 39.2 22 8.2 53 15.1총개체수 33 45 120 186 269 352총종수 5 5 9 11 14 18

표 1-27.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8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5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9 9 0.3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4 4 0.1Pungtungia herzi 돌고기 5 5 0.1Zacco platypus 피라미 42 370 110 522 15.2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5 5 0.1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7 12 49 1.4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4 14 0.4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5 37 52 1.5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79 1,283 1,230 2,692 78.4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4 4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8 0.6 69 77.6 2.3총개체수 281 1,676.6 1,476 3,433.6총종수 5 5 9 11

표 1-28.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8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6 -

D 조사구

0

4

8

12

16

20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34.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3) 제 3지역 용담댐호(표 1-29, 30; 그림 1-35, 36)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4목 5과 16종으로서 우점종은 파랑볼우럭

(56.6%)이었고, 아우점종은 피라미(25.3), 끄리(8.4%), 누치(2.5%) 등의 순이었

다. 생체량에서는 누치(31.3%), 파랑볼우럭(22.3%), 끄리(18.3%), 치리(10.0%) 등

의 순이었다. 잉어과 어류는 11종으로 전제 종수의 68.8%를 차지하였다. 2007

년도에 채집된 어류는 3목 4과 17종이었다. 본 조사에만 출현한 어종은 메기,

은어, 가물치 등 3종이었으며, 지난 2008년도에만 출현한 어종은 잉어, 가시납

지리, 참종개, 빙어 등 4종이었다. 2008년도에 비하여 누치, 돌고기, 긴몰개, 치

리 등의 상대풍부도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파랑볼우럭은 증가하였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20개체(0.9%)가 채집되었는데 이는 큰입배스의 습

성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어구에 쉽게 포획되지 않기 때문이지만 루어

낚시를 통해 3회에 걸쳐 약 500개체 내외가 포획되는 것으로 보아 용담댐호의

우점종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age 8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7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2 4 0.2 2 0.1 Cyprinus carpio 잉어 1 0.04 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04 Hemibarbus labeo 누치 11 36 9 56 2.5 277 11.9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6 3 3 12 0.5 24 1.0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0.05 11 0.5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1 0.05 4 0.2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5 5 0.2 16 0.7 Pungtungia herzi 돌고기 3 1 4 0.2 68 2.9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7 22 2 31 1.4 191 8.2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111 44 32 187 8.4 244 10.5 Zacco platypus 피라미 443 117 560 25.3 661 28.5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5 4 6 15 0.7 160 6.9 Cobitidae 미꾸리과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1 0.04 Siluriformes 메기목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2 1 3 0.1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4 0.2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48 7 6 61 2.8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16 57 1,180 1,253 56.6 625 27.0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6 4 20 0.9 28 1.2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us 가물치 1 1 0.05총개체수  208 639 1,367 2,214 2,318  총종수  10 13 12 16 17  

표 1-29.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8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863 128 1,991 7.5 899 3.1 Cyprinus carpio 잉어 63 0.2 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2 0.1 Hemibarbus labeo 누치 602 194 45 841 3.2 9,176 31.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4 33 23 90 0.3 473 1.6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0.01 22 0.1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73 73 0.3 197 0.7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32 32 0.1 97 0.3 Pungtungia herzi 돌고기 2 3 5 0.02 591 2.0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14 52 3 69 0.3 379 1.3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162 2,798 585 12,545 47.4 5,347 18.3 Zacco platypus 피라미 1,208 487 1,695 6.4 2,050 7.0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357 64 145 566 2.1 2,919 10.0 Cobitidae 미꾸리과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 0.01 Siluriformes 메기목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479 18 497 1.9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12 0.04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758 271 399 1,428 5.4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54 1,013 3,834 5,101 19.3 6,516 22.3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25 14 239 0.9 513 1.8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us 가물치 1,320 1,320 5.0총개체수  208 639 1,367 2,214 29,279  총종수  10 13 12 16 17  

표 1-30.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8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69 -

0

10

20

30

40

50

60

파랑

볼우

피라

끄리

은어

누치

긴몰

큰입

배스

치리

참마

붕어

참붕

돌고

메기

돌마

모래

무지

가물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35.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0

1

2

3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36.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큰입배스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8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0 -

특성

조사지역개체수

상대풍부도

(%)평균체장

(범위, ㎜)평균체중

(범위, g)

제 1지역

(진위천)

A 조사구 23 10.3 98.8(58~233)

34.6(4.5~255)

B 조사구 22 3.1 113.7(73~184)

48.5(10.4~16.0)

C 조사구 17 4.9 129.7(47~231)

90.4(2.5~277)

D 조사구 7 5.5 88.6(57~167)

40.3(5.1~135.6)

제 2지역

(만경강)

A 조사구 41 18.5 144.3(48~270)

109(2.5~507)

B 조사구 30 5.3143.5

(29~362)128.7

(0.6~1091)

C 조사구 19 3.6 168.1(62~257)

137.0(5.8~358)

D 조사구 24 11.8 159.0(78~255)

112.2(12.2~406)

제 3지역

(용담댐호)

A 조사구

(루어낚시) 521 - 316(206~458)

822(195~2,550)

B 조사구

(삼각망) 20 0.9 74.6(43~97)

12.1(2.1~23.9)

라. 조사지역별 큰입배스 개체수 및 개체특성(표 1-31)

제 1지역(진위천)에서 채집된 개체수는 A와 B 조사구가 각각 23개체와 22개

체로 가장 많았으나 상대풍부도에 있어서는 A 조사구가 10.3%로서 가장 높았

다. 채집된 개체들은 모든 조사구에서 체장 47~233㎜로서 당년생 치어부터 성

어까지 다양한 연령군이 채집되었다.

제 2지역(만경강)에서는 A 조사구가 41개체로 가장 많았고, 상대풍부도에

있어서도 A 조사구가 18.5%로서 가장 높았다. 모든 조사구에서 당년생 치어

부터 성어까지 고르게 채집되었다.

표 1-31. 각 조사지역별 큰입배스의 개체수 및 개체특성

Page 9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1 -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는 루어낚시를 통해 채집한 A 조사구에서는 체장

206~468(평균 316)㎜의 대부분 성어들로서 521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삼각망으

로 채집한 B 조사구에서는 체장 43~97(평균 74.6)㎜의 당년생 또는 만 1년생

치어들로서 20개체(0.9%)가 채집되었다.

마. 큰입배스의 식이물 분석

(1) 제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그림 1-37)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23개체(체장 58~223㎜)였으며, 이 중 5개

체는 공복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수서곤충 육상곤충 환형동물

그림 1-37.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2 -

체장 50~100㎜의 개체들에서는 수서곤충(40.0%), 육상곤충(30.0%), 어류

(20.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섭식된 수서곤충은 꼬마하루살이과와 부채하

루살이과 등의 유충이었으며, 육상곤충은 잠자리목 성체였고, 그 밖에 소화된

어류와 환형동물인 지렁이를 섭식하였다. 체장 100~150 ㎜의 개체들은 어류가

83.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수서곤충(16.7%)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밀어와 소화된 어류였으며, 수서곤충은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이었다. 체장

150~200㎜의 개체들은 대부분 어류를 섭식하였고, 체장 200㎜ 이상에서는 1개

체가 채집되었으나 공복이었다.

(나) B 조사구(그림 1-38)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22개체(체장 73~134㎜)였으며, 이 중 4개

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구과 유충(57.9%), 어류

(42.1%)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망둑어과 어류, 긴몰개, 소화된 어류 등

이었다. 체장 100~15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75.0%), 깔다구과 유충(16.7%),

환형동물(8.3%)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긴몰개, 밀어, 소화된 어류 등이

었고, 환형동물인 지렁이였다. 체장 150~200㎜의 개체들에서는 대부분 어류가

확인되었다.

(다) C 조사구(그림 1-39)

식이물 분석이 사용된 큰입배스는 17개체(체장 47~231㎜)였으며, 6개체는 공

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지각류가 61.8%로 가장 많이 차

지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어류가 14.7%, 요각류, 깔다구과 유충, 육상곤충이

각각 5.9%, 기타 수서곤충이 4.4%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종동정이 불

가능한 소화된 어류였으며, 기타 수서곤충은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이었다. 체장

100㎜ 이상의 개체들에서는 모두 어류를 섭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섭식

된 어류는 소화된 어류, 붕어 등이었다.

Page 9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3 -

0%

20%

40%

60%

80%

100%

50~100 100~150 150~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깔다구과 유충 환형동물

그림 1-38.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지각류 요각류 깔다구과 유충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환형동물

그림 1-39.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4 -

(라) D 조사구(그림 1-40)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7개체(체장 57~167㎜)였으며, 이 중 1개체

만이 공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요각류가 92.9%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깔다구과 유충(4.0%), 어류(2.4%), 기타 수서곤충

(0.8%)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모두 종동정이 불가능한 소화된 어류였

고, 기타 수서곤충은 등줄하루살이과 유충이었다. 체장 100~200㎜의 개체들에

서는 어류를 섭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장 200㎜ 이상에서는 1개체가

채집되었으나 공복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요각류 깔다구과 유충 기타 수서곤충

그림 1-40.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5 -

(2) 제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그림 1-41)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41개체(체장 48~270㎜)로 전체 만경강 수

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이 중 19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구과 유충이 77.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밖에 등각류(11.0%), 기타 수서곤충(8.3%), 어류(2.8%)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납작하루살이과, 등딱지하루살이, 줄날도래

등의 유충이었고, 어류는 모두 소화된 어류였다. 체장 100~150㎜의 개체들에서

는 등각류(78.1%), 깔다구과 유충(19.9%), 기타 수서곤충(2.3%) 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물벌레과, 실잠자리과 등의 유충이었다. 체장 150~200

㎜의 개체들에서는 어류(76.9%), 기타 수서곤충(15.4%), 육상곤충(7.7%) 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어류는 피라미, 파랑볼우럭, 소화된 어류 등이었으며, 기타

수서곤충은 물잠자리 유충과 육상곤충인 잠자리과 성충이었다. 체장 200㎜ 이

상의 개체들에서는 어류(75.0%), 육상곤충(25.0%)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어류는

소화된 어류, 육상곤충은 잠자리과 성충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깔다구과 유충 등각류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그림 1-41.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6 -

(나) B 조사구(그림 1-42)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30개체(체장 29~362㎜)였으며, 이 중 15개

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100㎜ 이하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지각류(60.9%), 깔다구과 유충

(21.7%), 육상곤충(10.9%), 등각류(6.5%)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육상곤충은 벌목

과 파리목 등의 성충이었다. 체장 100~15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와 육상곤충

(45.5%)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일부 등각류(9.1%)도 섭식하였다. 섭식된 어

류는 밀어와 소화어류 등이었고, 육상곤충은 잠자리목 성충 등이었다. 체장

150~20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와 깔다구과 유충을 각각 50%씩 섭식하였고,

체장 200㎜의 개체들에서는 모두 어류를 섭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00 100~150 150~200 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지각류 깔다구과 유충 등각류 육상곤충

그림 1-4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7 -

(다) C 조사구(그림 1-43)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19개체(체장 62~257㎜)였으며, 이 중 7개

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새우류 뿐이었다. 체장 100~150㎜

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75.0%), 어류(25.0%)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어

류는 밀어였다. 체장 150~20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가 90.9%로 대부분을 차

지하였으며, 그 밖에는 새우류(9.1%)였다. 섭식된 어류는 대부분 밀어였다. 체

장 200㎜ 이상의 개체들에서는 모두 어류였으며, 섭식된 어류는 피라미, 소화

된 어류 등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깔다구과 유충 새우류

그림 1-43.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8 -

(라) D 조사구(그림 1-44)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큰입배스는 24개체(체장 78~255㎜)였으며, 이 중 5개

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50~100㎜ 개체들의 위내용물 조성은 모두 수서곤충이었다. 섭식된 수

서곤충은 동양하루살이과, 꼬마하루살이과, 등줄하루살이과 등의 유충이었다.

체장 100~15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40.0%)와 새우류(40.0%)가 대부분을 차지

하였으며, 그 밖에는 육상곤충(20.0%)이었다. 섭식된 어류는 모두 동종정이 불

가능한 소화된 어류였고, 육상곤충은 물잠자리 성충이었다. 체장 150~200㎜의

개체들에서는 어류와 육상곤충(33.3%), 수서곤충(22.2%) 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어류는 소화된 어류, 육상곤충은 물잠자리 성충, 수서곤충은 하루살이과 유충

등이었다. 체장 200㎜의 이상의 개체들은 어류(60.0%), 육상곤충과 새우류

(20.0%)등의 순이었으며, 섭식된 어류는 소화된 어류, 육상곤충은 물잠자리 성

충이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100 100~150 150~200 20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어류 수서곤충 육상곤충 새우류

그림 1-44.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 큰입배스의 위내용물 상대풍부도 조성

Page 9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79 -

(3) 제 3지역(용담댐호; 그림1-45, 46)

용담댐호는 배스의 유입초기에 해당하는 대형 댐호이다. 분석에 사용한 개

체들은 모두 루어낚시를 통해 포획한 개체들이며, 체장 200㎜이상에 해당하는

성어들이다.

위내용물의 월별 개체수 조성을 살펴보면 5월에는 새우류 섭식률이 50% 이

상으로 높았으며, 어류 섭식률이 40% 정도로서 높았다. 7월에는 어류 섭식률

이 증가하여 65%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밀어 치어를 섭식하였다. 새

우류 섭식률은 20%이하로 감소하였다. 이 시기에는 수면위로 떨어진 육상곤충

(벌류, 개미류, 매미류, 거미류, 메뚜기류, 잠자리류 등)도 일부 섭식하였다. 9

월에는 새우류 섭식률이 80%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어류 섭식률은 10%로

감소하였다.

위내용물의 습중량 조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시기에 어류의 조성이 높았으

나, 9월에는 새우류의 조성이 다른 시기에 비하여 높았다.

위내용물의 개체수 조성에서 7월과 월에 새우류의 조성이 높았으나, 습중량

에서는 어류의 조성이 높았다. 즉 어류의 섭식 개체수는 적지만 비교적 대형

개체를 섭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Page 9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0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월 7월 9월

상대

풍부

도(%

)

새우류 어류 수서곤충 육상곤충

그림 1-45. 제 3지역(용담댐호) 큰입배스 월별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월 7월 9월

상대

풍부

도(%

)

새우류 어류 수서곤충 육상곤충

그림 1-46. 제 3지역(용담댐호) 큰입배스 월별 위내용물의 습중량(g) 상대풍부도 조성

Page 10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1 -

2. 파랑볼우럭

가. 물리적 서식환경

(1) 제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

진위천의 상류수역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인근에 진위면 소재지가 위치하

고 있으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져 있다. 전체 진위천 조사구 중에서

비교적 가장 많은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하폭은 70m 내외이며, 유폭은

20~50m 내외이고, 수심은 30~18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자갈과 모래로 구

성되어져 있으며, 하천 평탄화 공사가 이루어진 흔적이 남아 있다. 수량은 비

교적 풍부하며 유속은 그다지 빠르지 않다. 하변에는 수변 식생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나) B 조사구

오산천과 진위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길이 약 70m, 높이 약 2m의

물보가 설치되어 있다. 물은 매우 탁하고 약간의 악취가 난다. 하폭은 150m

내외이며, 유폭은 7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가 많으며 물보 아래쪽으로 형성된 여울부에는 자갈이 주를 이룬다. 수량

은 매우 풍부하지만 물보에 의하여 위쪽은 비교적 정체수역이며, 아래쪽은 여

울부가 형성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다. 물보 위쪽으로 수생식물이 잘 발달되

어 있으며, 수변에도 식생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다.

(다) C 조사구

황구지천과 진위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하폭은 250m 내외이며, 유

폭은 70~12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로 구

성되어져 있다. 교량이 위치하고 있으며, 교량의 상방에는 유수역이며, 하방은

유속이 느려지면서 유폭이 넓어진다. 수량은 풍부하지만 물은 비교적 탁하다.

Page 10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2 -

(라) D 조사구

진위천의 하류수역에 해당하는 지역이며, 동연교가 위치하고 있다. 수환경이

매우 불안정하여 바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탁하고 악취가 난다. 간혹 물 표

면에 기름막과 거품이 형성되어 있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7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펄과 모래로 이

루어져 있으며, 동연교 교각을 중심으로 자갈과 콘크리트 조각들이 쌓여 있고,

교각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간간이 수생식물군락지가 형성되어 있지만 수변부

는 식생의 발달이 미비하다.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

만경강의 지천 중 삼천에 해당하는 수역이다. 길이 60m 내외, 높이 3m 내

외의 물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쪽 수역은 상수원 보호구역으로서 상수도 취

수장이 위치하여 있다. 하폭은 100m 내외이며 유폭은 30~60m 내외이고, 수심

은 50~18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로 구성되어져 있으나 물보 아래쪽은

자갈이 주를 이룬다. 수량은 풍부하지만 수환경은 비교적 불안정하다. 물보 위

쪽은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으나 아래쪽은 비교적 빠른 여울부가 형성되어

져 있다. 수생식물이 발달되어 있으며 수변에는 넓은 갈대밭이 형성되어져 있

다.

(나) B 조사구

삼천과 전주천이 합류된 이후의 수역으로서 길이 약 100m 내외, 높이 3m

내외의 대형 물보가 설치되어 있다. 물은 매우 탁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수

환경이 매우 불안정하다. 하폭은 150m 내외이며 유폭은 50~10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와 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보

아래쪽으로는 제방 축조에 사용되는 암석조각이 쌓여 있다. 물보 위쪽의 수변

부는 수생 및 반수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되어져 있으나 아래쪽은 하변 정비로

인하여 수변부 식생이 미비하다.

Page 10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3 -

(다) C 조사구

고산천과 전주천이 합류하여 만경강 본류가 시작되는 수역이다. 물은 탁하

고 악취가 나는 등 수환경이 불안정하다. 길이 150m, 높이 2m 내외의 물보가

설치되어져 있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50~7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이다. 하상은 물보 위쪽의 경우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쪽은 큰 바위와 자갈 등이 주를 이룬다. 하변은 제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생발달이 미비하다.

(라) D 조사구

만경강의 지천인 소양천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약 1㎞ 간격으로

물보가 설치되어져 있어 물의 흐름이 대부분 정체되어 있으나 물보 아래쪽으

로는 간간히 여울부가 형성되어져 있다. 하변부와 하중도의 식생과 다양한 수

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되어져 있어 다소의 불안정한 수환경을 보완해주고 있

다. 하폭은 200m 내외이며 유폭은 50~120m 내외이고, 수심은 50~200㎝ 내외

이다. 하상은 주로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져 있다.

(3) 제 3지역(용담댐호)

(가) A 조사구

용담호 본댐이 위치한 하단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큰입배스의 조사지역

이다. 매월 조사시 수위가 점차 내려갔으며, 7월에는 다소 녹조현상이 발생하

기도 하였다.

(나) B 조사구

용담호의 중단부에 해당하는 수역으로서 파랑볼우럭의 조사지역이다. 수량

과 수환경은 A 조사구와 유사하였다.

나. 이화학적 수질조사

(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표 1-32)

용존산소(DO)는 5월의 경우 상류수역인 A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며, 하류수

Page 10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4 -

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월과 9월에는 C 조사구가 가

장 높았으며, B 조사구가 가장 낮았다.

수소이온농도(㏗)는 5월의 경우 A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며, 하류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8월의 경우 A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

며, C 조사구가 가장 높았다. 9월에는 B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며, C 조사구가

가장 높았다. 수소이온농도는 조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8월의 경우 하류 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으며, 모든 조사구가 대부분 9월 조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소요구량(BOD)은 모든 조사시에 하류수역으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구가 5월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9월

조사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은 전반적으로 상류수역에 낮았으며,

하류로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S는 8월에 T-N과 T-P는 5월

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표 1-33)

용존산소(DO)는 5월의 경우 C 조사구가 가장 높았으며, D 조사구가 가장

낮았다. 8월에는 D 조사구가 가장 높았으며, B 조사구가 가장 낮았다. 9월에

는 B 조사구가 가장 높았으며, C 조사구가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의 경우 조

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른 규칙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소이온농도(㏗)는 5월의 경우 C 조사구가 8.66로 가장 높았으며, D 조사

구가 7.52로 가장 낮았다. 8월에는 D 조사구가 7.67로 가장 높았으며, B 조사

구와 C 조사구는 7.0이하로 안정적이었다. 9월에는 A 조사구가 7.90으로 가장

높았으며, C 조사구가 6.98로 안정적이었다. 수소이온농도의 경우 조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른 규칙성을 보이지 않았다.

Page 10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5 -

조사구

항목 및 조사A 조사구 B 조사구 C 조사구 D 조사구

수온(℃)

5월 17.8 20.6 21.3 20.2

8월 25.7 25.2 27.1 27.1

9월 21.5 23.1 23.2 23.0

DO(㎎/L)

5월 5.17 6.24 7.59 8.52

8월 7.64 4.77 9.12 6.58

9월 6.66 4.56 10.49 5.73

수소이온농도

(㏗)

5월 7.10 7.43 7.51 7.63

8월 7.33 7.34 7.85 7.61

9월 7.46 7.25 7.85 7.70

전기전도도

(㎲)

5월 288.7 890.0 748.0 697.0

8월 243.9 500.0 531.5 646.0

9월 291.7 725.5 921.0 764.0

BOD(㎎/L)

5월 2.6 5.6 6.8 9.8

8월 1.4 3.4 3.0 5.9

9월 0.2 1.9 5.9 5.4

SS(㎎/L)

5월 20.1 13.2 14.9 24.5

8월 13.6 16.2 16.9 29.9

9월 4.1 7.2 15.5 20.6

T-N(㎎/L)

5월 3.152 5.804 5.850 7.130

8월 1.705 3.948 3.124 4.847

9월 1.726 5.780 5.692 7.711

T-P(㎎/L)

5월 0.118 0.275 0.281 0.442

8월 0.029 0.248 0.160 0.389

9월 0.024 0.357 0.237 0.393

표 1-32. 제 1지역(진위천)의 각 조사구에 대한 조사시기별 이화학적 수질조사

Page 10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6 -

전기전도도는 조사시기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 조사구는 190㎲ 이

하로서 다른 조사구에 비하여 낮았으며, D 조사구는 250㎲ 이상으로 상대적으

로 높았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D 조사구의 경우 0.6~1.4㎎/L로서 조사시기에

상관없이 비교적 낮았으나 다른 조사구는 조사시기에 따라 변동폭이 컸다. 특

히 B 조사구의 5월 조사에서는 6.1㎎/L로서 가장 높았다.

부유물질량(SS)은 C 조사구와 D 조사구의 경우 6.0㎎/L 이하로 모든 조사

시기에 낮았으며, B 조사구의 경우 9.6~13.6㎎/L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총질소(T-N)는 8월의 경우 모든 조사구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의

경우 A 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며, D 조사구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

다. C 조사구의 경우 조사시기별로 변동폭이 작았다.

총인(T-N)은 D 조사구의 경우 모든 조사 시기에 0.022㎎/L 이하로서 다른

조사구에 비하여 가장 낮았으며, B 조사구의 경우 모든 조사 시기에 가장 높

았다.

(3) 제 3지역(용담댐호; 표 1-34)

용존산소(DO)는 7월에 9.8㎎/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에 6.1㎎

/L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수소이온농도(㏗)는 모든 조사시기에 7.7~7.9로 큰 변화없이 비교적 일정하

였고, 전기전도도는 5월이 가장 높았으며, 9월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

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0.9~1.1㎎/L로서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유물질량(SS)는 7월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9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질소(T-N)는 5월에 가장 낮았으며,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인(T-P)은 5월이 가장 낮았으며, 9월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age 10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7 -

조사구

항목 및 조사A 조사구 B 조사구 C 조사구 D 조사구

수온(℃)

5월 21.0 20.5 17.4 18.4

8월 23.5 25.2 26.4 26.6

9월 22.3 23.2 22.1 22.9

DO(㎎/L)

5월 7.07 6.09 7.29 4.35

8월 7.10 3.92 19.4 6.57

9월 7.51 5.64 5.45 4.64

수소이온농도

(㏗)

5월 7.91 7.81 8.66 7.52

8월 7.09 6.92 6.73 7.67

9월 7.90 7.68 6.98 7.73

전기전도도

(㎲)

5월 206.7 264.9 142.7 288.7

8월 206.9 218.7 184.0 258.3

9월 171.7 216.9 165.5 280.0

BOD(㎎/L)

5월 1.8 6.1 2.9 1.4

8월 1.0 2.2 0.7 1.1

9월 2.6 2.4 0.9 0.6

SS(㎎/L)

5월 6.2 13.6 5.7 3.8

8월 10.1 9.6 2.5 2.8

9월 9.5 10.9 3.5 5.5

T-N(㎎/L)

5월 0.800 2.105 1.136 0.254

8월 3.385 3.174 1.796 3.154

9월 1.083 1.175 1.646 1.747

T-P(㎎/L)

5월 0.042 0.254 0.068 0.022

8월 0.061 0.156 0.032 0.022

9월 0.071 0.307 0.033 0.020

표 1-33. 제 2지역(만경강)의 각 조사구에 대한 조사시기별 이화학적 수질조사

Page 10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8 -

조사시기

수질항목5월 7월 9월

수온(℃) 18 22 19

DO(㎎/L) 8.2 9.8 6.1

수소이온농도(㏗) 7.7 7.9 7.7

전기전도도(㎲) 139 132 105

BOD(㎎/L) 1.1 0.9 1.0

SS(㎎/L) 1.3 1 5.1

T-N(㎎/L) 1.543 2.094 2.069

T-P(㎎/L) 0.009 0.010 0.030

표 1-34. 제 3지역(용담댐호)의 월별 이화학적 수질분석 결과

다. 공서종

(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표 1-35, 36; 그림 1-47, 48)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3과 12종으로서 우점종은 피라미

(40.4%), 아우점종은 파랑볼우럭(19.3%), 큰입배스와 모래무지(10.3%), 돌마자

(4.9%)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파랑볼우럭(46.5%), 큰입배스(20.3%), 피라

미(13.4%), 모래무지(10.8%)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6종이, 2008

년도에 2목 4과 14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에 6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3종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잉어, 각시붕어,

왜매치, 누치, 긴몰개, 점줄종개, 참종개, 동사리, 밀어 등 9종이었으며, 본 조

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강준치, 얼록동사리 등 2종이었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파랑볼우럭은 43개체(19.3%)가 채집되어 진위

천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2007년도 조사부터 상

대풍부도에 있어 점차 증가하였다. 평균 체장은 84.7(25~130)㎜이었고, 평균 체

중은 44.2(0.5~126.7)g 이었다.

Page 10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89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1 3 1.3 7 1.7 23 7.1Cyprinus carpio 잉어 3 0.7 1 0.3Rhodeus uyekii 각시붕어* 1 0.2 1 0.3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2 0.6Hemibarbus labeo 누치 1 0.2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 6 2 10 4.5 33 8.2 14 4.3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0 1 11 4.9 17 5.2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6 17 23 10.3 88 21.8 17 5.2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7 8 3.6 1 0.2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4 5 2.2 3 0.7 10 3.1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3 0.7 6 1.9Zacco platypus 피라미 3 48 39 90 40.4 206 51.1 198 61.1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4 4 1.8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 1 0.4 11 3.4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1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 13 27 43 19.3 27 6.7 4 1.2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4 18 23 10.3 18 4.5 12 3.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0.3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2 2 0.9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1 2.7 총개체수 20 84 119 223 403 324총종수 6 8 11 12 14 16

표 1-35.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0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0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4 8 12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53 155 19 227 5.9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9 3 22 0.6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10 301 411 10.8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 22 24 0.6Pungtungia herzi 돌고기 3 14 17 0.4Zacco platypus 피라미 38 263 210 511 13.4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39 39 1.0Hemiculter eigenmanni 치리* 2 2 0.1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1 788 955 1,774 46.5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76 280 421 777 20.3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3 3 0.1총개체수 220 1,641 1,958 3,819총종수 6 8 11 12

표 1-36.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1 -

0

10

20

30

40

50

피라

파랑

볼우

모래

무지

큰입

배스

돌마

참마

참붕

돌고

강준

붕어

얼록

동사

치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47.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A 조사구

0

5

10

15

20

25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48. 제 1지역(진위천 수계) A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2 -

(나) B 조사구(표 1-37, 38; 그림 1-49, 50)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3과 14종으로서 우점종은 몰개(41.5%),

아우점종은 피라미(24.1%), 치리(15.7%), 파랑볼우럭(4.1%)등의 순이었다. 생체

량에서는 치리(21.2%), 파랑볼우럭(20.9%), 몰개(16.5%), 큰입배스(14.7%)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8종이, 2008년도에 2목 3과 14종이 채집되었

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에 4종이 출현하였으나 본 조사에서는 2종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가

시납지리, 돌마자, 점줄종개, 미꾸리, 쏘가리 등 5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강준치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본 조사에는 몰개와 끄리의 상

대풍부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돌마자는 유속이 완만한 자갈 바닥에 사는 저서

성 어류로 2007년 조사 이후 채집이 되지 않은 것은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느

리고 노출되기가 쉬워서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파랑볼우럭은 29개체(4.1%)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

대풍부도에 있어 점차적으로 높아 졌으며, 평균 체장은 110.3(51~184)㎜이었고,

평균 체중은 69.2(5.1~191.9)g 이었다.

Page 1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3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15 17 2.4 11 1.6 17 3.4Cyprinus carpio 잉어 5 5 0.7 2 0.3 3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 0.3 12 2.4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1 1 0.1 3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 2 5 0.7 39 5.7 8 1.6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20 4.1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9 7 17 2.4 48 7.0 53 10.8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3 3 0.4 1 0.1 6 1.2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279 12 291 41.5 134 19.5 62 12.6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2 11 13 1.9 8 1.2 3 0.6Zacco platypus 피라미 85 84 169 24.1 153 22.3 163 33.1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1 2 3 0.4Hemiculter eigenmanni 치리* 3 96 11 110 15.7 233 34.0 110 22.3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0.2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opomidae 꺽지과

Siniperca scherzeri 쏘가리 1 0.2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 14 12 29 4.1 28 4.1 6 1.2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 10 10 22 3.1 15 2.2 15 3.0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8 8 16 2.3 11 1.6 9 1.8총개체수 301 244 156 701 686 493총종수 9 10 10 14 14 18

표 1-37.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4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0.4 399 399.4 4.2Cyprinus carpio 잉어 269 269 2.8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3 23 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8 72 90 1.0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65 49 102 216 2.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0 10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1,482 82 1,564 16.5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86 201 287 3.0Zacco platypus 피라미 291 644 935 9.9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123 138 261 2.8Hemiculter eigenmanni 치리* 58 1,674 276 2,008 21.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46 1,094 641 1,981 20.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425 346 617 1,388 14.7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8 11 29 0.3총개체수 2,403.4 3,888 3,169 9,460.4총종수 9 10 10 14

표 1-38.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5 -

0

10

20

30

40

50

몰개

피라

치리

파랑

볼우

큰입

배스

붕어

모래

무지

밀어

끄리

잉어

참마

참붕

강준

줄몰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49.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B 조사구

0

1

2

3

4

5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50. 제 1지역(진위천 수계) B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6 -

(다) C 조사구(표 1-39, 40; 그림 1-51, 52)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6과 18종으로 전체 진위천 수계 조사

구 중 가장 다양한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피라미(31.5%), 아우점종은

치리(24.6%), 몰개(18.6%), 붕어(9.5%)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

(29.2%), 치리(22.5%), 붕어(15.1%), 피라미(13.5%)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

목 4과 17종이, 2008년도에 2목 4과 14종이 채집되었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

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돌마자, 참몰개, 끄리, 미꾸리 등 4종

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누치, 미꾸라지 등 2종이었다. 2007년도

와 2008년도에 비하여 몰개와 피라미의 상대풍부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가

시납지리, 모래무지, 치리는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돌마자는 유속이 완만한

자갈 바닥에 사는 저서성 어류로 지난 2007년도 조사 이후 채집되지 않은 것

은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느리고 노출되기 쉬워서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외래어종인 나일틸라피아가 꾸준히 채집되었다.

본 조사에서 큰입배스는 17개체(4.9%)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대

풍부도에서 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129.7(47~231)㎜이었고, 평균

체중은 90.4(2.5~277)g 이었다.

본 조사에서 파랑볼우럭은 10개체(2.9%)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

대풍부도에 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71.8(45~104)㎜이었고, 평균

체중은 21.5(3.8~59.5)g 이었다.

Page 1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7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7 25 33 9.5 90 12.4 45 6.7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6 23 3.2 4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4 4 1.1 154 21.3 84 12.6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1 1 0.3 1 0.3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2 0.6 1 0.1Hemibarbus labeo 누치 1 1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4 4 1.1 24 3.3 12 1.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9 1.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2 2 0.6 34 4.7 30 4.5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3 5 0.7 3 0.4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 0.3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57 8 65 18.6 6 0.8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 1.3Zacco platypus 피라미 9 47 54 110 31.5 21 2.9 51 7.6Hemiculter eigenmanni 치리* 81 5 86 24.6 313 43.3 391 58.6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1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 1 0.3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 3 2 10 2.9 12 1.7 5 0.7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6 10 17 4.9 18 2.5 13 1.9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4 4 1.1 16 2.2 2 0.3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4 1 5 1.4 3 0.4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1 0.3 4 0.6 5 0.7총개체수 156 84 109 349 723 667총종수 8 11 11 18 15 17

표 1-39.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7 17 1,036 1,070 15.1Cyprinus carpio 잉어 179 8 187 2.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49 49 0.7Abbottina springeri 왜매치 4 4 0.1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6 6 0.1Hemibarbus labeo 누치 12 12 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3 23 0.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8 18 0.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0 10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255 43 298 4.2Zacco platypus 피라미 94 417 449 960 13.5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466 133 1,599 22.5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7 17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102 24 188 314 4.4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658 494 923 2,075 29.2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458 458 6.4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5 1 6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3 3 0.04총개체수 2,599 1,237 3,273 7,109총종수 8 11 11 18

표 1-40.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99 -

0

10

20

30

40

피라

치리

몰개

붕어

큰입

배스

파랑

볼우

얼록

동사

가시

납지

참마

나일

틸라

피아

잉어

줄몰

모래

무지

왜매

누치

참붕

미꾸

라지

밀어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5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C 조사구

0

1

2

3

4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52. 제 1지역(진위천 수계) C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0 -

(라) D 조사구(표 1-41, 42; 그림 1-53, 54)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4과 12종으로서 우점종은 몰개(30.7%)

였고, 아우점종은 참붕어(25.2%), 치리(16.5%), 파랑볼우럭(6.3%)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잉어(41.4%), 붕어(20.9%), 떡붕어(15.2%), 치리(9.2%) 등의 순이

었다. 2007년도에 2목 2과 10종이, 2008년도에 2목 3과 12종이 채집되었다. 과

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누치, 모래무지,

끄리, 피라미 등 4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외래종인 떡붕어와

나일틸라피아가 각각 1개체씩 채집되어 주목된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잉어,

참붕어, 몰개의 상대풍부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붕어와 치리는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파랑볼우럭은 8개체(6.3%)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대

풍부도에 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68.6(38~83)㎜이었고, 평균 체

중은 16.0(1.9~24.3)g 이었다.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표 1-53, 54; 그림 1-55, 56)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15종으로서 우점종은 참종개

(21.2%), 아우점종은 피라미(20.3%), 큰입배스(18.5%), 밀어(16.2%), 파랑볼우럭

(7.7%)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61.7%), 잉어(17.8%), 파랑볼우럭

(11.0%), 피라미(4.8%)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9종이, 2008년도에

2목 5과 16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년도

에 6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4종만이 출현하였다. 과거 조

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가시납지리, 각시붕어,

참붕어, 중고기, 참몰개, 미꾸리 등 6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눈동자개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점줄종개와 참종개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참마자, 돌마자, 피라미는 다소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파랑볼우럭은 17개체(7.7%)가 채집되어 2007년도 조사부터 상

대풍부도에 있어 증가하였으며, 평균 체장은 86.1(32~140)㎜이었고, 평균 체중

은 47.5(1~119.3)g 이었다.

Page 1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1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2 1.6 16 4.8 53 6.9Carassius cuvieri 떡붕어 1 1 0.8Cyprinus carpio 잉어 3 1 3 7 5.5 11 3.3 3 0.4Hemibarbus labeo 누치 1 0.3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5 1.9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5 16 11 32 25.2 31 9.4 22 2.8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 2 1.6 3 0.9 32 4.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14 3 22 39 30.7 24 7.3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4 0.5Zacco platypus 피라미 35 10.6 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5 5 3.9 29 8.8 1 0.1Hemiculter eigenmanni 치리* 4 11 6 21 16.5 164 49.7 625 80.9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6 2 8 6.3 2 0.6 2 0.3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 5 7 5.5 11 3.3 16 2.1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1 1 0.8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1 2 1.6 3 0.9 총개체수 36 42 49 127 330 773총종수 8 9 7 12 12 10

표 1-4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2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711 325 1,036 20.9Carassius cuvieri 떡붕어 752 752 15.2Cyprinus carpio 잉어 640 117 1,290 2,047 41.4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8 48.3 64 140.3 2.8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5 5 0.1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45 12.7 56 113.7 2.3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52.4 52.4 1.1Hemiculter eigenmanni 치리* 76 223 156 455 9.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97 4.9 101.9 2.1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1.1 214 225.1 4.5 Cichlidae 시클리과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15.5 15.5 0.3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3 1 4 0.1총개체수 1,605 1,236.9 2106 4947.9총종수 8 9 7 12

표 1-42.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3 -

0

10

20

30

40

50

몰개

참붕

치리

파랑

볼우

잉어

큰입

배스

강준

붕어

참몰

밀어

떡붕

나일

틸라

피아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53.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D 조사구

0

2

4

6

8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54. 제 1지역(진위천 수계) D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4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4 4 1.8 1 0.2 37 11.3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9 1 0.2 2 0.6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2 Rhodeus uyekii 각시붕어* 2 0.6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5 2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 3 1.4 27 4.4 13 4.0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2 0.9 13 2.1 14 4.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 4 7 3.2 32 5.2 14 4.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 0.3 18 5.5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 2 0.9 7 1.1 8 2.5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2 0.6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4 1.2Zacco platypus 피라미 5 10 30 45 20.3 474 77.3 142 43.6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7 3 10 4.5 2 0.3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2 5 10 47 21.2 8 1.3 1 0.3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0.2 1 0.3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1 2 0.9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 8 4 17 7.7 13 2.1 8 2.5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9 13 19 41 18.5 25 4.1 14 4.3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2 1 3 1.4 3 0.5 2 0.6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7 2 17 36 16.2 3 0.5 39 12.0총개체수 76 57 89 222 613 326총종수 7 14 11 15 16 19

표 1-43.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5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2 22 0.3Cyprinus carpio 잉어 1,240 43 1,283 17.8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5 1.5 0.02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57 57 0.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3 1 2.3 0.03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9 7 16 0.2Pungtungia herzi 돌고기 11 5 16 0.2Zacco platypus 피라미 63 15 267 345 4.8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28 13 41 0.6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88 15 23 126 1.7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0.5 6 6.5 0.1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324 321 147 792 11.0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439 2,388 1,634 4,461 61.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28 9 37 0.5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6 3.4 13 22.4 0.3총개체수 959 4,114.7 2,155 7,228.7총종수 7 14 11 15

표 1-44.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6 -

0

10

20

30

40

50

60

70

참종

피라

큰입

배스

밀어

파랑

볼우

점줄

종개

모래

무지

붕어

참마

동사

잉어

돌마

돌고

눈동

자개

줄몰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55.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A 조사구

0

2

4

6

8

10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56. 제 2지역(만경강 수계) A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7 -

(나) B 조사구(표 1-45, 46; 그림 1-57, 58)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2목 6과 15종으로서 우점종은 피라미

(49.6%), 아우점종은 파랑볼우럭(20.1%), 참몰개(10.9%), 모래무지(6.8%), 큰입배

스(5.3%)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35.1%), 피라미(29.2%), 파랑볼

우럭(12.9%), 잉어(7.5%)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23종이, 2008년도

에 2목 4과 15종이 채집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고유어종은 2007

년도에 7종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과 본 조사에서는 3종만이 출현하였다. 과

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큰납지리,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줄몰개, 누치, 돌마자, 돌고기, 중고기, 점줄종개, 참종개

등 12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버들붕어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

여 피라미는 증가하였으며, 붕어, 잉어, 참붕어, 참몰개, 밀어는 다소 감소하였

다. 특히 납자루아과 어류인 가시납지리, 큰납지리,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

붕어 등은 급격히 감소하거나 채집되지 않아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파랑볼우럭은 113개체(20.1%)가 채집되어 전

체 만경강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2007년도 조사

부터 상대풍부도에 있어 증가하였다. 평균 체장은 64.4(28~139)㎜이었고, 평균

체중은 19.8(0.7~156.8)g 이었다.

Page 1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2 7 1.1 62 11.4Cyprinus carpio 잉어 1 1 2 0.4 4 0.7 8 1.5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8 2 10 1.8 5 0.8 8 1.5Acanthorhodeus macropterus 큰납지리 13 2.1 Acheilognathus rhombeus 납지리 5 0.9Rh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 8 1.5Rhodeus uyekii 각시붕어* 2 0.4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0.4Hemibarbus labeo 누치 2 0.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8 1 9 1.6 8 1.5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6 1.1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2 1 5 38 6.8 131 21.4 25 4.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2 2 0.3 29 5.3Pungtungia herzi 돌고기 3 0.5 8 1.5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3 0.6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32 21 8 61 10.9 70 11.5 100 18.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4 2 3 9 1.6 24 3.9 7 1.3Zacco platypus 피라미 108 99 72 279 49.6 181 29.6 171 31.4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0.2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2 0.4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 2 0.4 3 0.6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3 35 55 113 20.1 118 19.3 4 0.7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1 14 5 30 5.3 41 6.7 26 4.8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2 3 0.5 1 0.2 1 0.2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2 3 0.5 9 1.5 56 10.3 Belontiidae 버들붕어과

Macropodus ocellatus 버들붕어 1 1 0.2총개체수 227 181 154 562 611 545총종수 9 14 9 15 15 23

표 1-45.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Page 1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09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8 8 0.1Cyprinus carpio 잉어 805 8 813 7.5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8 4 32 0.3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85 58 143 1.3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30 32 244 606 5.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0.8 0.8 0.01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80 261 59 500 4.6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53 79 213 345 3.2Zacco platypus 피라미 202 1,919 1,046 3,167 29.2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0 20 0.2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561 188 654 1,403 12.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899 1,698 210 3,807 35.1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7.1 2 9.1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0.4 2 2.4 0.02 Belontiidae 버들붕어과

Macropodus ocellatus 버들붕어 2.3 2.3 0.02총개체수 4,143 4,265.6 2,450 10,858.6총종수 9 14 9 15

표 1-46.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0 -

0

10

20

30

40

50

60

피라

파랑

볼우

참몰

모래

무지

큰입

배스

가시

납지

참마

끄리

동사

밀어

잉어

미꾸

붕어

참붕

버들

붕어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57.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B 조사구

0

5

10

15

20

25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58. 제 2지역(만경강 수계) B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1 -

(다) C 조사구(표 1-47, 48; 그림 1-59, 60)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23종으로서 전체 만경강 수계 조

사구 중 가장 다양한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피라미(37.1%), 아우점종은

밀어(15.2%), 누치(11.6%), 파랑볼우럭(11.4%)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누

치(22.5%), 큰입배스(16.6%), 잉어(16.3%), 파랑볼우럭(14.9%) 등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4과 19종이, 2008년도에 3목 6과 20종이 채집되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은 종은

쉬리, 치리, 미꾸라지, 꺽지 등 4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줄몰

개, 참갈겨니, 얼록동사리 등 3종이었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누치, 피라미, 밀

어는 증가하였으며, 모래무지, 참붕어, 참몰개는 다소 감소하였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파랑볼우럭은 61개체(11.4%)가 채집되어 2008

년도와 같이 높은 상대풍부도를 보였으며, 평균 체장은 62.6(26~159)㎜이었고,

평균 체중은 19.1(0.5~185.4)g 이었다.

(라) D 조사구(표 1-49, 50; 그림 1-61)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3목 6과 11종으로 전체 만경강 수계 조사

구 중 가장 적은 종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밀어(39.2%), 피라미(36.8)이었

고, 아우점종은 큰입배스(11.8%), 참종개(5.4%), 눈동자개(3.9%) 등의 순이었다.

생체량에서는 큰입배스(78.4%), 피라미(15.2%), 밀어(2.3%), 눈동자개(1.5%) 등

의 순이었다. 2007년도에 2목 5과 18종이, 2008년도에 3목 6과 14종이 채집되

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 조사에는 채집되었으나 본 조사에서 채집되

지 않은 종은 잉어, 가시납지리, 납자루,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줄몰

개, 참마자, 모래무지, 참붕어, 끄리 등 11종이었으며, 본 조사에서만 채집된

종은 미꾸리였다. 과거 조사에 비하여 참종개, 눈종자개, 피라미는 증가하였으

며, 특히 납자루아과 어류인 가시납지리, 납자루, 납지리, 흰줄납줄개, 각시붕

어 등은 본 조사에서 채집되지 않아 큰입배스에게 쉽게 포식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조사에서 파랑볼우럭은 과거 조사와 마찬가지로 확인되지 않았다.

Page 1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2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2 1 0.3 22 5.7Cyprinus carpio 잉어 4 4 0.7 2 0.5 1 0.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3 3 0.6 8 2.1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3 0.8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1 1 0.2Hemibarbus labeo 누치 42 13 7 62 11.6 37 9.7 21 5.4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9 5 2 26 4.9 33 8.7 11 2.8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2 2 0.4 2 0.5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28 14 42 7.9 74 19.4 32 8.3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1 0.2 2 0.5 18 4.7Pungtungia herzi 돌고기 2 2 0.4 4 1.0 1 0.3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1 1 1 3 0.6 2 0.5 5 1.3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5 1 6 1.1 11 2.9 29 7.5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2 2 0.4 37 9.7 7 1.8Zacco platypus 피라미 175 13 10 198 37.1 90 23.6 125 32.3Zacco koreanus 참갈겨니* 1 1 0.2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4 1 5 0.9 2 0.5Hemiculter eigenmanni 치리* 11 2.8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2 2 0.4 1 0.3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2 0.5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1 0.3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8 9 1.7 3 0.8 Perciformes 농어목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1 0.3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7 31 23 61 11.4 46 12.1 8 2.1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9 6 4 19 3.6 22 5.8 22 5.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1 1 0.2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7 3 71 81 15.2 9 2.4 25 6.5총개체수 299 101 134 534 381 387총종수 12 15 15 23 20 19

표 1-47.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Page 1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3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3 13 0.1Cyprinus carpio 잉어 1,658 1,658 16.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 2 0.02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4 7 11 0.1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4.3 4.3 0.04Hemibarbus labeo 누치 1,032 739 523 2,294 22.5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35 122 44 301 3.0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4 4 0.04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340 440 780 7.6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7 7 0.1Pungtungia herzi 돌고기 2 2 0.02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5 4 5 14 0.1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28 1 29 0.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3 93 0.9Zacco platypus 피라미 309 76 11 396 3.9Zacco koreanus 참갈겨니* 3 3 0.03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995 253 1,248 12.2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1.9 11.9 0.1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3.2 43 46.2 0.5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813 209 498 1,520 14.9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68 940 481 1,689 16.6 Odontobutidae 동사리과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9 9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5 0.8 55 60.8 0.6총개체수 4,610 3,642.2 1,944 10,196.2총종수 12 15 15 23

표 1-48.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3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4 -

0

10

20

30

40

피라

밀어

누치

파랑

볼우

모래

무지

참마

큰입

배스

눈동

자개

참몰

강준

잉어

가시

납지

중고

납자

돌마

돌고

끄리

점줄

종개

붕어

줄몰

참붕

참갈

겨니

얼록

동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59.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C 조사구

0

3

6

9

12

15

2007년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60. 제 2지역(만경강 수계) C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3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5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 2007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 1 0.5 14 4.0Cyprinus carpio 잉어 1 0.3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4 2 0.6Acheilognathus lanceolata 납자루 1 0.4 Acheilognathus rhombeus 납지리 36 10.2Rh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 5 1.4Rhodeus uyekii 각시붕어* 3 0.9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1 1 0.5 5 1.9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2 0.6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25 9.3 3 0.9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1 4.1 11 3.1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1 0.4 21 6.0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 0.5 6 2.2 1 0.3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5 1.9 Zacco platypus 피라미 9 29 37 75 36.8 140 52.0 156 44.3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1 0.5 3 0.9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8 3 11 5.4 8 3.0 1 0.3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1 0.5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2 6 8 3.9 1 0.4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 12 11 24 11.8 42 15.6 34 9.7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1 0.5 1 0.4 3 0.9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3 2 65 80 39.2 22 8.2 53 15.1총개체수 33 45 120 186 269 352총종수 5 5 9 11 14 18

표 1-49.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3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6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1차 2차 3차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9 9 0.3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4 4 0.1Pungtungia herzi 돌고기 5 5 0.1Zacco platypus 피라미 42 370 110 522 15.2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5 5 0.1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7 12 49 1.4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4 14 0.4 Siluriformes 메기목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5 37 52 1.5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79 1,283 1,230 2,692 78.4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4 4 0.1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8 0.6 69 77.6 2.3총개체수 281 1,676.6 1,476 3,433.6총종수 5 5 9 11

표 1-60.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3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7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밀어

피라

참종

눈동

자개

큰입

배스

붕어

쉬리

돌고

점줄

종개

미꾸

동사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61. 제 2지역(만경강 수계) D 조사구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3) 제 3지역 용담댐호(표 1-51, 52; 그림 1-62, 63)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4목 5과 16종으로서 우점종은 파랑볼우럭

(56.6%)이었고, 아우점종은 피라미(25.3), 끄리(8.4%), 누치(2.5%) 등의 순이었

다. 생체량에서는 누치(31.3%), 파랑볼우럭(22.3%), 끄리(18.3%), 치리(10.0%) 등

의 순이었다. 잉어과 어류는 11종으로 전제 종수의 68.8%를 차지하였다. 2007

년도에 채집된 어류는 3목 4과 17종이었다. 본 조사에만 출현한 어종은 메기,

은어, 가물치 등 3종이었으며, 지난 2008년도에만 출현한 어종은 잉어, 가시납

지리, 참종개, 빙어 등 4종이었다. 2008년도에 비하여 누치, 돌고기, 긴몰개, 치

리 등의 상대풍부도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파랑볼우럭은 증가하였다.

본 조사에서 우세하게 출현한 파랑볼우럭은 1,253개체(56.6%)가 채집되었고,

생체량에서도 5,101g(22.3%)를 나타내어 높은 상대풍부도를 나타내었다. 평균

체장은 53.7(21~141)㎜ 이었고, 평균 체중은 14.4(0.1~128)g 이었다.

Page 13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8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2 2 4 0.2 2 0.1 Cyprinus carpio 잉어 1 0.04 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1 0.04 Hemibarbus labeo 누치 11 36 9 56 2.5 277 11.9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6 3 3 12 0.5 24 1.0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0.05 11 0.5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1 0.05 4 0.2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5 5 0.2 16 0.7 Pungtungia herzi 돌고기 3 1 4 0.2 68 2.9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7 22 2 31 1.4 191 8.2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111 44 32 187 8.4 244 10.5 Zacco platypus 피라미 443 117 560 25.3 661 28.5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5 4 6 15 0.7 160 6.9 Cobitidae 미꾸리과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1 0.04 Siluriformes 메기목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2 1 3 0.1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4 0.2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48 7 6 61 2.8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16 57 1,180 1,253 56.6 625 27.0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16 4 20 0.9 28 1.2 Channidae 가물치과Channa argus 가물치 1 1 0.05

총개체수  208 639 1,367 2,214 2,318  총종수  10 13 12 16 17  

표 1-51.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 개체수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3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19 -

조사시기

학명 및 국명

2009년 2008년1차 2차 3차 합계 RA 합계 RA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1,863 128 1,991 7.5 899 3.1 Cyprinus carpio 잉어 63 0.2 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22 0.1 Hemibarbus labeo 누치 602 194 45 841 3.2 9,176 31.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34 33 23 90 0.3 473 1.6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 0.01 22 0.1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73 73 0.3 197 0.7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32 32 0.1 97 0.3 Pungtungia herzi 돌고기 2 3 5 0.02 591 2.0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14 52 3 69 0.3 379 1.3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끄리 9,162 2,798 585 12,545 47.4 5,347 18.3 Zacco platypus 피라미 1,208 487 1,695 6.4 2,050 7.0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357 64 145 566 2.1 2,919 10.0 Cobitidae 미꾸리과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3 0.01 Siluriformes 메기목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479 18 497 1.9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12 0.04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758 271 399 1,428 5.4 Perciformes 농어목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파랑볼우럭 254 1,013 3,834 5,101 19.3 6,516 22.3 Micropterus salmoides 큰입배스 225 14 239 0.9 513 1.8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us 가물치 1,320 1,320 5.0총개체수  208 639 1,367 2,214 29,279  총종수  10 13 12 16 17  

표 1-52.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 생체량(g)

(RA : 상대풍부도(%), * : 한국 고유종)

Page 13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0 -

0

10

20

30

40

50

60

파랑

볼우

피라

끄리

은어

누치

긴몰

큰입

배스

치리

참마

붕어

참붕

돌고

메기

돌마

모래

무지

가물

상대

풍부

도(%

)

개체수

생체량

그림 1-62.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별 상대풍부도 조성

0

10

20

30

40

50

60

2008년 2009년

상대

풍부

도(%

)

그림 1-63. 제 3지역(용담댐호) 파랑볼우럭의 년도별 상대풍부도 비교

Page 14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1 -

라. 조사지역별 파랑볼우럭 개체수 및 개체 특징(표 1-53)

제 1지역(진위천)에서는 A 조사구가 43개체로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D

조사구가 8개체로서 가장 적은 개체수가 채집되었다. 상대풍부도에 있어서는

A 조사구가 19.3%로서 가장 높았으며, C 조사구가 2.9%로서 가장 낮았다. 전

반적으로 진위천은 상류수역일수록 파랑볼우럭의 서식환경이 좋은 것으로 생

각된다.

제 2지역(만경강)에서는 B 조사구가 113개체, 상대풍부도 20.1%로서 가장 풍

부하게 서식하고 있었으며, C 조사구에서도 61개체(11.4%)로서 비교적 풍부하

게 서식하고 있었다. D 조사구에서는 전혀 채집되지 않아 주목된다. B와 C 조

사구에서 파랑볼우럭이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은 이들 수역에 설치되어 있는

수중보에 의해 형성된 정수역이 파랑볼우럭의 좋은 서식처와 산란처를 제공하

기 때문이다.

제 3지역(용담댐호)에서는 총 1,253개체로서 상대풍부도의 56.6%를 차지하는

우점종으로 서식하고 있었다. 채집된 개체들은 당년생 치어부터 성어까지 고

르게 출현하였다. 따라서 파랑볼우럭은 강이나 하천보다는 댐호나 저수지에

잘 적응하며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 파랑볼우럭의 식이물 분석

(1) 제1지역(진위천 수계)

(가) A 조사구(그림 1-64)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43개체(체장 25~130㎜)로 전체 진위천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이 중 5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요각류(55.3%), 지각류

(34.1%), 깔다구과 유충(8.1%), 기타 수서곤충(2.4%)등의 순이었다. 체장 50~80

㎜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92.9%)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밖에는 기타

수서곤충(7.1%)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나비목, 납작하루살이과, 줄날

Page 14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2 -

특성

조사지역개체수

상대풍부도

(%)평균체장

(범위, ㎜)평균체중

(범위, g)

제 1지역

(진위천)

A 조사구 43 19.3 84.7(25~130)

44.2(0.5~126.7)

B 조사구 29 4.1 110.3(51~184)

69.2(5.1~191.9)

C 조사구 10 2.971.8

(45~104)21.5

(3.8~59.5)

D 조사구 8 6.3 68.6(38~83)

16.0(1.9~24.3)

제 2지역

(만경강)

A 조사구 17 7.786.1

(32~140)47.5

(1.0~119.3)

B 조사구 113 20.1 64.4(28~139)

19.8(0.7~156.8)

C 조사구 61 11.462.6

(26~159)19.1

(0.5~185.4)

D 조사구 - - - -

제 3지역

(용담댐호) B 조사구 1,253 56.6 53.7(21~141)

14.4(0.1~128)

도래, 동양하루살이 등의 유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

과 유충(39.5%), 기타 수서곤충(30.%), 육상곤충(23.3%), 거머리강(7.0%)등의 순

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각다귀, 동양하루살이, 애우묵날도래, 네점하

루살이 등의 유충이었고, 육상곤충은 나비목, 메뚜기목, 파리목 등의 성충이었

다. 체장 100㎜ 이상의 개체들은 육상곤충(53.6%), 기타 수서곤충(46.4%) 등이

었고, 섭식된 육상곤충은 개미, 나비목, 실잠자리 성충 등이었고, 기타 수서곤

충은 납작하루살이과, 동양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네점하루살이, 줄날도래,

애우묵날도래 등의 유충이었다. 이 외에 소리쟁이씨앗과 식물조각 등 식물성

먹이도 섭식하였다.

표 1-53. 각 조사지역별 파랑볼우럭의 개체수 및 개체특성

Page 14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3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5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지각류 요각류 깔다구과 유충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거머리강

그림 1-64. 제 1지역 A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나) B 조사구(그림 1-65)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29개체(체장 51~184㎜)였으며, 이 중 4

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구과 유충(80.0%)과 기

타 수서곤충(20.0%)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동양하루살이 유충이었다.

체장 50~8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60.0%), 육상곤충(40.0%) 등의 순

이었고, 섭식된 육상곤충은 나비목 성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

는 깔다구과 유충(84.5%), 육상곤충(9.5%), 기타 수서곤충(3.6%), 복족류(2.4%)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육상곤충은 나비목 성충이었고, 기타 수서곤충은 줄날

도래, 실잠자리 등의 유충, 복족류는 왼돌이물달팽이였다. 110㎜ 이상의 개체

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95.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노래기강(2.3%), 기

타 수서곤충(0.8%)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송장헤엄치게와 각

Page 14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4 -

다귀 유충 등이었다.

이 외에 소리쟁이씨앗, 식물조각, 해캄을 다수 섭식한 개체들도 있었다.

0%

20%

40%

60%

80%

100%

20~5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어류 복족류 노래기강 거머리강

그림 1-65. 제 1지역 B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다) C 조사구(그림 1-66)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10개체(체장 45~104㎜)였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대부분 깔다구과 유충이었

다. 체장 50~8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90.2%), 수정란(7.0%), 기타

수서곤충(2.0%), 어류(0.6%) 등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줄날도래과, 애

우묵날도래과, 납작하루살이과, 밀잠자리 등의 유충이다. 체장 80~110㎜의 개

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98.4%), 기타 수서곤충(1.6%) 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애우묵날도래과와 줄날도래과 등의 유충이었다.

이 외에 소리쟁이씨앗, 식물조각을 섭식한 개체들도 있었다.

Page 14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5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50 50~80 80~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기타 수서곤충 어류 수정란 옆새우류

그림 1-66. 제 1지역 C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라) D 조사구(그림 1-67)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8개체(체장 38~83㎜)였으며, 이 중 1개

체만 공복이었다.

체장 50~8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구과 유충(85.9%), 수정

란(9.8%), 지각류(4.1%), 기타 수서곤충(0.5%)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

곤충은 줄날도래과 유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에서는 모두 깔다구과

유충을 섭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소리쟁이 씨앗을 섭식한 개체들도 있었다.

Page 14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6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80 80~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지각류 기타 수서곤충 수정란

그림 1-67. 제 1지역 D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2) 제2지역(만경강 수계)

(가) A 조사구(그림 1-68)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17개체(체장 32~140㎜)였으며, 이 중 3

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구과

유충(75.0%), 지각류, 요각류, 기타 수서곤충(8.3%)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밀잠자리 유충이었다. 체장 50~80 ㎜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

충(86.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밖에는 기타 수서곤충(13.3%)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줄날도래, 각다귀 등의 유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는 등각류(52.0%), 수정란(22.0%), 깔다구과 유충(20.9%), 복족류

(4.5%) 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복족류는 왼돌이물달팽이와 또아리물달팽이였

다. 체장 110㎜ 이상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68.8%), 등각류(18.8%), 기

타 수서곤충과 복족류(6.3%)등의 순이었고,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실잠자리

Page 14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7 -

과 유충, 복족류는 왼돌이물달팽이였다. 이 외에 식물조각 등도 섭식한 개체들

도 있었다.

0%

20%

40%

60%

80%

100%

20~5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지각류 요각류 등각류 기타 수서곤충 복족류 수정란

그림 1-68. 제 2지역 A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나) B 조사구(그림 1-69)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113개체(체장 28~139㎜)로서 전체 만경

강 수계 조사구 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년생 치어

들이 다수 채집되었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 조성은 깔다

구과 유충(54.3%), 지각류(34.5%), 요각류(7.8%)등의 순이었다. 체장 50~8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89.3%)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정란(6.9%),

등각류(3.0%), 기타 수서곤충(0.5%)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하

루살이목, 딱정벌레목의 유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65.7%), 수정란(32.2%), 거머리강(1.1%), 복족류(0.7%) 등의 순이었다. 섭식

Page 14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8 -

된 복족류는 왼돌이물달팽이였다. 체장 110 ㎜ 이상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75.0%)이 대부분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기타 수서곤충(14.3%), 등각류

(10.7%)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 식물조각, 식물씨앗, 해캄류 등도 섭식하였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5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지각류 요각류 등각류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복족류 거머리강 수정란

그림 1-69. 제 2지역 B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다) C 조사구(그림 1-70)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61개체(26~159㎜)였으며, 이 중 5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20~5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의 조성은 대부분 깔다구

과 유충(81.7%)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기타 수서곤충(11.2%), 등각류(6.3%), 거머

리강(0.4%)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줄날도래과, 하루살이과, 알

락하루살이과, 등줄하루살이과, 꼬마하루살이과, 동양하루살이과 등의 유충이

었다. 체장 50~8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45.5%), 수정란(23.1%), 지

각류(12.6%), 요각류(11.9%), 기타 수서곤충(4.9%) 등의 순이었으며, 섭식된 기

타 수서곤충은 동양하루살이, 줄날도래, 물삿갓벌레 등의 유충이었고, 그 밖에

Page 14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29 -

육상곤충은 파리목 성충이었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

(73.6%), 지각류(12.7%), 기타 수서곤충(1.5%), 새우류(0.7%) 등이었다. 110㎜ 이

상의 개체들에서는 대부분 기타 수서곤충(67.0%)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수정란

(22.0%), 깔다구과 유충(5.5%)등의 순이었다. 섭식된 기타 수서곤충은 줄날도

래, 꼬마하루살이과, 등딱지하루살이과, 날도래과 등의 유충이었다.

이 외에 대부분 소리쟁이씨앗, 사초과 씨앗, 식물조각, 해캄 등을 다수 섭식

한 개체들도 있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5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깔다구과 유충 지각류 요각류 등각류 새우류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거머리강 거미목 물달팽이 옆새우류 수정란

그림 1-70. 제 2지역 C 조사구 파랑볼우럭의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3) 제 3지역(용담댐호; 그림 1-71)

식이물 분석에 사용된 파랑볼우럭은 38개체(체장 53~140㎜)였으며, 이 중 2

개체는 공복이었다. 체장 50~80㎜ 개체들의 동물성 위내용물의 조성은 지각류

(67.6%), 배각류(12.6%), 기타 수서곤충(9.2%), 요각류(6.3%)등의 순이었다. 섭식

Page 14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0 -

된 수서곤충은 등에모기과, 물땡땡이과, 각다귀 유충 등이었으며, 일부 수정란

도 섭식하였다. 체장 80~110㎜의 개체들에서는 깔다구과 유충(45.1%), 기타 수

서곤충(23.0%), 지각류(17.7%), 배각류(13.3) 등의 순이었으며, 섭식한 기타 수서

곤충은 각다귀, 동애등에과, 등에모기과, 물땡땡이과 등의 유충을 섭식하였다.

체장 110㎜ 이상의 개체들에서는 육상곤충(75.4%), 기타 수서곤충(13.4%), 배각

류(9.0%)등의 순이었고, 섭식한 육상곤충은 개미목과 딱정벌레목 등이었다. 그

밖에 거미목도 섭식하였다. 이 외에 소리쟁이씨앗, 식물조각 등도 일부 개체들

은 섭식하였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80 80~110 110~

체장(mm)

상대

풍부

도(%

)

지각류 요각류 깔다구과 유충 등각류 기타 수서곤충 육상곤충 배각류 수정란

그림 1-71. 제 3지역 파랑볼우럭 체장에 따른 동물성 위내용물 개체수 상대풍부도 조성

Page 15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1 -

Ⅳ. 결 론

큰입배스는 치어기에 동물성플랑크톤과 다양한 수중 무척추동물을 섭식하

고, 성어기에는 다양한 토착어류를 섭식한다. 또한 수중생태계와 인접하여 서

식하는 육상동물까지도 포식하는 등 수중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최상위 포식

자에 해당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생태계에서는 큰입배스의 천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그 서식 개체수와 분포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처

럼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의 비정상적인 증가는 생태계의 붕괴로 이어진

다. 즉 큰입배스가 서식하는 수중생태계는 포식에 의해 생물종다양성이 급감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생태적 지위가 다른 다양한 생물들의 상호관계

에 의해 극대화 되어지는 자정능력과 같은 생태적 기능이 급감하게 됨으로서

오염은 더욱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질오염은 또다시 다양한 토착어

류의 서식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환경 보존을 위해서 큰입배

스가 서식하는 수역은 더 이상 개체군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파랑볼우럭의 경우 큰입배스와는 달리 어식성은 비교적 적지만 다양한 수중

무척추동물을 섭식하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을 야기한다. 파랑볼우럭은 정수성

어류로서 호수나 저수지에는 잘 적응하여 번성하지만 유수역인 하천에서는 그

다지 적응력이 부족하여 서식 개체군도 크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부분

의 하천은 용수공급을 위하여 대형 물보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수역의 수환경

이 정수역으로 변화되어져 있다. 이러한 서식처의 변화는 다양한 토종어류의

서식에 제한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파랑볼우럭에게는 좋은 서식처와 산란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랑볼우럭의 개체군 확대 방지뿐만 아니라 수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에 있어서도 불필요한 물보는 철거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조사지역에 대한 큰입배스와 블루길의 관리방안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Page 15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2 -

1. 제 1지역(진위천 수계)

진위천 수계는 하류부로 내려 갈수록 수질오염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로 인

해 다양한 토종어류의 서식종수가 감소되어져 있다. 또한 외래종인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나일틸라피아 등이 폭넓게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외래 육식어종

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수생태계 건강성은 더욱더 가속되어

악화될 것이다. 또한 진위천의 수질악화는 곧이어 아산호와 삽교호의 수질에

도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진위천 수계의 큰입배스와 블루길

은 반드시 제거되어져야 한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

되어져 있는 A 조사구이다. 본 조사에서는 2007년과 2008년 조사보다도 큰입

배스와 파랑볼우럭의 서식 개체군이 증가되어져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토종어

류의 서식 개체수는 감소되어 있거나 채집되지 않았다. 현재까지는 A 조사구

가 진위천 수계 중 가장 수환경이 안정적이며, 물도 비교적 맑은 상태를 유지

하고 있으나 차후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서식상황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급격히 수생태계 건강성이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진위천 수계 중에서도 상류

수역에 해당하는 A 조사구 일대는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2. 제 2지역(만경강 수계)

만경강 수계의 모든 조사구에서 큰입배스의 서식 개체수는 매우 풍부하였고

파랑볼우럭의 서식 개체수는 D 조사구를 제외한 모든 조사구에서 풍부하였다.

만경강 수계도 역시 수환경 보존을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큰입배스와 파랑볼우

럭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만경강 수계 중 토종어류의 서식종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I급에

해당하는 감돌고기와 퉁사리가 서식하는 지천은 고산천이다. 아직까지 고산천

에서 큰입배스의 분포역은 하류수역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수역에 서

식하고 있는 큰입배스에 대하여 방치하게 되면 언제라도 고산천의 중상류수역

으로 분포역이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D 조사구에 해당하며 고산

Page 15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3 -

천과 합류하는 소양천에 서식하는 큰입배스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3. 제 3지역(용담댐호)

인공댐호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축적되기 때

문에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생물 종다양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 특히 호수나 저수지에 주로 서식하는 민물새우류는 바닥의 유기물을 섭식

함으로서 오염원을 제거해주는 청소부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 자원량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용담댐호의 새우류는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에 의해 많은 수가 포식되고 있다. 섬진강 수계에 위치

한 옥정호의 경우 92년도에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이 유입된 이후 민물새우류

의 자원량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매년 녹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용담댐호의 경우도 7~9월 조사에서 일부 수역에서 녹조현상을 목격할 수 있

었다. 따라서 용담댐호의 수환경 보존을 위해서는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서식 개체수 저감 및 제거를 위한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용담호는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의 유입초기 댐호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

들에 의한 수생태계 변화상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도출하기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지속적이고 면밀한 개체군 동태와 섭식생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Page 15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4 -

Ⅴ. 구제방안

환경부에서 지정한 생태계 위해어종인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은 진위천, 만

경강, 용담댐호의 전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종은 모두 산란장

을 만들어 수컷이 부화한 치어까지 지켜주는 산란 습성으로 인해 번식력이 토

착어종에 비하여 매우 높아 일시적으로 개체군이 확대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큰입배스의 경우는 수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에 해당하여 작은 치어 및

성어 뿐만 아니라 민물 새우류 등과 같은 수서무척추동물들을 무제한적으로

포식하기 때문에 수생태계 유입되면 생물다양성이 급감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

아 수생태계 건강성이 악화되어 수질 오염이 가속되게 된다. 파랑볼우럭도 역

시 토착어류의 어린 치어나 수정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서무척추동물을 포

식하기 때문에 큰입배스와 같이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수생태계 보존을 위하여 두 종의 제거 및 개체군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

과 대형 댐호에서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을 구제하기 위해 시행 또는 제안되

어지고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큰입배스의 구제방안

가. 인공산란장을 이용한 번식차단

큰입배스는 자갈바닥에 웅덩이를 파서 산란장을 만들고 암컷을 유인하여 산

란한 후 수컷이 방정하여 수정시킨다. 이러한 산란장을 만드는 습성을 이용하

여 인공 산란장을 만들어 산란기에 설치하면 큰입배스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

다. 인공산란장에 산란이 이루어지면 자갈에 붙어 있는 수정란을 제거함으로

서 번식을 차단하는 것이다. 인공산란장을 이용한 번식차단에 대한 연구는 전

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만경강에서 2008년도에 효과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산란기에 약 100만 여개의 수정란을 제거하는 등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Page 15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5 -

도출한 바 있다. 또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태화강에서 2009년도에 인공산란

장 20개를 설치하여 약 70만개의 수정란을 제거한 바 있다. 따라서 큰입배스

의 산란터로서 적합한 장소에 산란기인 4~6월경에 인공산란장을 설치하여 수

정란을 제거하는 방법을 비용과 인력의 절감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안임으

로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림 1-72. 인공산란장에 산란한 큰입배스의 수정란(좌)과 수정란 제거(우)

그림 1-73. 지인망으로 포획된 큰입배스 당년생 치어

Page 15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6 -

나. 지인망을 이용한 큰입배스 당년생 치어 대량포획

일반적으로 담수어류의 치어기에는 포식자로부터 회피 또는 생존율을 높이

기 위하여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부화한 큰입배스 치어는 체장 10㎜ 전후

로 부상하여 약 30㎜ 내외로 성장할 때까지 수면에 가깝게 무리를 지으며 이

동하면서 동물성플랑크톤을 먹는다. 전장 50㎜ 이상으로 성장하게 되면 독립

행동을 시작하며 먹이습성도 어식성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큰입배스의 당년생

치어를 쉽게 포획할 수 있는 시기는 무리형성시기뿐이다.

실적용 사례로서 2009년 6월에 전주시에 소재한 아중저수지에서 1회 10m를

지인한 결과 포획된 치어는 약 2,300개체, 평균전장은 27.1(21.6~36.6)㎜이었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2009; 그림 1-73).

지인망을 이용한 큰입배스 치어 대량포획법은 기타 토종어류의 혼획률이 적

으며, 무리를 관찰하여 포획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구제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다. 낚시 대회를 통한 성어 포획

큰입배스의 경우 우리나라의 내수면에서 사용 중인 다양한 어구에는 포획률

이 매우 저조하다. 이는 다양한 어구를 회피하는 큰입배스의 습성 때문이다.

그러나 탐식성이 강한 큰입배스는 먹이와 유사한 형태를 띄는 인공미끼에는

적극적으로 섭식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큰입배스만 선택적으

로 포획이 가능한 루어낚시를 통해 성어들을 쉽게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상

수원 보호구역인 팔당댐호의 경우 매월 정기적으로 전문 루어낚시인을 동원하

여 포획하고 있으며, 안동댐호의 경우 큰입배스 루어낚시 프로대회를 정기적

으로 개최하고, 섬진강댐호와 용담댐호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배스낚

시대회를 간헐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낚시대회를 운영 중인 팔당

댐호와 안동댐호에서는 최근 들어 큰입배스의 개체수 감소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Page 15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7 -

그림 1-74. 석촌호수에서 낚시대회를 통한 큰입배스 구제

그림 1-75. 삼각망에 포획된 파랑볼우럭 구제

그림 1-76. 파랑볼우럭의 집단 자연산란장

Page 15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8 -

2. 파랑볼우럭의 구제방안

가. 어구를 이용한 성체 및 치어 대량포획

파랑볼우럭은 큰입배스와 달리 모든 내수면 어업어구에 쉽게 포획되며, 토

종어류가 같이 혼획되기 때문에 토종어류의 보존을 위하여 물리적인 충격이

가장 적은 어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현행 내수면 어업어구 중 대량포획이 가능하며, 물리적인 충격이 가장 적은

어구는 삼각망이다. 삼각망은 망목이 최대한 작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매일

어구를 확인한 후 파랑볼우럭을 제거하고 토종어류는 다시 방류하여야 한다.

삼각망 설치는 4~10월까지가 가장 적당하며, 설치장소는 수심 2m 내외의

수변부가 적당하다.

나. 자연 산란장의 파괴를 통한 번식차단

파랑볼우럭은 수변부에 형성한 집단 산란장을 수컷들이 지킨다. 따라서 집

단 산란이 이루어지는 5~7월경에 자연 산란장을 찾아 어망을 이용해 수컷을

포획하거나 산란터를 자갈이나 모래로 덮어서 번식을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

이다(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2009).

Page 15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39 -

Ⅵ. 참고문헌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2009. 외래 위해어종의 생태조사 및 관리방

안 연구(3차년도).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142pp.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 pp.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3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218 pp.

조규송. 1993. 한국담수동물플랑크톤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389pp.

정 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96pp.

Page 15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0 -

제 2장 생태계교란야생식물

Ⅰ. 서론

우리나라에서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이라 함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과 유전자의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변형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을 말한다(환경부

2006).

2009년 6월 현재 국내 지정된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은 동물 5종, 식물 11

종 등 총 16종으로 이들 중 1998년 돼지풀, 단풍잎돼지풀을 시작으로 2002년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2009년 가시박, 미국쑥부쟁

이, 서양금혼초, 애기수영, 양미역취 등 총 11종이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

되어 있다.

본 조사는 생물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교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생태

계교란야생식물 중 기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

참새피, 도깨비가지 6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종 특성을 파

악하고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을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전국분포조사를 통한

각 조사지역내 분포 증감추이와 더불어 보다 광범위한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

록 전국분포현황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돼지풀과 단풍잎

돼지풀을 대상으로 전국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Page 16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1 -

Ⅱ. 조사방법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모니터링 지침(안)(환경부 2006)에 따라 향후 모니터링

자료의 연속성과 상호 비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사 시 마다 동일한 지점에

서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종별로 동일한 조사도구와 방법을 사용하

였다. 단, 조사지점의 인위적 또는 자연적 훼손 발생 시 변경 또는 추가 조사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하도록 한다.

조사된 식물종 중 멸종위기야생식물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제 3차 전

국자연환경조사지침(국립환경과학원 2006)에 따랐으며, 귀화율은 대상지역에

출현하는 식물 종수에 대한 외래식물 총 종수의 비율로 산정(沼田眞 1975)하

였다.

Ⅲ. 대상종별 모니터링 결과

제1절 돼지풀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경기도 연천군 : 1차 2009년 7월 1일, 2차 2009년 9월 9일

제 2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 1차 2009년 7월 2일, 2차 2009년 9월 29일

제 3지역 전라북도 전주시 : 1차 2009년 7월 2일, 2차 2009년 9월 30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표 2-1).

Page 16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2 -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도로변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5리

(E127°07′47.5″ N38°09′29.1″)

제 2지역 목초지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E126°33′03.6″ N35°26′33.6″)

제 3지역 하천변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E127°06′28.5″ N35°50′26.2″)‘08년 추가

표 2-1. 돼지풀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연천)의 개황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5리 도로변 돼지풀의 분포면적은 ‘07년 10×20㎡,

’08년 50×2㎡에서 ‘09년 110×2㎡로 증가하였으나 대상종의 밀도 및 피도는 낮

아졌으며,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20%로 확인되었다. 대상 조사지는 도로와 숲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분에 도로변을 따라 넓게 위치하며, 단풍잎돼지풀과 칡,

나도바랭이새의 피도가 높게 유지되고, 미국쑥부쟁이의 피도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제 2지역(남원)의 개황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내 돼

지풀의 분포면적은 ‘07년 ’08년 80×5㎡에서 ‘09년 200×5㎡로 증가한 것으로 나

타났으며,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50%로 확인되었다. 가축유전자원시험장 내

옥수수밭을 건너 목초지 내부와 경계부를 따라 넓고 길게 분포한다. 목초수확

을 위하여 주기적인 제초가 이루어지지만 주변부를 중심으로 한 돼지풀의 분

포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삼덩굴, 개망초, 쑥 등의 피

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큰조아재비, 오리새 등의 목초와 혼생한다.

Page 16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3 -

(3) 제 3지역(전주)의 개황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전주천과 삼천 합류부 돼지풀의 분포면적은

200×20㎡로 ‘08년과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제거작업을 통한 관리로 전체적인

피도 및 밀도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차 조사시 조사대상지의 제거작

업으로 조사를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40%로 확인되었

다. 천변 사면과 산책로 주변 초본 식재지에 넓게 분포하며, 돼지풀 뿐 아니라

외래식물에 대한 주기적인 제거작업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쑥, 환삼덩

굴, 망초, 둥근잎미국나팔꽃 등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 돼지풀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돼지풀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07년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전주의 경우 ’08년, ‘09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연천)이 평균 141㎝ - 131㎝ - 77㎝로 감소, 제 2지역(남원)이 평균 184

㎝ - 161㎝ - 138㎝로 감소, 제 3지역(전주)이 평균 132㎝ - 134㎝로 비슷한 수

치로 조사되었다(그림 2-1). 식물체 높이의 변화는 조사 대상지에서 이루어지

는 제초, 제거 등의 인위적 간섭 요인에 의해 시기별 편차가 심해 변동 폭도

크게 나타났다.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연천)이 평균 35% -

48% - 20%로 감소, 제 2지역(남원)이 평균 35% - 81% - 88%로 증가, 제 3지

역(전주)은 평균 58% - 80%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2-2). 전체적으

로 조사지 면적의 증가에 따라 피도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며, 연천의 경우

단풍잎돼지풀, 칡 등 다른 식물종의 우세와 제초 등의 관리로 인하여 피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다. 돼지풀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 종을 정리한 결과, 환삼덩굴, 박주가리, 돼지풀, 쑥, 개망초,

Page 16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4 -

금강아지풀 등이 세 지역 모두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역(연천)에서 1차와 2차

각각 42종과 46종으로 총 67종, 제 2지역(남원)에서 각각 16종과 16종으로 총

24종, 제 3지역(전주)에서 37종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제 2지역(남원)에서 Ⅰ급인 큰엉겅퀴가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 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돼지풀, 개망초 등이 세 지역 모두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

역에서 1차와 2차 각각 14종(33%)과 11종(23%)으로 총 16종(23%), 제 2지역에

서 각각 10종(62%)과 7종(43%)으로 총 12종(50%), 제 3지역에서 16종(43%)로

조사되었다. 대상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 및 귀화율은 각각 총 97종 중

35종으로 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3, 표 2-2~3).

0

50

100

150

200

250

연천 전주 남원

키(cm

)

2007 2008 2009

그림 2-1. 돼지풀 식물체 높이 변화

0

20

40

60

80

100

연천 전주 남원

피도

(%

)

2007 2008 2009

그림 2-2. 돼지풀 피도 변화

Page 16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5 -

0

20

40

60

80

100

120

연천 1차 연천 2차 남원 1차 남원 2차 전주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3. 조사지역별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연천 1차 18과 40속 42종 42분류군 14종 33

연천 2차 15과 39속 44종 1아종 1변종 46분류군 11종 23

남원 1차 9과 14속 16종 16분류군 10종 62

남원 2차 7과 12속 16종 16분류군 7종 43

전주 15과 32속 34종 3변종 37분류군 16종 43

전 체 30과 74속 92종 1아종 4변종 97분류군 35종 36

표 2-2. 돼지풀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16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6 -

학 명 국 명연천

연천

남원

남원

②전주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0 0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0

Moraceae 뽕나무과

Fatoua villosa (Thunb.) Nakai 뽕모시풀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0 0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longispica Steud. 왜모시풀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여뀌 0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0

Persicaria nepalensis H. Gross 산여뀌 0

Persicaria sagittata H. Grossex Nakai 미꾸리낚시 0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좀소리쟁이* 0 0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0 0

Caryophyllaceae 석죽과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0 0

Amaranthaceae 비름과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0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0 0

Papaveraceae 양귀비과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0

Cruciferae십자화과

Capsella bursapastoris L. W. Medicus 냉이 0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0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0

표 2-3. 돼지풀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16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7 -

학 명 국 명연천

연천

남원

남원

②전주

Rosaceae 장미과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0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0

Leguminosae 콩과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 Ohashi새콩 0

Chamaecrista nomame H. Ohashi 차풀 0 0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0 0 0

Kummerowia stipulacea Makino 둥근매듭풀 0

Kummerowia striata Schindl. 매듭풀 0 0

Lespedeza cuneata G. Don 비수리 0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0 0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0 0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0 0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0 0 0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0 0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sibiricum L. 쥐손이풀 0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이질풀 0

Euphorbiaceae 대극과

Acalypha australis L. 깨풀 0 0

Euphorbia maculata L. 큰땅빈대* 0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javanica L. 붉나무 0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0

Sterculiaceae 벽오동과

Corchoropsis tomentosa Makino 수까치깨 0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0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0 0 0

Page 16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8 -

학 명 국 명연천

연천

남원

남원

②전주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0

Rubiaceae 꼭두서니과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0

Convolvulaceae 메꽃과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0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 Gray 둥근잎미국나팔꽃* 0

Ipomoea purpurea Roth 둥근잎나팔꽃* 0

Labiatae 꿀풀과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Hara 층층이꽃 0

Leonurus japonicus Houtt. 익모초 0 0

Mosla punctulata (J. F. Gmelin) Nakai 들깨풀 0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0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0 0 0 0 0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0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0 0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0 0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0 0 0

Bidens biternata Merr. & Sherff ex Sherff 털도깨비바늘 0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0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0 0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Ⅰ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0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0

Crepidiastrum denticulatum Pak & Kawano 이고들빼기 0

Dendranthem aboreale Ling ex Kitam. 산국 0 0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0 0 0 0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0

Page 16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49 -

학 명 국 명연천

연천

남원

남원

②전주

Erigeron strigosus Muhl. 주걱개망초* 0

Ixeris stolonifera A. Gray 좀씀바귀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0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추* 0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0 0

Xanthium canadense Mill. 큰도꼬마리* 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0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0

Bromus secalinus L. 큰참새귀리* 0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0 0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0 0

Digitaria radicosa (Presl) Miq. 좀바랭이 0

Digitaria violascens Link 민바랭이 0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돌피 0 0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나도개피 0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0

Hemarthria sibirica (Gand.) Ohwi 쇠치기풀 0

Microstegium vimineum A. Camus 나도바랭이새 0 0

Oplismenus undulatifolius P. Beauv. 주름조개풀 0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0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0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0

Phragmites japonica Steud. 달뿌리풀 0 0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0 0

Setaria glauca (L.) P. Beauv. 금강아지풀 0 0 0

Setaria viridis (L.) P. Beauv. 강아지풀 0 0 0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akino 솔새 0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0

*: 외래식물, Ⅰ: 특정식물종

Page 16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0 -

제2절 단풍잎돼지풀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 1차 2009년 7월 1일, 2차 2009년 9월 8일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 1차 2009년 9월 8일

제 2지역 부산광역시 대저1동 : 1차 2009년 7월 9일, 2차 2009년 9월 16일

제 3지역 경기도 연천군 : 1차 2009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시 : 1차 2009년 9월 11일

제 4지역 인천광역시 백석동 : 1차 2009년 7월 8일, 2차 2009년 9월 28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의 행정구역과 변동지점은 다음과 같다(표 2-4, 그림 2-4, 7).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하천변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검전리

(E126°51′01.4″ N37°48′34.5″)‘09년 훼손

하천변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눌노천변

(E126°54′37.3″ N37°54′16.9″)‘09년 대체

제 2지역 강변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낙동강변

(E128°59′02.9″ N35°12′17.1″)‘08년 대체

제 3지역

숲 입구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군사훈련장

(E127°03′31.0″ N38°03′27.2″)

‘08년 추가

‘09년 훼손

하천변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곡릉천변

(E126°53′04.1″ N37°40′25.9″)‘09년 대체

제 4지역 도로변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 64-1번지

(E126°40′13.8″ N37°34′51.3″)

표 2-4. 단풍잎돼지풀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Page 17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1 -

그림 2-4.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대체 조사지점

그림 2-5. 파주시 광탄면 훼손지 그림 2-6. 파주시 법원읍 대체지

Page 17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2 -

그림 2-7. 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대체 조사지점

그림 2-8. 연천군 군남면 훼손지 그림 2-9. 고양시 신원동 대체지

Page 17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3 -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파주)의 개황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검전리 도로변의 단풍잎돼지풀 분포지의 조사결과,

옥수수경작 및 제초 등의 인위적 간섭으로 훼손되어 조사 수행이 부적합하다

판단되어 조사 대상지에서 제외하였다.

대체 조사지로 선정한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눌노천변에 위치한 단풍잎돼지

풀의 분포면적은 100×1㎡, 피도는 75%로 눌노천변을 따라 길게 분포한 단풍

잎돼지풀 분포지에서 일부 집중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하

였다. 미국쑥부쟁이와 환삼덩굴의 피도가 높아 앞으로의 분포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2) 제 2지역(부산)의 개황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낙동강변의 강서대교와 구포대교 사이에 위치한

단풍잎돼지풀의 분포면적은 ‘08년 60×30㎡에서 ’09년 350×10㎡로 증가하였으

며 평균 피도는 40%로 확인되었다. 낙동강변 경작지와 강변도로 사이의 사면

을 따라 길게 분포하며, 경작지로 침입하는 개체 외에는 따로 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털물참새피, 양미역취, 가시상치 등의 외래식물과

혼생하고, 강변을 따라 확산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거 관리가

요구된다.

(3) 제 3지역(연천, 고양)의 개황

‘08년 선정한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군사훈련장의 현지 조사결과, 조사지 주

변의 들깨경작과 제초작업 등의 인위적 간섭, 그리고 군사훈련으로 인한 위험

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어 조사 대상지에서 제외하였다.

대체 조사지로 선정한 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곡릉천변에 위치한 단풍잎돼지

풀의 분포면적은 200×7㎡, 피도는 60%로 곡릉천변을 따라 길게 분포하고 있

는 군락에서 일부 집중분포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천을 따라

Page 17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4 -

확산 가능성이 충분하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가시박, 미국쑥부쟁이와 함께

제거 관리가 요구된다.

(4) 제 4지역(인천)의 개황

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 도로변에 위치한 단풍잎돼지풀의 분포면적은 ‘07년

’08년 500×30㎡에서 ‘09년 220×1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피도는

40%로 확인되었다. 매립지도로를 따라 양 옆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별한 인

위적인 간섭 없이 개체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같이 생육하는

가시박의 면적은 50×2㎡, 피도 20%로 단풍잎돼지풀과 함께 인근 숲으로 확산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거 관리가 요구된다.

나. 단풍잎돼지풀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단풍잎돼지풀의 생태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07년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올해 대체 선정 지

역인 파주와 고양의 경우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부산의 경우 ’08년, ‘09년

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파주)이 평균 217㎝, 제 2지역(부산)이 270㎝ - 193㎝로 감소, 제 3지

역(고양)이 207㎝, 제 4지역(인천)이 328㎝ - 315㎝ - 252㎝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2-10). 식물체 높이의 변화는 연속된 조사지점인 인천의 경우

특별한 감소 요인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

지역(파주)이 평균 85%, 제 2지역(부산)이 평균 83% - 88%로 증가, 제 3지역

(고양)이 평균 80%, 제 4지역(인천)이 83% - 73% - 85%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그림 2-11). 전체적으로 80%이상의 높은 피도를 보이며, 인천의 경우

특별한 간섭요인 없이 일정 수준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Page 17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5 -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파주 고양 인천 부산

키(c

m)

2007 2008 2009

그림 2-10. 단풍잎돼지풀 식물체 높이 변화

0

20

40

60

80

100

파주 고양 인천 부산

피도

(%)

2007 2008 2009

그림 2-11. 단풍잎돼지풀 피도 변화

Page 17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6 -

라. 단풍잎돼지풀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 종을 정리한 결과, 환삼덩굴, 달맞이꽃, 단풍잎돼지풀, 쑥 등

이 네 지역 모두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역(파주)에서 총 13종, 제 2지역(부산)

에서 1차와 2차 각각 30종과 36종으로 총 52종, 제 3지역(고양)에서 총 22종,

제 4지역(인천)에서 각각 54종과 32종으로 총 66종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

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제 1지역(파주)에서 Ⅰ급인 큰엉겅퀴, 제 2지역(부산)에서

Ⅴ급인 삼백초, Ⅰ급인 쥐방울덩굴, 제 3지역(고양)에서 Ⅲ급인 긴병꽃풀, Ⅰ급

인 쥐방울덩굴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제 2지역(부산)에서 Ⅱ급인

삼백초가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 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달맞이

꽃, 단풍잎돼지풀 등이 네 지역 모두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역에서 총 7종

(53%), 제 2지역에서 1차와 2차 각각 16종(53%)과 14종(38%)으로 총 22종

(42%), 제 3지역에서 총 7종(31%), 제 4지역에서 각각 15종(27%)과 12종(37%)

으로 총 19종(28%)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 및 귀

화율은 각각 총 105종 중 37종으로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12, 표 2-5~6).

0

20

40

60

80

100

120

파주 부산 1차

부산 2차

고양 인천 1차

인천 2차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12.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17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7 -

학 명 국 명 파주부산

부산

②고양

인천

인천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0 0 0 0

Fagaceae 참나무과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밤나무 0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0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졸참나무 0

Moraceae 뽕나무과

Morus alba L. 뽕나무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0 0 0 0

Urticaceae 쐐기풀과

Pilea mongolica Wedd. 모시물통이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여뀌 0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0

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며느리배꼽 0 0 0

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ex Nakai 고마리 0 0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0 0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0 0 0

Rumex japonicus Houtt. 참소리쟁이 0 0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좀소리쟁이* 0

Caryophyllaceae 석죽과

Silene firma Siebold & Zucc. 장구채 0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0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0 0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0 0 0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0

표 2-5. 단풍잎돼지풀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17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8 -

학 명 국 명 파주부산

부산

②고양

인천

인천

Saururaceae 삼백초과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삼백초Ⅴ,** 0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Ⅰ 0 0

Papaveracea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Ohwi 애기똥풀 0 0

Cruciferae십자화과

Brassica juncea (L.) Czern. 갓* 0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0 0 0 0

Rosaceae 장미과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0 0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0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0 0

Leguminosae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0 0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0 0 0

Lespedeza cuneata G. Don 비수리 0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0 0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0 0

Senna tora (L.) Roxb. 결명자 0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0 0 0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0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0

Cucurbitaceae 박과

Cucurbita moschata Duchesne 호박 0 0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0 0 0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0 0 0 0

Araliaceae 두릅나무과

Kalopanax septemlobus Koidz. 음나무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Page 17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59 -

학 명 국 명 파주부산

부산

②고양

인천

인천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0

Convolvulaceae 메꽃과

Ipomoea batatas (L.) Lam. 고구마 0

Ipomoea triloba L. 별나팔꽃* 0

Quamoclit coccinea Moench 둥근잎유홍초* 0 0

Labiatae 꿀풀과

Glechoma grandis (A. Gray) Kuprian. 긴병꽃풀Ⅲ 0

Salvia plebeia R.Br. 배암차즈기 0

Stachys japonica Miq. 석잠풀 0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pumilus (Burm. f.) Steenis 주름잎 0

Acantha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0

P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0 0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0 0 0 0 0 0

Artemisia annua L. 개똥쑥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0 0 0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0 0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0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0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0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Ⅰ 0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0

Crassocephalum crepidioides S. Moore 주홍서나물* 0

Dendranthem aboreale Ling ex Kitam. 산국 0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0 0

Gnaphalium affine D. Don 떡쑥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0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추* 0 0

Page 17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0 -

학 명 국 명 파주부산

부산

②고양

인천

인천

Solidago altissima L. 양미역취* 0

Solidago serotina Aiton 미국미역취* 0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0 0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0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0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0 0 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0

Bromus unioloides H. B. & K. 큰이삭풀* 0 0

Bromus secalinus L. 큰참새귀리* 0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산조풀 0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0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0 0 0

Digitaria violascens Link 민바랭이 0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돌피 0 0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0 0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 Beauv. 그령 0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0

Hemarthria sibirica (Gand.) Ohwi 쇠치기풀 0

Lolium perenne L. 호밀풀* 0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 Beauv. 주름조개풀 0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0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0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털물참새피* 0 0

Phragmites japonica Steud. 달뿌리풀 0 0 0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0 0 0

Setaria glauca (L.) P. Beauv. 금강아지풀 0 0

Setaria viridis (L.) P. Beauv. 강아지풀 0 0 0 0

Sporobolus fertilis (Steud.) Clayton 쥐꼬리새풀 0

Cyperaceae 사초과

Cyperus microiria Steud. 금방동사니 0

Carex neurocarpa Maxim. 괭이사초 0

Page 18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1 -

학 명 국 명 파주부산

부산

②고양

인천

인천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0

Liliaceae 백합과

Lilium lancifolium Thunb. 참나리 0

Agavaceae 용설란과

Yucca filamentosa L. 실유카 0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batatus Decne. 마 0

Orchidaceae 난초과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타래난초 0

*: 외래식물, Ⅴ, Ⅲ, Ⅰ: 특정식물종, **: 멸종위기식물 Ⅱ급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파주 6과 13속 13종 13분류군 7종 53

부산 1차 15과 26속 29종 1변종 30분류군 16종 53

부산 2차 13과 32속 35종 1변종 36분류군 14종 38

고양 14과 21속 21종 1변종 22분류군 7종 31

인천 1차 25과 48속 52종 2변종 54분류군 15종 27

인천 2차 14과 28속 32종 32분류군 12종 37

전 체 35과 84속 102종 3변종 105분류군 37종 35

표 2-6. 단풍잎돼지풀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18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2 -

제3절 서양등골나물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서울 평화의공원 : 1차 2009년 6월 24일, 2차 2009년 10월 6일

제 2지역 서울 남산공원 : 1차 2009년 6월 26일, 2차 2009년 10월 6일

제 3지역 경기도 남한산성 : 1차 2009년 6월 25일, 2차 2009년 10월 7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표 2-7).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하천변서울 마포구 상암동 평화의공원 난지천변

(E126°53′49.8″ N37°33′49.5″)‘08년 대체

제 2지역 공원서울 중구 회현동 남산공원

(E126°59′34.8″ N37°32′52.1″)

제 3지역 산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158-1 남한산성

표 2-7. 서양등골나물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평화의공원)의 개황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내 평화의공원 난지천변의 서양등골

나물의 분포면적은 ‘08년 30×50㎡에서 ’09년 70×20㎡로 큰 변화는 없었으며,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40%로 확인되었다. 평화의공원 내 평화주차장 옆 난지

Page 18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3 -

천변 양 옆으로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이동로를 중심으로 일부 제

초가 이루어지지만 분포지 내부의 관리는 따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

다. 서양등골나물 외에도 미국가막사리, 미국쑥부쟁이, 미국자리공, 개망초, 붉

은서나물 등 외래식물의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나 이들의 확산 방지에 주의를

요한다.

(2) 제 2지역(남산공원)의 개황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에 위치한 남산공원은 서울 중구와 용산구에 걸쳐 있

으며, 1일 평균 2만 명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는 도시자연공원으로 공원 전체에

광범위하게 서양등골나물이 분포하고 있다. 조사 지점에 서양등골나물 제거 흔

적이 남아있으며, 일부 아까시나무의 벌채목이 쌓여 있는 등 공원 전체에 걸쳐

지속적인 외래식물 제거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보인다.

(3) 제 3지역(남한산성)의 개황

경기도 광주시,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있는 남한산성도립공원 중 성곽은 광

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위치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은 남한산성도립공원 전반

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조사는 약 12㎞ 길이의 산성 성곽과 등산로를 따라

출현하는 서양등골나물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식생의 주요 우점종으로 상층

은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분포하고, 서양등골나물은 대규모로 띠를 이뤄 분포

하기 보단 소규모 군락의 형태로 연속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서양등골나물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서양등골나물의 생태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07년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평화의공원의 경우

‘08년, ’09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평화의공원)이 평균 100㎝ - 100㎝로 같고, 제 2지역(남산

공원)이 115㎝ - 120㎝ - 101㎝로 감소, 제 3지역(남한산성)이 108㎝ - 103㎝ -

98㎝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그림 2-13), 이는 특별한 인위적 간섭 없

Page 18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4 -

이 자연 생장시 비슷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평화의공원)이 평균 66% - 95%, 제 2지역(남산공원)이 평

균 75% - 55% - 80%로 증가, 제 3지역(남한산성)이 평균 32% - 52% - 77%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2-14). 세 지역 모두 70%이상의 높은 피도를

나타냈으며, 각각의 공원 관리시설에서 꾸준한 모니터링 및 제거작업이 이루

어지지 않을 경우 분포 및 피도는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0

30

60

90

120

150

평화의공원 남산공원 남한산성

키(c

m)

2007 2008 2009

그림 2-13. 서양등골나물 식물체 높이 변화

Page 18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5 -

0

20

40

60

80

100

평화의공원 남산공원 남한산성

피도

(%)

2007 2008 2009

그림 2-14 서양등골나물 피도 변화

라. 서양등골나물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종을 정리한 결과, 팽나무, 느티나무, 개여뀌, 뱀딸기, 찔레

꽃, 단풍나무, 제비꽃 등이 두 지역 모두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역(평화의공

원)에서 1차와 2차 각각 47종과 35종으로 총 59종, 제 2지역(남산공원)에서 1

차와 2차 각각 52종과 28종으로 총 62종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

물종으로는 평화의공원에서 Ⅲ급인 낭아초, 단풍나무, 남산공원에서 Ⅲ급인 향

나무, 단풍나무, Ⅰ급인 잣나무, 줄사철나무, 사철나무, 일월비비추가 확인되었

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미국자리공, 흰명아주, 가죽

나무, 망초, 서양등골나물 등이 두 지역 이상에서 출현하였고, 제 1지역 1차에

서 18종(38%), 2차에서 13종(37%)으로 총 21종(35%), 제 2지역 1차에서 6종

(11%), 2차에서 6종(21%)으로 총 9종(14%)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 및 귀화율은 각각 총 99종 중 25종으로 25%를 차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그림 2-15, 표 2-8~9).

Page 18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6 -

0

20

40

60

80

100

120

평화 1차 평화 2차 남산 1차 남산 2차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15.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평화 1차 24과 44속 45종 2변종 47분류군 18종 38

평화 2차 17과 31속 34종 1변종 35분류군 13종 37

남산 1차 32과 45속 46종 5변종 1품종 52분류군 6종 11

남산 2차 21과 27속 27종 1변종 28분류군 6종 21

전 체 43과 78속 91종 7변종 1품종 99분류군 25종 25

표 2-8. 서양등골나물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18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7 -

학 명 국 명평화

평화

남산

남산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0 0

Ginkgoaceae 은행나무과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0

Pinaceae 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0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Ⅰ 0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Ⅲ 0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0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0 0

Quercus serrata Thunb. 졸참나무 0

Ulmaceae 느릅나무과

Celtis sinensis Pers. 팽나무 0 0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0 0

Moraceae 뽕나무과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0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여뀌 0 0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0 0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며느리배꼽 0

Persicaria thunbergii H.Gross ex Nakai 고마리 0 0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0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0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0 0 0

Caryophyllaceae 석죽과

표 2-9. 서양등골나물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18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8 -

학 명 국 명평화

평화

남산

남산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0 0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0 0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0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0 0 0 0

Papaveracea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애기똥풀 0

Rosaceae 장미과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0 0

Crataegus scabrida Sarg. 미국산사 0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0 0 0 0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0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0 0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0

Leguminosae 콩과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0 0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 낭아초Ⅲ 0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0 0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0 0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 Ohashi새팥 0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0 0

Oxalis stricta L. 선괭이밥 0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0 0 0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Ⅲ 0 0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0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flagellaris Rupr. 푼지나무 0 0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Miq.) Rehder 줄사철나무Ⅰ 0

Page 18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69 -

학 명 국 명평화

평화

남산

남산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Ⅰ 0

Vitaceae 포도과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lanch. 담쟁이덩굴 0 0 0

Malvaceae 아욱과

Hibiscus syriacus L. 무궁화 0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0 0 0

Viola papilionacea Pursh 종지나물* 0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0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kousa F.Buerger ex Miguel 산딸나무 0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0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Sugim. 산철쭉 0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때죽나무 0 0 0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0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0

Fraxinus sieboldiana Blume 쇠물푸레나무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Rubiaceae 꼭두서니과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0 0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dichotoma (Lour.) K.Koch 좀작살나무 0 0

Labiatae 꿀풀과

Mosla punctulata (J.F.Gmel.) Nakai 들깨풀 0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ô 소엽 0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0

Page 18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0 -

학 명 국 명평화

평화

남산

남산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Hara 파리풀 0

P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0 0 0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0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딱총나무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0 0

Bidens biternata (Lour.) Merr. & Sherff ex Sherff 털도깨비바늘 0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0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0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산국 0 0 0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0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0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0 0

Eupatorium rugosum Houtt. 서양등골나물* 0 0 0 0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털별꽃아재비*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Sonchus brachyotus DC. 사데풀 0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0 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0

Agropyron repens (L.) P.Beauv. 구주개밀* 0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0 0 0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참억새 0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주름조개풀 0 0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0

Page 19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1 -

학 명 국 명평화

평화

남산

남산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0

Cyperaceae 사초과

Carex japonica Thunb. 개찌버리사초 0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0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0

Liliaceae 백합과

Hosta capitata (Koidz.) Nakai 일월비비추Ⅰ 0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비비추 0

Hosta plantaginea (Lam.) Aschers. 옥잠화 0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맥문동 0 0

Smilax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0

Iridaceae 붓꽃과

Iris pseudoacorus L. 노랑꽃창포 0

*: 외래식물, Ⅲ,Ⅰ: 특정식물종

Page 19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2 -

제4절 털물참새피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제주도 외도 2동 : 1차 2009년 6월 18일, 2차 2009년 9월 22일

제 2지역 전라남도 나주시 : 1차 2009년 6월 9일, 2차 2009년 9월 2일

제 3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 1차 2009년 6월 10일, 2차 2009년 9월 3일

제 4지역 경상남도 창녕군 : 1차 2009년 7월 9일, 2차 2009년 9월 17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의 행정구역과 변동지점은 다음과 같다(표 2-10, 그림 2-16).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하천변제주도 제주시 내도동 도근천 하류

(E126°26′38.2″ N33°29′19.5″)

제 2지역 저수지전남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 산제제

(E126°49′30.2″ N35°01′18.5″)

제 3지역 저수지전남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 개초저수지

(E126°19′03.4″ N34°38′33.6″)

제 4지역

하천변경남 창녕군 이방면 모곡리

(E128°23′39.6″ N35°32′02.5″‘09년 훼손

강변부산 사상구 삼락동 낙동대교 아래

(E128°58′17.1″ N35°08′58.3″)‘09년 대체

표 2-10. 털물참새피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Page 19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3 -

그림 2-16.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대체 조사지점

그림 2-17. 창녕군 이방면 훼손지 그림 2-18. 부산 삼락동 대체지

Page 19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4 -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제주)의 개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내도동 도근천 하류에 위치한 털물참새피 분포면적

은 ‘07년, ’08년 300×15㎡, ’09년 400×13㎡로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지에 분포하는 털물참새피의 평균 피도는 약 95%로 확인되었다. 조사 대

상지는 하천 수변을 따라 좌우로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작년과 달리 분포면

적의 큰 변동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천 수변에 정착한 후 하천 내부로

지하경을 뻗으며 생육 면적을 넓혀가는 등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는 한 털물참

새피의 확산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제 2지역(나주)의 개황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 산제제에 위치한 털물참새피의 분포면적은

‘07년 100×3㎡, ’08년 100×4㎡, ‘09년 200×3㎡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

사지에 분포하는 털물참새피의 평균 피도는 약 85%로 확인되었다. 산제제의

수변을 따라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 저수지 북향에 지방도 공사가 진행중이었

고 일부 주변 논과 연결된 수로를 통하여 침입해 번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인 가시연꽃은 확인되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연

꽃이 대부분의 수면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변부와 인접한 장소에서는 고마리,

부들, 줄 등의 수생식물과 수변부 생육지 경쟁을 벌이고 있다.

(3) 제 3지역(해남)의 개황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 개초저수지는 화원반도 77번 국도변에 위치

하고 있으며, 털물참새피는 수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털물참새피의

분포는 큰 변동이 없으며, 낚시터로 유명하고 농업용수로 쓰이는 저수지 수변

의 털물참새피 조사지점은 수위변동이 심하고 주변에 쓰레기 투척 등으로 수

질이 좋지 않지만 털물참새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

다.

Page 19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5 -

(4) 제 4지역(창녕, 부산)의 개황

경상남도 창녕군 미방면 모곡리의 털물참새피 조사지점은 ‘08년 농수로에

있는 대규모 분포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09년 조사시 지자체에

서 대대적인 제거작업을 실시하여 농수로 전체를 덮다시피 분포하던 털물참새

피가 수변에 일부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거 후 옮기지 못한 개체는

농로 옆 산지 사면에 쌓아 두었는데 이 개체의 생존여부는 추후 확인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낙동강 하구 낙동대교 아래 털물참새피 조사지점

은 약 2㎞에 걸쳐 대규모로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 주변의 습지생태공원 및

하구 둔치 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어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들의 분포양상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다. 털물참새피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털물참새피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07

년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창녕의 경우 ’08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제주)이 평균 37㎝ - 107㎝ - 63㎝로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고, 제 2지역

(나주)이 평균 110㎝ - 99㎝ - 58㎝로 감소, 제 3지역(해남)이 평균 115㎝ - 82

㎝ - 65㎝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2-19). 창녕의 경우 조사지 훼손으

로 비교 조사를 실시할 수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수치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뿌리 생장에 치중하여 분포 확산에 치우친 생장의 결과로 보여 진다.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제주)이 평균 53% - 46% - 98%로 증가, 제

2지역(나주)이 평균 61% - 53% - 91%로 증가, 제 3지역(해남)이 평균 63% -

46% - 95%로 확인되었으며(그림 2-20), 창녕의 경우 비교 조사를 실시 할 수

없었다. 평균피도는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위 수치 결과와 비교해 보다 치

밀한 무성생식을 통한 분포 확산에 치중한 결과로 보인다.

Page 19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6 -

0

30

60

90

120

150

180

나주 해남 창녕 제주

키(c

m)

2007 2008 2009

그림 2-19 . 털물참새피 식물체 높이 변화

0

20

40

60

80

100

나주 해남 창녕 제주

피도

(%)

2007 2008 2009

그림 2-20. 털물참새피 피도 변화

라. 털물참새피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 종을 정리한 결과, 세 지역 모두에서 출현한 종은 환삼덩굴,

까마중, 쑥, 도깨비바늘, 부들, 바랭이, 갈대, 닭의장풀 등이 있고, 제 1지역(제

Page 19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7 -

주)에서 1차와 2차 각각 57종과 40종으로 총 79종, 제 2지역(나주)에서 1차와

2차 각각 39종과 37종으로 총 58종, 제 3지역(해남)에서 1차와 2차 각각 30종

과 51종으로 총 63종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제 1지역

에서 Ⅲ등급인 애기도라지, Ⅰ등급인 거지덩굴, 제 2지역에서 Ⅳ등급인 자라

풀, Ⅰ등급인 뚜껑덩굴, 제 3지역에서 Ⅲ등급인 멀구슬나무, Ⅰ등급인 참느릅

나무, 장딸기가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조

사 대상지 모두에서 출현한 외래식물에 미국자리공, 좀명아주, 토끼풀, 미국가

막사리, 망초, 개망초, 털물참새피 등이 출현하였고, 제 1지역 1차에서 27종

(47%), 2차에서 18종(45%)으로 총 36종(45%), 제 2지역 1차에서 11종(28%), 2

차에서 8종(21%)으로 총 14종(24%), 제 3지역 1차에서 13종(43%), 2차에서 19

종(37%)으로 총 22종(34%)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

및 귀화율은 각각 총 141종 중 48종으로 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

림 2-21, 표 2-12~13).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제주 1차 제주 2차 나주 1차 나주 2차 해남 1차 해남 2차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21.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19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8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0 0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0 0

Ulmaceae 느릅나무과

Ulmus parvifolia Jacq. 참느릅나무Ⅰ 0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0 0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pannosa Nakai & Satake 왕모시풀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여뀌 0

Persicaria japonica H.Gross ex Nakai 흰꽃여뀌 0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흰여뀌 0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0 0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0

Persicaria thunbergii H.Gross ex Nakai 고마리 0 0 0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0 0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0 0

Rumex japonicus Houtt. 참소리쟁이 0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0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0 0 0 0 0

Portulacaceae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0

Caryophyllaceae 석죽과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Ohwi 벼룩나물 0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0 0

표 2-12. 털물참새피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19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79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Chenopodium ambrosioides L. 양명아주* 0 0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0 0 0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0 0 0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0

Nympaeaceae 수련과

Nelumbo nucifera Gaertn. 연꽃 0 0

Cruciferae십자화과

Brassica juncea (L.) Czern. 갓* 0 0

Brassica napus L. 유채 0

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0 0

Rosaceae 장미과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가락지나물 0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돌가시나무 0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Ⅰ 0

Leguminosae 콩과

Aeschynomene indica L. 자귀풀 0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0 0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0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0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0 0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0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벌노랑이 0 0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Alef. 강낭콩 0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0 0

Senna tora (L.) Roxb. 결명자 0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0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0 0 0 0 0 0

Vicia dasycarpa Tenore 각시갈퀴나물* 0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0 0 0

Euphorbiaceae 대극과

Page 19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0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Acalypha australis L. 깨풀 0 0

Meliaceae 멀구슬나무과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Ⅲ 0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javanica L. 붉나무 0

Vitaceae 포도과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거지덩굴Ⅰ 0

Malvaceae 아욱과

Hibiscus syriacus L. 무궁화 0 0

Cucurbitaceae 박과

Actinostemma lobatum Maxim. 뚜껑덩굴Ⅰ 0 0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하늘타리 0

Lythraceae 부처꽃과

Ammannia coccinea Rottb. 미국좀부처꽃* 0

Trapaceae 마름과

Trapa japonica Flerow 마름 0 0

Onagraceae 바늘꽃과

Ludwigia prostrata Roxb. 여뀌바늘 0 0 0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0

Oenothera laciniata Hill 애기달맞이꽃* 0

Umbelliferae 산형과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피막이 0

Oenanthe javanica (Blume) DC. 미나리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0

Rubiaceae 꼭두서니과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갈퀴덩굴 0

Convolvulaceae 메꽃과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0

Ipomoea lacunosa L. 애기나팔꽃* 0

Ipomoea triloba L. 별나팔꽃* 0

Quamoclit coccinea Moench 둥근잎유홍초* 0

Page 20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1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Labiatae 꿀풀과

Leonurus japonicus Houtt. 익모초 0

Salvia plebeia R.Br. 배암차즈기 0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nigrum L. 까마중 0 0 0 0

Scrophulariaceae 현삼과

Lindernia procumbens (Krock.) Borbás 밭뚝외풀 0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주름잎 0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0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0 0

Acantha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0

P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0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0

Campanulaceae 초롱꽃과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애기도라지Ⅲ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0 0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0 0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0 0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0 0 0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0 0 0 0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0

Breea segeta (Willd.) Kitam. 조뱅이 0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0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0 0

Conyza sumatrensis E.Walker 큰망초* 0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0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0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0 0 0

Gnaphalium affine D.Don 떡쑥 0 0

Page 20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2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0

Lactuca indica for. indivisa Hara 가는잎왕고들빼기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0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0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0 0 0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0 0

Xanthium canadense Mill. 큰도꼬마리* 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0

Typhaceae 부들과

Typha orientalis C.Presl 부들 0 0 0 0 0 0

Potamogetonaceae 가래과

Potamogeton distincuts A.Benn. 가래 0

Hydrocharitaceae 자라풀과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자라풀Ⅳ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 속털개밀 0 0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개밀 0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새 0

Avena fatua L. 메귀리* 0

Avena sativa L. 귀리* 0

Briza minor L. 방울새풀* 0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0 0 0

Bromus japonicus Thunb. 참새귀리 0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0 0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0 0 0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돌피 0 0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Ohwi 물피 0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0 0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그령 0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0

Leersia japonica Makino 나도겨풀 0

Lolium multiflorum Lamarck 쥐보리* 0

Page 20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3 -

학 명 국 명제주

제주

나주

나주

해남

해남

Lolium multiflorum var. ramosum Guss.

ex Arcang.가지쥐보리* 0 0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억새 0

Oryza sativa L. 벼 0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0

Paspalum dilatatum Poir. 큰참새피* 0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털물참새피* 0 0 0 0 0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0

Phragmites communis Trin. 갈대 0 0 0 0 0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0

Setaria glauca (L.) P.Beauv. 금강아지풀 0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0 0 0 0

Sporobolus fertilis Clayton 쥐꼬리새풀 0

Zizania latifolia Turcz. ex Stapf 줄 0 0

Cyperaceae 사초과            

Scirpus triangulatus Roxb. 송이고랭이 0

Cyperus amuricus Maxim. 방동사니 0

Cyperus iria L. 참방동사니 0

Lemnaceae 개구리밥과

Spirodela polyrhiza (L.) Sch. 개구리밥 0 0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0

Juncaceae 골풀과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골풀 0

Iridaceae 붓꽃과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등심붓꽃* 0

Cannaceae 홍초과

Canna generalis Bailey 홍초 0

*: 외래식물, Ⅳ, Ⅲ, Ⅰ: 특정식물종

Page 20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4 -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제주 1차 25과 51속 51종 6변종 57분류군 27종 47

제주 2차 17과 34속 36종 4변종 40분류군 18종 45

나주 1차 24과 37속 38종 1변종 39분류군 11종 28

나주 2차 21과 34속 34종 2변종 1품종 37분류군 8종 21

해남 1차 16과 29속 28종 2변종 30분류군 13종 43

해남 2차 22과 44속 49종 2변종 51분류군 19종 37

전 체 46과 107속 130종 10변종 1품종 141분류군 48종 34

표 2-13. 털물참새피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20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5 -

제5절 물참새피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전라남도 고흥군 : 1차 2009년 6월 11일, 2차 2009년 9월 3일

제 2지역 제주도 한경면 : 1차 2009년 6월 17일, 2차 2009년 9월 22일

제 3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 1차 2009년 7월 8일, 2차 2009년 9월 15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과 조사구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표 2-14).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하천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녹동농협

농수산물 간이집하장 앞 하천(녹동교)

(E127°08′27.1″ N34°31′51.8″)

제 2지역 저수지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용수저수지

(E126°11′01.2″ N33°18′58.5″)

제 3지역 강변경남 진주시 호탄동 대경빌라트 앞 남강변

(E128°07′04.1″ N35°09′42.2″)

‘08년 추가

‘09년 제외

표 2-14. 물참새피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고흥)의 개황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봉양리 녹동농협 농산물공판장 옆 하천변 물참새피

의 분포면적은 ‘07년, ’08년 200×12㎡에서 ‘09년 300×5㎡로 증가하였으며, 조사

Page 20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6 -

지 분포면적의 해당 조사종의 피도는 약 65%로 확인되었다. 하천을 따라 집중

분포하며 농수로를 타고 주변 논으로 침입하는 양상을 보이며, 1차 조사시 고

마리, 미나리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물참새피의 피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2차 조사시 물참새피는 조사입지에서 예년과 같은 피도로 다시 증가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물참새피의 생육시기에 따른 차이점으로 보인다.

(2) 제 2지역(제주)의 개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용수저수지에 생육하는 물참새피의

분포면적은 ‘07년, ’08년 100×100㎡에서 ‘09년 200×100㎡으로 전체적인 분포면

적은 증가하였지만, 조사 대상종의 전체 피도는 35%로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수지 옆 경작지는 논으로 일구어 졌으며, 저수지 수면에 부들,

미나리, 고마리, 큰고랭이 등의 수생식물과 동일서식입지에서 경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 3지역(진주)의 개황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낙동강변의 물참새피 조사지는 1차 조사 시 강우로

인한 수위 상승으로 조사를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2차 조사 시 확인한 결과

물참새피의 개체수 감소로 인해 조사지로 부적합하여 제외하기로 하였다.

다. 물참새피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물참새피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07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진주의 경우 조사지에서 제

외되어 기재하지 않았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고

흥)이 평균 49㎝ - 111㎝ - 55㎝로 감소, 제 2지역(제주)이 평균 101㎝ - 86㎝ -

69㎝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고(그림 2-22),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고흥)이 76% - 60% - 93%로 증가, 제 2지역(제주)이 88% - 73% -

96%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2-23). 물참새피는 분포면적과 피도의

증가에 비해 평균 키가 낮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털물참새피와 마찬가지로 길

Page 20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7 -

이생장 보다는 보다 치밀한 매트형성과 지하경의 생장에 치우친 결과로 보인

다.

0

20

40

60

80

100

고흥 제주

키(c

m)

2007 2008 2009

그림 2-22. 물참새피 식물체 높이 변화

0

20

40

60

80

100

고흥 제주

피도

(%)

2007 2008 2009

그림 2-23. 물참새피 피도 변화

Page 20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8 -

라. 물참새피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종을 정리한 결과, 두 지역 모두에서 출현한 종은 환삼덩굴,

고마리, 개구리자리, 쇠무릎, 미나리, 개밀, 바랭이, 개구리밥, 닭의장풀 등이

있고, 제 1지역(고흥)에서 1차와 2차 각각 32종과 32종으로 총 48종, 제 2지역

(제주)에서 1차와 2차 각각 38종과 35종으로 총 59종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

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제 2지역(제주)에서 Ⅲ등급인 상동나무, 병풀, Ⅰ등급

인 거지덩굴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조사

지역 모두에서 출현한 외래종은 미국가막사리, 망초, 큰망초, 방가지똥, 큰이삭

풀, 물참새피 등이며, 제 1지역 1차에서 12종(37%), 2차에서 7종(21%)으로 총

14종(29%), 제 2지역 1차에서 11종(28%), 2차에서 8종(22%)으로 총 15종(25%)

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수 및 귀화율은 각각 총

89종 중 23종으로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24, 표 2-15~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고흥 1차 고흥 2차 제주 1차 제주 2차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24.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20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89 -

학 명 국 명고흥

고흥

제주

제주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0 0

Marsileaceae 네가래과

Marsilea quadrifolia L. 네가래 0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koreensis Andersson 버드나무 0

Moraceae 뽕나무과

Morus alba L. 뽕나무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여뀌 0

Persicaria japonica (Meisn.) H.Gross ex Nakai 흰꽃여뀌 0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흰여뀌 0

Persicaria thunbergii H.Gross ex Nakai 고마리 0 0 0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0 0

Caryophyllaceae 석죽과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0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0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0 0 0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0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0

Ranunculus sceleratus L. 개구리자리 0 0 0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Thunb.) Decne. 으름덩굴 0

Cruciferae 십자화과

Brassica juncea (L.) Czern. 갓* 0

표 2-15. 물참새피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20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0 -

학 명 국 명고흥

고흥

제주

제주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냉이 0

Coronopus didymus (L.) Smith. 냄새냉이* 0 0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0

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0

Crassulaceae 돌나물과

Sedum bulbiferum Makino 말똥비름 0

Rosaceae 장미과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0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0 0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 0 0

Leguminosae 콩과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0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ls K.Koch. 살갈퀴 0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0 0

Euphorbiaceae 대극과

Acalypha australis L. 깨풀 0 0

Rhamnaceae 갈매나무과

Sageretia theezans (L.) Brongn. 상동나무Ⅲ 0 0

Vitaceae 포도과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거지덩굴Ⅰ 0 0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0

Cucurbitaceae 박과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하늘타리 0

Umbelliferae 산형과

Centella asiatica (L.) Urb. 병풀Ⅲ 0

Oenanthe javanica (Blume) DC. 미나리 0 0 0 0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영산홍 0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0

Page 2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1 -

학 명 국 명고흥

고흥

제주

제주

Apocynaceae 협죽도과

Trachelospermum asiaticum Nakai 마삭줄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큰조롱 0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Rubiaceae 꼭두서니과

Paederia scandens (Lour.) Merr. 계요등 0 0 0

Labiatae 꿀풀과

Leonurus japonicus Houtt. 익모초 0

Mosla dianthera Maxim. 쥐깨풀 0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들깨 0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0

Acantha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0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0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0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0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0

Bidens biternata Merr. & Sherff ex Sherff 털도깨비바늘 0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0 0 0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0

Bidens tripartita L. 가막사리 0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0

Conyza sumatrensis E.Walker 큰망초* 0 0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0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0

Page 2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2 -

학 명 국 명고흥

고흥

제주

제주

Lactuca indica for. indivisa (Makino) Hara 가는잎왕고들빼기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0 0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0 0 0

Typhaceae 부들과

Typha orientalis C.Presl 부들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0 0 0

Avena fatua L. 메귀리* 0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0 0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0 0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돌피 0 0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띠 0

Lolium multiflorum Lamarck 쥐보리* 0

Microstegium vimineum (Trin.) A.Camus 나도바랭이새 0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억새 0

Oryza sativa L. 벼 0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털물참새피* 0

Paspalum disticum L. 물참새피* 0 0 0 0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0

Setaria glauca (L.) P.Beauv. 금강아지풀 0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0 0

Cyperaceae 사초과

Scirpus lacustris var. creber (Fern.) T. Koyama 큰고랭이 0

Scirpus triangulatus Roxb. 송이고랭이 0

Lemnaceae 개구리밥과

Spirodela polyrhiza (L.) Sch. 개구리밥 0 0

Lemna paucicostata (L.) Hegelm. 좀개구리밥 0 0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Liliaceae 백합과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마늘 0

Page 2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3 -

학 명 국 명고흥

고흥

제주

제주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0

*: 외래식물, Ⅲ, Ⅰ: 특정식물종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고흥 1차 18과 30속 29종 2변종 1품종 32분류군 12종 37

고흥 2차 16과 30속 29종 2변종 1품종 32분류군 7종 21

제주 1차 18과 33속 35종 3변종 38분류군 11종 28

제주 2차 21과 33속 32종 2변종 1품종 35분류군 8종 22

전 체 38과 75속 80종 7변종 2품종 89분류군 23종 25

표 2-16. 물참새피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2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4 -

제6절 도깨비가지

1. 조사시기 및 지역

가. 조사시기

제 1지역 광주광역시 본량동 : 1차 2009년 6월 9일

전라남도 화순군 : 1차 2009년 9월 4일

제 2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 1차 2009년 6월 10일, 2차 2009년 9월 2일

제 3지역 경기도 화성시 : 1차 2009년 6월 16일, 2차 2009년 9월 18일

제 4지역 제주도 조천읍 : 1차 2009년 6월 17일, 2차 2009년 9월 24일

제주도 한림읍 : 1차 2009년 6월 19일, 2차 2009년 9월 24일

나. 조사지역

각 조사지역의 행정구역과 변동지점은 다음과 같다(표 2-17, 그림 2-25, 28).

지역 구분 유 형 소 재 지 비 고

제 1지역

도로변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본량마을

(E126°44′11.6″ N35°10′53.8″)‘09년 훼손

도로변전남 화순군 북면 백아산

(E127°08′14.4″ N35°10′08.0″)‘09년 대체

제 2지역 목초지전남 영암군 금정면 활성산 서광목장

(E126°45′34.5″ N34°48′51.4″)

제 3지역 목초지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해동목장

(E126°56′55.0″ N37°13′40.6″

제 4지역

목초지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제동목장

(E126°42′08.0″ N33°24′44.3″)‘09년 훼손

목초지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이시돌목장

(E126°19′50.3″ N33°20′24.0″)‘09년 대체

표 2-17. 도깨비가지 분포유형별 모니터링 지역

Page 2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5 -

그림 2-25. 전남 화순군 북면 대체 조사지점

그림 2-26. 광주 본량동 훼손지 그림 2-27. 화순군 북면 대체지

Page 2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6 -

그림 2-28.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대체 조사지점

그림 2-29. 제주시 조천읍 훼손지 그림 2-30. 제주시 한림읍 대체지

Page 2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7 -

2. 조사결과

가. 조사지 개황

(1) 제 1지역(광주, 화순)의 개황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본량마을 도로변의 도깨비가지는 ‘08년부터 코스

모스 등의 화훼류 식재로 인한 서식입지의 훼손과 본 식물종이 제거된 것이

확인 되었으며 ’09년 조사에서는 훼손정도가 더욱 심해져서 조사구역에서 제

외하였다.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백아산 입구 도깨비가지의 분포면적은 100×75㎡, 분

포하는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약 70%로 확인되었다. 백아산 입구 도로변에서

등산로를 따라 주변 과수원 내부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과수원 내부는

제초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변 산지로 확산 가능성이 있어 분포

양상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2) 제 2지역(영암)의 개황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활성산 서광목장 내 도깨비가지의 분포면적은 ‘07

년, ’08년 약 2,900㎡에서 ‘09년 200×200㎡로 늘어났으며, 조사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약 30%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 비해 분포면적이 늘어난 이유는 기

존 집중 분포하던 지역 외에 목장 내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도깨비가지의 분포

면적을 합산한 것으로 목초수확 및 제초 후 뿌리째 제거되지 못 한 개체들이

유묘상태로 생육을 유지해 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제 3지역(화성)의 개황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해동목장의 도깨비가지 분포면적은 ‘07년, ’08

년 100×5㎡에서 ‘09년 40×20㎡로 증가하였으며, 조사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약 35%로 확인되었다. 목장 내부는 따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이

며, 개망초와 쑥이 우점하는 양상으로 주변 초본식생들과 혼생하고 있다. 키

큰 초본류에 의해 답압이 이루어지며, 도깨비가지와 돼지풀의 집중 제거 시

확산 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8 -

(4) 제 4지역(제주)의 개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제동목장에 분포하는 도깨비가지의

조사결과, 기존 조사지점인 유리온실 옆 분포지의 관리 등의 훼손으로 분포면

적이 크게 줄고 계속적인 간섭이 예상되어 조사대상지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이시돌목장은 위 제동목장의 대체 조

사지로 분포 면적은 30×20㎡, 조사 대상종의 평균 피도는 약 5%로 확인되었

다. 조사 대상지는 이시돌목장에서 정물오름으로 오르는 길 도로변 초입에 위

치하며 주변 목장과는 달리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변 식생과 함께 생육,

경쟁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깨비가지의 피도는 높지 않지만 방치 상태

에서 도깨비가지의 생육 및 확산 양상을 파악하고자 선정하였으며,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 도깨비가지의 생태적 특성 비교

조사 대상지에 생육하는 도깨비가지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07

~ ’09년 2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하였으며, 화순과 제주 이시돌목장

의 경우는 ‘09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식물체 높이의 3년간 변

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화순)이 65㎝, 제 2지역(영암)이 91㎝ - 77㎝ - 65㎝로

감소, 제 3지역(화성)이 73㎝ - 96㎝ - 62㎝로 감소, 제 4지역(제주)이 32㎝로

조사되었다(그림 2-31). 전체적으로 식물체 높이가 작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식물과의 경쟁으로 인한 피압 또는 목초수확으로 인한 제초 등에 의한 요인으

로 생각된다. 피도의 3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제 1지역(화순)이 86%, 제 2지역

(영암)이 55% - 53% - 91%로 증가, 제 3지역(화성)이 43% - 46% - 78%로 증

가, 제 4지역(제주)이 31%로 조사되었다(그림 2-32).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이

70%이상의 피도를 보였으며, 이는 도깨비가지 생육지에 다른 식물의 침입이

어렵기 때문으로 제주의 경우 침입한 도깨비가지의 생육에 따른 분포 양상을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Page 2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199 -

0

30

60

90

120

화성 영암 화순 제주

키(cm

)

2007 2008 2009

그림 2-31. 도깨비가지 식물체 높이 변화

0

20

40

60

80

100

화성 영암 화순 제주피

도(%

)

2007 2008 2009

그림 2-32. 도깨비가지 피도 변화

라. 도깨비가지의 지역별 출현종 및 귀화율

각 지역별 출현종을 정리한 결과, 도깨비가지의 조사지역 네 곳 모두에서

출현한 종은 쑥, 닭의장풀 등으로, 제 1지역(화순)에서 총 35종, 제 2지역(영암)

에서 1차와 2차 각각 12종과 20종으로 총 26종, 제 3지역(화성)에서 1차와 2차

각각 16종과 22종으로 총 29종, 제 4지역(제주)에서 1차와 2차 각각 39종과 44

종으로 총 67종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제 4지역(제주)

에서 Ⅰ등급인 말털이슬과 거지덩굴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외래종수 및

귀화율을 살펴보면, 조사지역 모두에서 출현한 외래종은 돌소리쟁이, 도깨비가

지, 돼지풀, 망초 등으로 제 1지역에서 총 12종(34%), 제 2지역 1차에서 6종

(50%), 2차에서 8종(40%)으로 총 10종(38%), 제 3지역 1차에서 9종(56%), 2차

에서 9종(40%)으로 총 11종(37%), 제 4지역 1차에서 6종(15%), 2차에서 11종

(25%)으로 총 12종(17%)으로 조사되었다. 대상 지역의 전체 출현종과 외래종

수 및 귀화율은 각각 총 113종 중 26종으로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그림 2-33, 표 2-18~19).

Page 2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0 -

0

20

40

60

80

100

120

화순 영암 1차

영암 2차

화성 1차

화성 2차

제주 1차

제주 2차

전 체

출현종수

외래종수

귀화율(%)

그림 2-33.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지역 구분 출현종수외래

종수

귀화율

(%)

화순 19과 34속 33종 2변종 35분류군 12종 34

영암 1차 7과 10속 11종 1변종 12분류군 6종 50

영암 2차 9과 18속 19종 1변종 20분류군 8종 40

화성 1차 10과 14속 15종 1변종 16분류군 9종 56

화성 2차 12과 19속 21종 1품종 22분류군 9종 40

제주 1차 26과 36속 35종 4변종 39분류군 6종 15

제주 2차 23과 40속 37종 7변종 44분류군 11종 25

전 체 41과 88속 100종 12변종 1품종 113분류군 26 23

표 2-18. 도깨비가지 조사지역내 출현종수, 외래종수 및 귀화율

Page 2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1 -

학 명 국 명 화순영암

영암

화성

화성

제주

제주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고사리삼 0

Pteridaceae 고사리과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 ex Heller.고사리 0 0

Moraceae 뽕나무과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ex Lavallëe 꾸지뽕나무 0

Morus alba L. 뽕나무 0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0 0 0 0

Polygonaceae 마디풀과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흰여뀌 0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0

Persicaria nodosa (Pers.) Opiz 명아자여뀌 0 0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0 0

Persicaria sagittata H.Gross ex Nakai 미꾸리낚시 0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0

Rumex acetosa L. 수영 0 0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0 0 0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0

Rumex japonicus Houtt. 참소리쟁이 0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좀소리쟁이* 0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0 0 0 0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0 0

Molluginaceae 석류풀과

Mollugo pentaphylla L. 석류풀 0

Caryophyllaceae 석죽과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Ohwi 벼룩나물 0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0 0

Chenopodiaceae 명아주과

표 2-19. 도깨비가지 조사지역 출현종 목록

Page 2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2 -

학 명 국 명 화순영암

영암

화성

화성

제주

제주

Chenopodium ambrosioides L. 양명아주* 0 0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0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0 0 0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0 0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Thunb.) Decne. 으름덩굴 0

Menispermaceae 방기과

Cocculus trilobus (Thunb.) DC. 댕댕이덩굴 0

Cruciferae 십자화과

Coronopus didymus (L.) Smith. 냄새냉이* 0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0 0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가락지나물 0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0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0 0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 돌가시나무 0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0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0

Leguminosae 콩과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0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0

Lespedeza cuneata G.Don 비수리 0 0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0 0

Rhynchosia volubilis Lour. 여우콩 0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0 0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0 0 0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새팥 0 0 0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0

Geraniaceae 쥐손이풀과

Page 2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3 -

학 명 국 명 화순영암

영암

화성

화성

제주

제주

Geranium sibiricum L. 쥐손이풀 0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이질풀 0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0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0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Trautv. 개머루 0

Cayratia japonica (Thunb.) Gagnep. 거지덩굴Ⅰ 0 0

Parthenocissus tricuspidata lanch. 담쟁이덩굴 0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0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0

Onagraceae 바늘꽃과

Circaea quadrisulcata Franch. & Sav. 말털이슬Ⅰ 0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0

Umbelliferae 산형과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피막이 0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tanakana Nakai 검노린재나무 0

Oleaceae 물푸레나무과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쥐똥나무 0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0 0 0

Rubiaceae 꼭두서니과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Hayek 갈퀴덩굴 0

Paederia scandens (Lour.) Merr. 계요등 0

Convolvulaceae 메꽃과

Ipomoea hederacea Jacq. 미국나팔꽃 0

Labiatae 꿀풀과

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 Ohwi 탑꽃 0 0

Page 2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4 -

학 명 국 명 화순영암

영암

화성

화성

제주

제주

Mosla dianthera Maxim. 쥐깨풀 0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0 0 0 0 0

Acantha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 쥐꼬리망초 0 0

P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0 0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0 0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0 0 0 0 0 0

Artemisia princeps Pamp. 쑥 0 0 0 0 0 0 0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0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0 0

Centipeda minima (L.) A.Br. & Asch. 중대가리풀 0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0 0 0 0 0

Conyza sumatrensis E.Walker 큰망초* 0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0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0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0 0 0 0

Erigeron strigosus Muhl. 주걱개망초* 0

Eupatorium makinoi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 Yahara벌등골나물 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금불초 0

Lactuca indica for. indivisa Hara 가는잎왕고들빼기 0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0 0 0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0

Gramineae 벼과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Ohwi 개밀 0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산조풀 0

Page 2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5 -

학 명 국 명 화순영암

영암

화성

화성

제주

제주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Steud.) Hand.-Mazz.개솔새 0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0 0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0 0 0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돌피 0 0

Eleusine indica (L.) Gaertn. 왕바랭이 0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그령 0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0 0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ilg. 띠 0

Microstegium vimineum A.Camus 나도바랭이새 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참억새 0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억새 0

Oplismenus undulatifolius P.Beauv. 주름조개풀 0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0

Paspalum dilatatum Poir. 큰참새피* 0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참새피 0

Setaria faberii Herrm. 가을강아지풀 0

Setaria glauca (L.) P.Beauv. 금강아지풀 0 0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0

Cyperaceae 사초과

Cyperus iria L. 참방동사니 0

Cyperus microiria Steud. 금방동사니 0 0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0 0 0 0 0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좀닭의장풀 0

Liliaceae 백합과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무릇 0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0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japonica Thunb. 참마 0

Dioscorea batatas Decne. 마 0

*: 외래식물, Ⅰ: 특정식물종

Page 2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6 -

Ⅳ.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전국분포조사

전국분포조사는 대상종의 전국적인 증감추이를 알려는 목적 이외에 모터링

조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대상종의 생육특성, 분포면적,

피도, 공서종 등의 항목을 조사한다. 각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

식물 전국분포조사를 위하여 2008년도 물참새피, 털물참새피에 이어 2009년에

는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전국에 분포하는 돼지풀

과 단풍잎돼지풀의 조사를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기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조사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동시 나타나는 생육지를 추가하여 대

상지를 선정하였다.

1. 돼지풀

돼지풀(Ambrosia artemisiaefolia L.)은 우리나라 전국에 확산되어있는 국화과

의 1년생 초본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퍼져있는 침입

성이 강한 외래식물이다. 줄기는 최대 180㎝까지 자라고 줄기와 잎에 연모가

있으며 위쪽 잎은 어긋나고 아래쪽 잎은 마주나는 형태이다. 꽃은 8~9월에 피

고 암·수 한그루로 긴 꽃대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줄지어 피며, 풍매화로 수

꽃에서 날리는 꽃가루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빈

터에 생육하나 밭, 길가, 목초지, 숲가, 잔디밭 등 가리지 않고 자란다(양환승

등 2004). 우리나라에는 1968년에 처음 보고 되었으며(박수현 1995), 방치되어

확산되면 군락을 이뤄 문제가 되는 외래식물이다.

본 조사에서 돼지풀은 기존 모니터링 조사지점인 연천, 남원, 전주를 포함

총 137개 지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표 2-20). 전국에 분포하며 일부 군락을

이루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규모 또는 산재형태를 띄고 있다. 본 수종은 다수

의 종자를 생성하며 주로 바람에 의해 산포하므로 먼 지역으로 확산이 가능하

다.

Page 2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7 -

그림 2-34. 돼지풀 분포지도

Page 2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8 -

그림 2-35. 돼지풀 분포조사 사진

Page 2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09 -

2. 단풍잎돼지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은 주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확산되어있는

국화과의 1년생 초본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유럽, 만주, 일본 등지에 널리

퍼져있는 외래식물이다. 줄기는 최대 300㎝ 이상 자라고 줄기에 거친 털이 있

으며 잎은 마주나는 형태를 띄고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암·수 한그루로 긴

꽃대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줄지어 피며, 풍매화로 수꽃에서 날리는 꽃가루

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하천변, 도로변, 밭 등에

모여 자라며 1년생 초본임에도 지하경이 벋으며 비옥하고 습윤한 곳을 좋아한

다(양환승 등 2004). 국내 유입은 정확하지 않으나 1970년 전후에 사료용 수입

곡물 속에 섞여 들어와 확산된 것으로 추측된다(박수현 1995). 큰 키로 성장하

며 때로는 거대한 군락을 형성하여 다른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기도 한다.

단풍잎돼지풀의 조사결과, 모니터링 조사지점인 파주, 인천, 고양, 부산을 포

함 총 140개 지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표 2-21). 주로 강원도와 경기도에 집

중하여 분포하며 일부 소규모 군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집단으로 군락을 이

뤄 생육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하천변, 도로변에 큰 군락을 이루며 군락이 형

성된 곳에는 다른 식물의 생육이 어렵고 돼지풀과 마찬가지로 대량으로 생산

하는 종자로 이동 확산되므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Page 2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0 -

그림 2-36. 단풍잎돼지풀 분포지도

Page 2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1 -

그림 2-37. 단풍잎돼지풀 분포지역 사진

Page 2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2 -

GPS좌표지 역 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1 128°22′01.6″ 38°17′25.8″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진부령유원지 입구 5×5 60

2 128°21′26.7″ 38°16′30.7″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10×1 40

3 128°22′04.3″ 38°19′06.7″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20×2 40

4 128°26′18.0″ 38°22′28.3″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10×5 80

5 128°21′38.4″ 38°16′07.4″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산재

6 128°23′44.7″ 38°22′08.3″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산재

7 128°29′23.9″ 38°22′33.9″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7국도변 15×2 70

8 128°32′30.3″ 38°17′59.4″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3×3 40

9 128°30′41.7″ 38°20′56.3″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5×2 75

10 128°34′17.7″ 38°14′28.1″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2×1 70

11 128°33′24.5″ 38°15′53.6″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7×2 65

12 128°34′29.2″ 38°11′29.3″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5×2 70

13 128°33′59.1″ 38°12′30.9″ 강원도 속초시 장사동 5×2 50

14 128°35′50.9″ 38°10′51.3″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 5×2 60

15 127°52′06.3″ 38°13′02.4″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10×10 25

16 127°58′29.9″ 38°13′25.6″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산재

17 127°57′26.5″ 38°12′21.2″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460국도변 산재

18 128°01′01.7″ 38°09′13.8″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5×5 30

19 128°01′05.1″ 38°10′40.9″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재

20 127°58′52.3″ 38°06′46.3″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10×1 40

21 127°57′12.9″ 38°07′34.8″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5×2 60

22 127°56′26.3″ 38°06′55.8″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2×2 80

23 127°55′56.4″ 38°06′29.4″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5×2 60

24 127°55′08.2″ 38°06′27.5″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재

25 127°54′05.1″ 38°06′53.3″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10×2 45

26 127°58′25.8″ 38°07′31.5″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재

27 127°58′10.7″ 38°08′03.4″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5×5 30

28 128°00′08.8″ 38°07′46.0″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10×1 70

29 128°00′23.6″ 38°08′09.2″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재

30 128°06′37.3″ 38°15′25.5″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산재

31 128°08′53.9″ 38°17′06.7″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8×3 40

32 128°24′40.2″ 38°05′23.1″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한계령 도로변 산재

33 128°32′53.5″ 38°03′38.2″ 강원도 양양군 서면 10×5 40

표 2-20. 2009년 돼지풀 전국 분포 조사표

Page 2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3 -

GPS좌표지 역 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34 128°30′30.4″ 38°04′21.2″ 강원도 양양군 서면 10×10 30

35 128°27′15.3″ 38°04′40.7″ 강원도 양양군 서면 10×5 30

36 128°25′47.5″ 38°05′15.5″ 강원도 양양군 서면 2×2 15

37 128°36′45.2″ 38°04′17.1″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10×5 60

38 127°57′56.0″ 37°22′52.9″강원도 원주시 태장2동 홍양천

원주아동센터(신애원) 앞산재

39 128°15′31.6″ 38°08′22.4″ 강원도 인제군 북면 내설악휴게소 도로변 10×1 20

40 128°16′05.0″ 38°08′23.6″ 강원도 인제군 북면 모란골 15×1 20

41 128°20′31.8″ 38°11′38.2″ 강원도 인제군 북면 설악백담휴게소 주변 20×10 50

42 128°15′49.5″ 38°08′46.0″ 강원도 인제군 북면 산재

43 128°17′07.0″ 38°10′39.1″ 강원도 인제군 북면 15×2 20

44 128°18′20.8″ 38°11′00.7″ 강원도 인제군 북면 20×5 30

45 128°21′24.8″ 38°12′19.3″ 강원도 인제군 북면 30×5 60

46 128°22′19.2″ 38°13′39.7″ 강원도 인제군 북면 10×1 70

47 128°11′58.0″ 38°10′00.2″ 강원도 인제군 북면 10×3 30

48 128°10′35.2″ 38°12′37.5″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용늪 임도변 산재

49 128°12′04.9″ 38°11′43.8″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20×1 40

50 127°21′23.6″ 38°15′53.4″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도창리 산재

51 127°19′12.0″ 38°08′56.6″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산재

52 127°20′30.3″ 38°11′37.7″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10×1 30

53 127°21′18.4″ 38°14′34.0″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산재

54 127°28′27.4″ 38°13′57.1″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산재

55 127°31′14.8″ 38°12′03.5″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산재

56 127°32′14.7″ 37°49′03.7″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북한강변 12지방도변 산재

57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 홍천강

남산교~화양교~갈마곡교산재

58 127°38′05.4″ 38°09′45.6″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산재

59 127°32′17.7″ 38°10′18.9″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461도로변 5×5 40

60 127°42′04.0″ 38°07′51.2″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5×5 75

61 127°49′59.1″ 38°12′18.8″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산재

62 128°30′16.4″ 38°22′09.5″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7×1 70

63 127°23′51.5″ 37°55′15.2″ 경기도 가평군 명지산 400×10 15

64 126°53′10.8″ 37°40′03.8″ 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신원초교 곡릉천변 산재

65 127°12′00.7″ 37°28′17.3″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성

성곽3×1

Page 23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4 -

GPS좌표지 역 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66 127°10′47.5″ 37°28′20.2″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성

성곽5×5

67 127°08′10.6″ 37°37′58.1″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산재

68 - - 경기도 남양주시 왕숙천 산재

69 127°11′34.2″ 37°44′34.6″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98국도변 5×1 40

70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국립수목원

98국도변산재

71 127°42′48.8″ 37°32′42.3″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산재

72 127°23′38.1″ 37°30′19.8″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산재

73 127°07′47.5″ 38°09′29.1″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5리 도로변 110×2 20

74 - - 경기도 연천군 한탄강, 신천 합류부 산재

75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가평군 하면

357지방도10,000×1 10

76 126°56′55.0″ 37°13′40.6″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해동목장 산재

77 126°45′28.2″ 37°03′13.2″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화옹방조제 산재

78 128°40′43.6″ 34°54′37.1″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송정리 도로변 산재

79 -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산재

80 128°59′19.3″ 35°18′13.4″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역 공한지 산재

81 -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산재

82 128°36′07.2″ 35°09′47.4″ 경상남도 창원시 귀곡동 마창대교 아래 산재

83 128°40′49.6″ 35°19′05.5 ″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산재

84 127°48′59.7″ 34°57′00.1″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만매립배후지

하사방조제산재

85 -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도로변 산재

86 128°24′01.6″ 35°19′07.8″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함안천 하천늪지

일대200×10 10

87 -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산재

88 - -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산재

89 - -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낙동강 도로변 산재

90 128°75′28.9″ 35°82′60.4″ 경상북도 경산시 삼천지 산재

91 128°18′95.1″ 35°84′59.9″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33국도변 산재

92 128°34′56.4″ 36°10′43.6″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5국도변 산재

93 128°04′37.6″ 35°54′56.7″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선바우식당 앞 산재

94 128°46′03.9″ 36°36′22.6″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 일대 산간

경작지산재

95 128°42′23.9″ 36°37′19.0″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5국도변 산재

Page 23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5 -

GPS좌표지 역 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96 129°08′03.7″ 36°42′01.7″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31국도변 산재

97 128°38′08.2″ 36°19′01.6″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5국도변 산재

98 -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금정산 산재

99 128°58′17.1″ 35°08′58.3″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교 아래 산재

100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구 도봉주차장산재

101 126°53′27.5″ 37°33′43.3″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하늘공원산재

102 127°07′33.9″ 37°31′02.9″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공원 산재

103 127°04′14.2″ 37°30′18.8″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탄천변 산재

104 126°51′12.0″ 37°30′43.1″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계남근린공원 10×10 40

105 126°31′40.2″ 37°35′08.9″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도 동검리 100×5 85

106 126°31′11.7″ 37°35′27.5″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도로변 산재

107 126°38′20.6″ 37°34′48.6″ 인천광역시 서구 수도권매립지 3×3 5

108 126°38′27.4″ 37°34′50.3″ 인천광역시 서구 수도권매립지 15×1 20

109 126°38′25.2″ 37°34′07.7″인천광역시 서구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단지 내300×1 20

110 126°54′44.7″ 35°18′38.7″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대방제 산재

111 127°17′37.4″ 34°53′05.6″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산재

112 127°15′19.9″ 35°00′23.5″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하부

다리부근산재

113 127°17′49.2″ 35°02′24.3″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산재

114 126°45′34.5″ 34°48′51.4″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활성산 서광목장 산재

115 127°08′29.8″ 35°07′53.7″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15번 국도 산재

116 126°41′42.2″ 35°56′58.6″ 전라북도 군산시 나운동 은파유원지 100×5 5

117 126°48′17.7″ 35°44′51.0″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연포리 동진강변 산재

118 127°33′03.6″ 35°26′33.6″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200×5 50

119 127°40′55.9″ 36°00′15.3″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남대천변 산재

120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

주변10×10 20

121 - - 전라북도 임실군 17국도변 산재

122 127°16′23.3″ 35°39′44.7″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병암리 섬진강변 산재

123 - -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산재

124 127°06′32.8″ 35°50′19.2″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2가 전주천

삼천 합류부400×10 30

Page 23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6 -

GPS좌표지 역 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125 127°10′13.4″ 35°50′33.7″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소양천변 산재

126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싸전다리~남천교5×5 산재

127 126°52′13.2″ 35°33′12.6″ 전라북도 정읍시 상동 정읍천변 산재

128 127°18′22.2″ 35°37′29.2″ 전라북도 임실군 성수면 10×4 산재

129 126°21′17.9″ 33°16′27.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도로변 산재

130 126°53′45.5″ 33°24′41.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혼인지 산재

131 126°57′39.8″ 33°30′32.6″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우도면

하고수동해수욕장산재

132 126°42′08.0″ 33°24′44.3″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제동목장130×7 15

133 126°19′46.3″ 33°20′26.5″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정물오름입구 1115도로변1,000×4 15

134 126°37′37.5″ 36°19′19.5″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옥마산

대영사산재

135 126°20′40.5″ 36°45′29.1″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32국도변 산재

136 126°44′22.7″ 36°37′33.6″ 충청남도 홍성군 흥북면 21국도변 산재

137 127°59′45.7″ 36°12′46.6″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관리교 40×2 3

Page 23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7 -

GPS좌표지역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1 128°23′18.1″ 38°21′35.6″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200×2 70

2 128°23′44.7″ 38°22′08.3″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20×10 60

3 128°36′16.2″ 38°10′37.7″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4×2 30

4 128°01′20.7″ 38°11′12.2″ 강원도 양구군 동면 7×5 65

5 127°57′26.5″ 38°12′21.2″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460국도변 산재

6 127°58′10.7″ 38°08′03.4″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7×3 40

7 127°58′49.0″ 38°08′15.2″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산재

8 127°53′16.5″ 38°06′14.4″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5×5 70

9 127°59′50.6″ 38°07′43.3″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20×5 30

10 128°12′51.0″ 38°08′23.7″ 강원도 인제군 북면 15×5 75

11 128°12′33.7″ 38°13′37.9″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10×5 70

12 128°11′56.4″ 38°15′37.9″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100×10 60

13 128°12′34.8″ 38°11′21.3″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5×2 60

14 127°19′47.1″ 38°10′56.6″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463도로변 100×5 65

15 127°22′16.8″ 38°11′07.2″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도로변 산재

16 127°21′25.3″ 38°16′12.3″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도창리

민통선검문소 앞20×30 40

17 127°20′35.2″ 38°12′41.8″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경리 50×50 70

18 127°18′31.7″ 38°09′42.3″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지포리 20×5 50

19 127°20′52.2″ 38°13′39.2″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비룡교 10×2 10

20 127°22′35.2″ 38°11′18.0″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50×5 70

21 127°21′22.7″ 38°10′52.2″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10×5 30

22 127°19′37.1″ 38°10′16.0″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산재

23 127°21′18.4″ 38°14′34.0″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10×2 60

24 127°23′12.5″ 38°10′52.8″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15×5 30

25 127°20′30.3″ 38°11′37.7″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20×5 40

26 127°27′33.9″ 38°09′57.2″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 5×5 30

27 127°28′10.6″ 38°11′50.6″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5×3 60

28 127°28′31.5″ 38°13′30.0″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10×5 60

29 127°28′34.9″ 38°12′38.5″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10×10 70

30 127°28′27.6″ 38°12′12.2″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10×5 60

31 127°31′14.8″ 38°12′03.5″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산재

32 127°30′03.3″ 38°13′15.1″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30×5 60

표 2-21. 2009년 단풍잎돼지풀 전국 분포 조사표

Page 23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8 -

GPS좌표지역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33 127°29′46.0″ 38°13′22.6″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50×5 50

34 127°28′28.2″ 38°13′48.7″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20×5 80

35 127°28′27.4″ 38°13′57.1″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10×5 50

36 127°21′46.8″ 38°16′47.5″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도로변 500×10 60

37 127°25′13.9″ 38°09′48.8″ 강원도 철원군 서면 산재

38 127°26′41.3″ 38°09′55.5″ 강원도 철원군 서면 10×5 70

39 127°24′38.2″ 38°09′44.9″ 강원도 철원군 서면 10×5 50

40 127°25′37.4″ 38°09′45.7″ 강원도 철원군 서면 15×5 40

41 127°14′03.1″ 38°13′12.0″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5×8 20

42 127°12′55.0″ 38°13′46.0″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100×2 30

43 127°37′07.6″ 38°09′51.6″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461도로변 묵정밭 50×30 65

44 127°32′17.7″ 38°10′18.9″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461도로변 100×10 40

45 127°37′34.7″ 38°09′55.9″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봉오2리 1,200×5 40

46 127°36′31.0″ 38°10′20.5″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1,200×10 65

47 127°41′06.7″ 38°07′24.5″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250×5 60

48 127°40′36.4″ 38°07′58.6″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150×5 75

49 127°40′09.7″ 38°08′11.2″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20×30 70

50 127°39′45.1″ 38°08′58.6″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700×5 70

51 127°34′18.4″ 38°10′33.5″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500×10 65

52 127°39′51.8″ 38°09′21.5″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750×15 70

53 127°39′31.9″ 38°09′10.4″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200×5 60

54 127°38′05.4″ 38°09′45.6″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300×5 50

55 127°36′14.2″ 38°11′02.5″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100×3 40

56 127°35′09.2″ 38°11′14.8″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500×5 60

57 127°39′47.1″ 38°09′15.7″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300×5 70

58 127°40′32.4″ 38°08′58.5″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15×5 75

59 127°44′46.9″ 38°09′28.2″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30×5 70

60 127°44′40.6″ 38°09′00.1″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50×10 60

61 127°44′37.8″ 38°08′12.3″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100×2 70

62 127°44′22.6″ 38°07′52.0″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10×3 40

63 127°41′07.6″ 38°06′42.4″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100×5 70

64 127°40′40.1″ 38°08′51.7″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150×5 70

65 127°42′02.1″ 38°07′53.6″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5×5 70

66 127°40′43.6″ 38°08′31.3″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250×5 65

Page 23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19 -

GPS좌표지역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67 127°41′23.7″ 38°08′26.2″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300×5 75

68 127°41′53.4″ 38°08′14.5″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950×10 60

69 126°51′14.9″ 37°42′34.2″경기도 고양시 내유동 1번국도변

고양정신병원 주변50×5 10

70 126°51′03.1″ 37°42′59.8″ 경기도 고양시 내유동 1번국도변 15×1 5

71 126°45′44.5″ 37°41′22.3″ 경기도 고양시 덕이동 탄현역 주변 산재

72 126°47′04.7″ 37°42′10.4″ 경기도 고양시 석성동 86국도변 50×3 10

73 126°53′04.1″ 37°40′25.9″ 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곡릉천변 200×7 60

74 126°53′14.6″ 37°40′30.4″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신원교 곡릉천

(신원동-내유동)80,000×1 40

75 126°53′10.8″ 37°40′03.8″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신원초교 주변

곡릉천변100×3 60

76 126°47′29.7″ 37°43′06.7″ 경기도 고양시 실문동 86국도변 150×3 15

77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산본역 산재

78 126°33′57.0″ 37°42′09.6″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48국도변 100×1 15

79 경기도 남양주시 왕숙천변 200×10 30

80 127°09′30.5″ 37°40′34.6″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47국도변 산재

81 127°08′42.8″ 37°24′44.6″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여수천변 2,000×1 30

82 126°46′59.9″ 37°23′05.1″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시흥갯골생태공원

주차장1×7 90

83 126°59′13.0″ 37°49′02.3″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350지방도로

가남사거리40×1 30

84 126°58′59.4″ 37°49′20.2″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350지방도로

광적사거리70×2 30

85 127°02′51.6″ 37°53′48.6″경기도 양주시 봉안동~동두천시 송래동

신천변8,000×10 25

86 127°03′04.4″ 37°52′46.2″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 100×3 15

87 127°03′31.2″ 37°50′26.3″ 경기도 양주시 회천1동 50×5 20

88 127°04′58.8″ 37°50′48.4″ 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 산재

89 127°05′50.8″ 37°50′24.1″ 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 산재

90 127°23′38.1″ 37°30′19.8″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산재

91 127°03′31.0″ 38°03′27.2″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군사훈련장 60×5 40

92 127°06′07.6″ 38°10′03.1″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175×10 80

93 127°08′07.7″ 38°04′13.3″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 2,600×150 30

94 127°04′55.3″ 38°06′14.9″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 산재

95 127°06′46.9″ 38°02′33.8″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신답리 200×100 15

Page 23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0 -

GPS좌표지역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96 127°03′40.8″ 38°02′36.8″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300×30 70

97 127°06′34.1″ 38°01′29.2″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 산재

98 127°05′48.3″ 38°00′44.4″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대전리 산재

99경기도 용인시 보정동 경부고속도로

신갈분기점1,000×2 20

100 126°51′04.3″ 37°48′35.8″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검전리 도로변 125×3 40

101 126°54′37.3″ 37°54′16.9″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눌노천변 100×1 75

102 126°54′26.5″ 37°54′21.5″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웅담리~오현리

눌노천변 2번도로변10,000×10 45

103 126°51′09.3″ 37°44′28.0″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조안공원묘지 300×10 40

104 127°12′11.6″ 37°55′35.4″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재

105 127°12′35.5″ 37°54′08.5″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 산재

106 127°10′44.3″ 37°52′12.2″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산재

107 127°09′20.7″ 37°50′22.9″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4 산재

108 127°09′00.7″ 37°49′25.3″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10×1 5

109 127°14′11.2″ 37°56′51.4″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산재

110 127°14′47.6″ 37°57′26.1″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5×1 5

111 127°13′11.9″ 37°54′53.6″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산재

112 127°14′58.2″ 37°58′26.9″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37국도변 500×1 10

113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도로변 산재

114 127°27′49.5″ 36°17′51.6″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 대전-통영

고속도로변300×1 20

115 대전광역시 중구 문창동 보문교~인창교 산재

116 128°59′02.9″ 35°12′17.1″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낙동강변 350×10 40

117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금정산 산재

118 128°58′17.1″ 35°08′58.3″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교 아래 산재

119 126°58′45.4″ 37°29′44.2″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현충원 산재

120 126°53′32.6″ 37°33′50.0″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하늘공원50×50 30

121 127°02′23.7″ 37°28′29.9″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도로변 산재

122 127°02′18.7″ 37°32′44.1″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1동 중랑천변 산재

123 127°04′19.1″ 37°30′02.1″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탄천변 산재

124 126°55′25.3″ 37°38′17.8″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5×20 85

125 126°56′00.3″ 37°37′16.6″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10×40 80

126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구파발사거리

주변산재

Page 24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1 -

GPS좌표지역명

면적

(㎡)

피도

(%)경도(E) 위도(N)

127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구파발역 뒤 산재

128 127°05′27.0″ 37°37′06.2″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봉화산역

소하천산재

129 127°06′57.3″ 37°36′38.3″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북부간선도로변 산재

130 126°18′57.1″ 37°46′31.0″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해안도로변 2×1 5

131 126°38′53.8″ 37°34′08.3″ 인천광역시 서구 굴포천 환경가교 산재

132 126°40′13.8″ 37°34′51.3″ 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 도로변 220×5 40

133 126°39′05.3″ 37°35′13.0″ 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 공사터 산재

134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 산재

135 126°42′24.0″ 35°56′27.5″전라북도 군산시 나운동 은파유원지

도로변4×4 5

136 127°12′38.9″ 35°45′50.9″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17국도변 산재

137 127°09′54.7″ 35°48′24.8″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승암교 6×6 10

138 127°43′54.4″ 36°12′12.6″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20×2 60

139 128°12′28.9″ 37°10′39.0″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 의림지 150×2 10

140 127°32′36.2″ 36°33′02.3″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무심천변 인차교 300×5 40

Page 24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2 -

Ⅴ. 고찰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된 6종의 모니터링을

위해 각 종별로 확산 및 분포 동향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대표지역을 선

정하였다. 이들 지역에서의 개화기와 결실기 2회 조사를 통한 생태적 특성과

번식 특성 자료를 수집하여 현재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각 조사지역내 분포 증감추이와 더불어

보다 광범위한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전국분포현황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

며, 2009년도에는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의 전국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조사지역에서의 3차년도 모니터링 결과를 다음

과 같이 정리하였다.

1. 돼지풀

돼지풀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연천의 도로변, 남원의 목초지,

전주의 하천변으로 전주의 경우 외래식물제거 작업으로 장소를 이동하여 2차

조사만 수행하였다.

연천의 조사지는 분포면적은 증가하였지만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칡

등의 피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상종의 피도가 감소추세에 있으며 앞으로의 증

감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남원의 조사지는 목초 수확시기에

따라 분포가 불안정하여 명확한 증감추이를 비교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며, 시

험장내 돼지풀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주의 깊은 제거 작업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주 조사지의 경우 기존 조사지점의 대대적인 제거

작업으로 지점을 이동하여 2차 조사만 실시하였으며, 이동한 조사지점은 산책

로와 하천 제방사이의 생육지로 보다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주변

식생들과 경쟁 및 인위적 제거작업에 의한 분포 증감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

Page 24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3 -

해야 할 것이다. 돼지풀의 관리는 개화 결실 이전에 전초제거가 가장 확실하

나 토사유실 및 휴면종자의 확산에 주의를 요한다.

2. 단풍잎돼지풀

단풍잎돼지풀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파주의 하천변, 부산의

강변, 고양의 하천변, 인천의 도로변으로 ‘08년 추가 조사지인 연천과 기존 파

주 조사지는 인위적 훼손으로 인하여 제외하였고, 파주와 고양의 대체조사지

를 선정하였다.

파주 광탄면 도로변 조사지는 옥수수 경장을 위한 제초 등 인위적 간섭으로

훼손이 심하여 조사지에서 제외하였고, 대체 조사지점인 법원읍 눌노천변의

조사지는 2번 도로와 눌노천을 따라 약 10㎞에 걸쳐 분포하는 단풍잎돼지풀의

집중조사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하천변과 도로를 따라 이동 확산여부를

지켜봐야 할 것이다. 부산의 낙동강변에 위치하는 조사지는 제방 위 산책로와

인접한 곳의 제초를 제외하곤 특별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단풍잎돼지풀을 비롯한 양미역취, 털물참새피 등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제

거 관리가 요구된다. 연천의 군사훈련장 내 조사지는 경작 및 제초로 인한 훼

손과 군 훈련시 위험 가능성으로 인하여 조사지에서 제외하였고, 대체 조사지

점인 고양 곡릉천변의 조사지는 1번국도와 곡릉천을 따라 약 8㎞에 걸쳐 분포

하는 단풍잎돼지풀의 조사지를 선정하였으며 하천 및 도로를 따라 확산가능성

이 있고 같이 분포하는 가시박, 미국쑥부쟁이와 함께 집중 관리가 요구된다.

인천 조사지의 단풍잎돼지풀은 매립지도로 양 옆으로 특별한 인위적 간섭 요

인이 없이 개체가 유지되고 있으며, 가시박과 함께 인근 숲 또는 도로를 따른

확산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단풍잎돼지풀 또한 개화결실 이전의 전초제거와

함께 하천, 도로를 따라 확산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Page 24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4 -

3. 서양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평화의공원, 남산공원, 남

한산성 등 산림 또는 하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심 혹은 외곽에 위치한 도시

공원의 형태를 띠고 있다.

서울 상암동 평화의공원 평화주차장 옆 난지천변에 분포하는 서양등골나물

은 월드컵공원 내 하늘공원을 비롯한 여러 공원이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시민

들의 접근이 용이해 사람 및 바람을 통한 이동과 천변을 따라 확산되지 않도

록 유의한다. 남산공원은 등산로, 도로변을 따라 숲 내부에도 분포하고 있으

며, 남한산성의 경우도 성곽을 따라 등산로를 중심으로 소규모로 군생 또는

산재하고 있으며 도립공원 내 곳곳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세 지역 모두 사

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공원으로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인간의 간섭

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등산로 및 산책로 등 사람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곳을 중심으로 차차 숲 내부로 전초제거를 통한 확산을 방지

할 수 있는 관리가 중요하다.

4. 털물참새피

털물참새피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제주의 하천변, 나주와 해

남의 저수지, 부산의 강변으로 모두 유속이 빠르지 않거나 정체된 얕은 물가

주변에 생육하고 있다. 창녕 조사지의 경우 조사지 훼손으로 부산 조사지로

대체하였다.

제주 도근천 조사지는 지난 조사와 큰 변동이 없으며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

는 한 털물참새피의 생육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나주 산제제는 저수지 북

수면으로 도로공사가 진행되고, 연꽃의 피도가 상당히 증가하여 가시연꽃의

생육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해남 조사지는 우량 및 농수사용으로 인한 수위변

동이 심하고, 낚시터로 이용되는 등 수질도 많이 악화된 상태로 이러한 인위

적 간섭에 따른 분포 증감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창녕의 조사지는 논

Page 24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5 -

옆의 농수로를 따라 수면부를 거의 다 덮다시피 분포하고 있었지만 올해 조사

시 지자체에서 대대적인 제거 작업을 펼쳐 수로 정비가 이루어졌으며, 조사수

행이 불가능한 관계로 조사지를 부산의 낙동강하구로 변경하였다. 인근 산지

비탈면에 쌓아둔 개체들과 일부 남아 있는 개체들의 제거에 집중하여 지속적

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5. 물참새피

물참새피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고흥의 하천변, 제주의 저수지

로 진주의 경우 물참새피의 개체수 감소로 조사대상지에서 제외하였다.

고흥 녹동교의 물참새피는 1차 조사시 고마리, 미나리 등의 수생식물의 피도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2차 조사시 예년과 같은 피도 값

을 회복한 것으로 보아 조사 시기별 생육량의 차이 때문에 나타난 일시적 현상

으로 인위적 제거를 통하지 않은 자연적인 면적 감소현상은 나타나기 힘든 것으

로 파악되었다. 제주 용수저수지는 저수지 내부에 부들, 미나리, 고마리, 큰고랭

이 등의 수생식물과 경쟁상태에 있지만, 물참새피는 뿌리부 매트를 형성하여 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물참새피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개화 결실

이전에 전초를 걷어내 뿌리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며 다년초

의 특성상 시기별 집중 제거와 함께 꾸준한 제거 관리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6. 도깨비가지

도깨비가지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선정된 지역은 광주의 도로변과 영암, 화

성, 제주의 목초지이며, 훼손으로 인한 대체 조사지로 광주는 화순의 백아산,

제주 제동목장은 이시돌목장을 선정하였다.

광주의 도깨비가지 분포지는 화단 식재 등의 인위적 간섭이 지속되어 조사

지에서 제외하였다. 대체 조사지로 선정된 화순 백아산은 도로변에서 등산로

Page 24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6 -

초입까지 과수원 내부에도 넓게 분포하며, 등산로 또는 도로변을 따라 이동

확산 가능성이 있어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영암 조사지는 목초 수확과 함께

제초가 되지만 유묘가 남아 생육을 유지하고 있으며, 화성 조사지는 현재 관

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목장 내부에 분포하고 있어 두 곳 모두 대량분포지의

집중제거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제주 제동목장의 조사지는 작업로 정비 등

의 인위적 간섭으로 인하여 이시돌목장내 방치된 목장으로 조사지를 변경하였

으며,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의 도깨비가지의 분포 및 확산

양상을 알아볼 수 있는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도깨비가지는 다년초로 일

시적인 또는 주기적인 제초로 인한 제거에는 한계가 있어 집중 분포지를 중심

으로 한 전초제거가 가장 효과적이며 제거시 강한 가시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7.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전국분포조사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을 대상종으로, 기존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주로 강

원도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국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2009년 4월부터 11월

까지 각 조사지내의 분포면적과 피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상종과 생육지 경쟁

관계에 있거나 특이점이 있는 공서종에 대해 조사하였다.

돼지풀은 총 137지점에서 확인하였으며, 전국적으로 산재형태의 분포가 대

부분이었고, 도로, 하천, 산지 등 인위적 교란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생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풍잎돼지풀은 총 140지점에서 확인하였으며, 강원도와 경기북부에 집중

분포하고, 주로 하천변, 도로변 등 이동 및 확산에 유리한 지역에 대량으로 분

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종 모두 강한 번식력과 확산력으로 그 분포역을 늘려가고 있으며, 특히

8-9월 발생하는 꽃가루로 피해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더 이상의 확산

방지가 최우선이나 발생시 침입 초기에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개화

결실 이전에 전초제거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24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7 -

Ⅵ. 참고문헌

국립환경과학원. 2006.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298p.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p.

양환승, 김동성, 박수현. 2004. 잡초 Ⅱ. 이전농업자원도서, 서울. pp. 396-403.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 보호법 시행규칙 제 3조 별표 2.

환경부. 2006. 생태계교란종에 대한 모니터링체계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212p.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160p.

Andow, D.A. 2003. Proc., of international seminar on biological invasions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the

asian-pacific region, Tsukuba, Japan. pp. 1-28.

Daszak,P., A.A.Cunningham and A.D.Hyatt. 2000.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wildlife-threats to biodiversity and human health. Science

287: 443-449.

Perrings, C., M. Williamson, E. B. Barbier, D. Delfino, S. Dalmazzone, J.

Shogren, P. Simmons, and A. Watkinson. 2002. Biological invasion risks

and the public good: an economic perspective. Conservation Ecology

6(1): 1. [online] URL: http://www.consecol.org/vol6/iss1/art1

Veit, R. R. and Lewis, M. A. 1996. Dispersal, population growth, and the

Allee effect: dynamics of the house finch invasion of eastern North

America. Am. Nat. 148: 255-274.

www.cbd.int/invasive/(2007.5.14)

Page 24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8 -

제 3장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개선안

Ⅰ. 개요

2010년부터 변화되는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은 야생동식물보호법에 2009년

6월 현재 고시된 생태계교란종 16종을 대상으로 매년 주요 지역의 분포 추이

를 집중 모니터링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매해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관리 필요성이 높거나 관리 성과 평가 필요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생태계교란

종의 생태계 영향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일도 모니터링 사업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제한된 인력과 예산의 범위 내에서 16종에 대한 전국적인 규모를 매년 모니

터링 해야 하므로 조사해야 할 지역의 수와 모니터링 내용을 조정하였고, 이

는 매년 모니터링 세부계획을 수립할 때 예산과 가용인력의 범위 안에서 규정

하는 것으로 하였다. 아울러 생태계교란종은 종에 따라 분포 양상과 확산 기

작이 다르므로 종별로 종의 생태적 특성에 부합되는 모니터링 방법을 변형하

여 적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같은 종에 대한 모니터링도 분포 양상

과 관리 필요성 및 확산 기작과 관리 방식 등의 변화에 따라 해마다 모니터링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Page 24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29 -

Ⅱ. 선형과 면형 모니터링

1. 점형 모니터링의 한계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수행한 3년간 수행한 10종의 생태계교란종 모니

터링은 종별로 4~5곳의 일정한 정점을 정하고 각 장소에서 소형 방형구를 설

치하여 방형구내의 생태계교란종과 동반출현종의 개체밀도, 피도와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생태계교란외래동물의 경우에는 식이물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모니터링 지점의 생태계교란

종 분포 양상과 생태 영향을 년도별로 비교하여 생태계교란종의 생태계 영향

에 따른 문제점을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조사지가 선이나 면이 아닌 점형(정점 방식)이며 조사구가 소수로

제한된 방식으로는 생태계교란종의 전국적 분포 증감 추이를 파악하기 어려웠

다. 또한 고정된 지점의 방형구 조사방식은 생태계교란종의 전국적 분포 양상

을 대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고정조사구에 특이하게 발생되는

과도한 분포양상변화가 분포지 전체의 분포양상변화와 일치하지 않는 일이 일

어나면서 점형의 고정조사구 방식은 생태계 영향의 심층적 조사 등에 국한할

필요가 생겨났다. 소수의 고정조사구를 바탕으로 한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은

또한 교란종의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관리를 이행하며 관리 성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이러한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방식의 문제점 속에서도 생태계교란종의 전

국 분포양상에 대한 자료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털물참새피와 물참새피

(국립환경과학원 2008) 및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국립환경과학원 2009)에 대

한 전국 분포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이들 종의 전국 분포 양상에 대한

Page 24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0 -

자료를 보완하였다. 도깨비가지는 2004년도(국립환경과학원 2004)에, 가시박은

지난 2005년의 집중 조사(국립환경과학원 2005)와 이후의 비예산사업으로 수

행한 임의조사를 통하여 전국적 분포양상에 대한 개략적인 자료가 구비되어

왔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생태계에 확산된 곳이 적어 전국적인 분포 양상에

대한 자료가 어느 정도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 방식은 외래종 정밀

조사나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등의 사업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수행한 조사결

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생태계교란종의 전국적인 분포 양상을 관리필요성에

따라 조사하는 내용과는 동떨어진 한계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방안과

연계성이 높은 형태의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방식을 도입할 필요성을 인식하

였다.

2.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의 지향점과 방식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은 생태계교란종의 전국 분포추이를 보여주면서 동시

에 생태계교란종의 관리방안과 연계성이 높게 수행되는 것이 핵심이다. 생태

계교란종 전국 분포자료는 전국의 주요 분포 지역과 관리필요성이 높은 지역

의 생태계교란종 분포양상에 관한 자료 생산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모니터

링과 생태계교란종 관리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리계획수립과 관리 성

과 평가에 적합한 모니터링과 관리 지원에 적합한 모니터링이 우선적으로 요

구된다. 생태계교란종 전 종에 대하여 주요 분포지역과 관리필요성이 높은 지

역에 대한 분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규모와 내용의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하

고 이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이 뒷받침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

로는 먼저 주어진 예산과 인력에 맞게 모니터링의 범위와 내용을 조정하고 이

후 관리에 필요한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맞는 예산과 인력을 확보하

Page 25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1 -

여 실질적인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의 효율성을 높이면 보다 적은 예산과 인력으로 생태

계교란종 관리에 필요한 모니터링의 성과를 보다 많이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를 위하여 전략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는데 이는 생태계교란종의 피해지역을

줄이고 생태계교란종의 대량 확산을 방지하는 관리중점지역의 설정과 최소한

의 조사로 분포양상과 확산기작을 보다 자세히 알아내는 모니터링 방식으로

뒷받침된다. 이와 함께 관리부문과의 관리에 연계되는 모니터링에 대한 협력

강화가 모니터링의 관리기여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에는 선형과 면형의 모니터링이 적합하고 생

태계 유형과 관리 유형에 따른 전략적 조사지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큰입

배스와 뉴트리아와 같이 이동성이 높은 생태계교란동물의 경우에는 고정된 조

사정점에 국한한 조사로는 개체군의 크기와 변동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선형과 면형 모니터링의 조사 필요성이 생태계교란식물보다 더욱

크다. 정량적인 현지조사도 쉽지 않고 그러한 현지조사 결과도 분포양상과 추

이를 반영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가 특정 수

역이나 지역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어획과 포획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

로 입수하여 분석하고 이에 곁들여 필요한 현지조사를 병행하는 것으로 하였

다. 현지조사의 경우에도 고정 조사점 방식을 피하고 출현지역 전체나 특정

구간을 나누어 선형과 면형 조사로 해당 서식지에서의 분포양상을 추적하는

것으로 하였다.

가시박과 같이 선형으로 확산되며 광역적인 확산을 보이는 생태계교란식물

에 대해서는 하천과 도로변의 분포지 양단을 포함하는 선형의 모니터링 후보

지역을 목록화하였다. 이러한 목록화 작업을 통하여 분포 지역의 생태계 유형

Page 25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2 -

을 나누어 생태계유형별로 모니터링 후보지역을 압축하였다. 생태계가치가 높

거나 보전필요성이 높은 지역은 생태계교란종의 분포규모나 양상과 함께 관리

필요성에 보다 중점을 두어 예방적인 관리가 우선되도록 모니터링 후보지역을

목록화하였다. 생태계교란종의 주요 공급지나 보전과 관리필요성이 높은 생태

계에 대한 생태계교란종의 주요 공급지도 모니터링 후보지역 목록에 포함하여

문제성이 높은 생태계교란종 확산의 우선관리에 부응하는 형태로 모니터링 후

보지역을 조정하였다.

가시박, 단풍잎돼지풀이나 황소개구리, 큰입배스와 같이 전국적인 분포를 보

이는 생태계교란종의 모니터링 지점 수는 많아야 하나 조사 자료의 한계와 인

력과 예산부족의 현실을 고려하여 종별로 약 15개 내외의 모니터링 후보지역

을 선정하였다. 서양등골나물, 도깨비가지나 붉은귀거북, 뉴트리아와 같이 분

포가 비교적 한정된 생태계교란종에 대해서는 종별로 약 10개 내외의 모니터

링 후보지역을 선정하였다. 2010년에 수행할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은 이러한

모니터링 후보지역에서 10개 내외를 선정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모니

터링과 외래종정밀조사 사업의 수행과 다른 조사연구 자료의 정리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제 모니터링은 현장에서 일부 조정이 필요한데 이런 융

통성을 보일 수 있도록 모니터링 계획에 모니터링 조사지역의 변동가능성을

명시하는 것도 중요하다.

Page 25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3 -

Ⅲ. 종별 모니터링

1. 생태계교란야생동물 모니터링

가.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

정체성 수역이나 물 흐름이 적은 큰강이나 하천에 사는데 호소나 저수지 등

이 대표적인 서식지이다. 공격력이 아주 강한 어종으로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산다. 큰입배스가 창궐하는 수역은 양서류와 토착어류를 감소시키는 등

토착생물에 피해를 주므로 체계적인 관리 제거가 필요하다.

큰입배스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와 관련 보고서 등으로부터 자료를 수집

하여 모니터링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큰입배스는 국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

며 주요 분포지는 하천의 중하류부와 댐호 및 저수지에 분포하고 있다. 하천

에 서식하는 개체는 작고 주로 댐호와 저수지에 많이 서식한다. 모니터링 지

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파랑볼우럭이 서식하는 지역에 큰입배스도

동시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조사의 효율성과 예산의 절감 차원에서 두 종

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하였다.

Page 25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4 -

그림 3-1. 생태계교란야생동물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5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5 -

표 3-1. 2010 큰입배스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위치 행정구역 좌표 사유

1 하천 진위천수계 경기 평택시 진위면 37°5’N, 127°4’E유형과

우점도

2 저수지 신갈저수지 경기 용인시 기흥읍 37°13’N, 127°5’E 유형

3 호소 아산호 경기 평택시 현덕면 36°55’N, 126°57’E 대량서식

4 호소 대청호 충북 보은군 회남면 36°26’N, 127°32’E 대량서식

5 호소 의암호 강원 춘천시 중도동 37°53’N, 127°42’E 대량서식

6 호소 진양호 경남 진주시 귀곡동 35°9’N, 128°1’E 대량서식

7 저수지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시 동읍 35°18’N, 128°40’E 교란

8 하천 만경강 전북 전주시 덕진구 강흥동 35°53’N, 126°59’E유형과

우점도

9 호소 임하호 경북 안동시 와룡면 36°34’N, 128°51’E 증가 추이

10 하천 한천 경북 구미시 장천면 36°6’N, 128°29’E 유형

11 호소 팔당호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37°29’N, 127°18’E 대량서식

12 호소 장성댐 전남 장성군 장성읍 용강리 35°18’N, 126°48’E위치고려

(다수서식)

13 저수지 석모도 인천 강화군 교동면 36°47’N, 126°15’E 유형

14 저수지 기산저수지 경기 양주군 백석읍 기산리 37°44’N, 126°53’E 대량서식

15 저수지 대호지 충남 당진군 석문면 초도락리 36°56’N, 126°22’E위치고려

(다수서식)

Page 25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6 -

표 3-2. 큰입배스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서울권

○ 한강수계

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한강본류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밤섬, 한강본류

서울시 성동구 사근동, 청계천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여의도 샛강

서울시 강남구 세곡동 세곡교

경기권

○ 한강수계

경기도 용인시 포곡면 삼계리 당곡보, 경안천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 양벌리 오포대교, 경안천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팔당호

경기도 하남시 미상동, 한강본류

○ 팔당호

○ 곤지암천수계

경기도 광주시 포월면 지월리 경안천 합류부

경기도 광주시 실촌면 신대리

○ 강화 삼거천 하구역, 교동도, 석모도

○ 진위천수계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화산리 비룡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금암리

○ 남한강 수계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이호리, 남한강 본류

○ 북한강 수계

○ 신갈지(기흥저수지)-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공세리

○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송전리 이동지

○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월항리 고삼지

○ 임진강 수계: 문산천, 신천

○ 기산저수지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 양수리 팔당댐

○ 안성천 수계

경기도 평택시 평성읍 내리 안성천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하복리, 진위천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황구지리, 진위천

○ 아산호: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대안리

○ 평화의댐(북한강)

○ 한탄강댐 상하류

○ 마전저수지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Page 25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7 -

지역 상세분포지역

강원권

○ 북한강 수계: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 파로호

○ 춘천호, 의암호

○ 소양댐

충북권

○ 괴산호

○ 금강수계

충북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 무심천

충북 청주시 문암동, 무심천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대청댐

충북 보은군 사음리 회남교, 대청댐

○ 대청호: 청원군 대청호 대호

충남권

○ 잠흥저수지: 충남 서산시 응암면 상흥리

○ 화곡저수지: 충남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해미천: 충남 서산시 해미면 해포리

○ 대호지: 충남 당진군 석문면 초도락리

○ 석문호: 충남 당진군 석문면 삼화리

○ 죽림지: 충남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 금강 수계

충남 서천군 기산면 망월리, 금강본류

충남 연기군 남면 월산리, 금강본류

○ 대청호(대전)

전북권

○ 동진강 수계: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우령리 신태인대교

○ 원평천 수계: 전북 김제시 봉남면 구정리

○ 도원천 수계: 전북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 옥정호: 전북 정읍시 산내면 능교리 신기교

○ 소양천, 고산천수계: 전북 전주시 전미동 송정리

○ 용담댐(진안, 전주)

○ 만경강: 전주천, 삼천수계

○ 두월천 수계

전북 김제시 용마리 고잔

전북 김제시 봉산면 용동

전북 김제시 신월동 상평고

○ 섬진강 수계

○ 옥정호: 전북 임실군 운암면 입석리

Page 25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8 -

지역 상세분포지역

전남권

○ 옥과천수계, 삼기천수계, 보성강수계, 섬진강수계(화순, 곡성)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사창말

○ 전남 무안군 몽탄면 학산리

○ 광주 영산강 수계: 장성댐

경북권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금사마을 부근

○ 경북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기날저수지

○ 낙동강 수계

경북 영천시 금호면 황전리. 금호강과 북안천 합류지

경북 영천시 북안면 반정리 북안천과 용호천 합류지

○ 낙동강 본류와 반지천의 합수지점(칠곡/달성)

○ 왜관읍에서 낙동강에 유입되는 동정천의 하류

○ 낙동강 본류유역

○ 금호강

하부와 낙동강이 만나는 하안지역

중하류유역으로 이언천과의 합수처

지류인 이언천 중류부

○ 금호강과 팔거천이 만나는 합수처

○ 경북 구미시 낙동강 본류

○ 구미 한천

○ 안동 안동댐

○ 안동 임하호

경남권

○ 함안천, 광노천, 대산천

○ 우포늪, 주남저수지

○ 남강, 향안천, 지내천(진주)

○ 낙동강 수계

경남 김해시 장유면 내덕리 정천교 조망강

경남 김해시 장유면 응달리 조망강

○ 낙동강 수계

부산시 강서구 봉림동 알개섬, 조망강

○ 부산시 강서구 명지동 진목3교, 낙동강 본류

○ 신천지: 경남 울주군 삼남면 가천리 금사

○ 남강댐호

경남 진주시 평거동

경남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경남 진주시 대곡면 월아리

경남 의령군 의령면 정암리

경남 함안군 법수면 주물리

경남 의령군 지정면 마산리

○ 울산 태화강

○ 거제

Page 25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39 -

나. 파랑볼우럭(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번식력이 높은 잡식어종으로 동물성플랑크톤, 수서곤충, 갑각류, 어류의 알

이나 치어, 조개류, 수초 등을 섭식하고 움직이는 생물을 공격하여 담수생태계

를 파괴하며 수중생물 다양성에 변화를 초래하여 생태계교란의 문제를 야기한

다.

파랑볼우럭은 국내의 저수지와 댐, 하천 중하류부에 서식한다. 낚시터로 이

용되는 중소 규모의 저수지에서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곳이 많다. 전국자연환

경조사 자료와 관련 보고서 등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우점도와 유형, 밀도,

증가추이, 조사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여 모니터링 지역을 선정하였다. 큰입배

스 모니터링 선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사의 효율성과 예산의 절감 차원에

서 두 종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하였다.

표 3-3. 2010 파랑볼우럭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위치 행정구역 좌표 사유

1 하천 진위천 경기 평택시 진위면 37°5’N, 127°4’E 유형과 우점도

2 저수지 신갈저수지 경기 용인시 기흥읍 37°13’N, 127°5’E 유형

3 호소 아산호 경기 평택시 현덕면 36°55’N, 126°57’E 대량서식

4 호소 대청호 충북 보은군 회남면 36°26’N, 127°32’E 대량서식

5 호소 의암호 강원 춘천시 중도동 37°53’N, 127°42’E 대량서식

6 호소 진양호 경남 진주시 귀곡동 35°9’N, 128°1’E 대량서식

7 저수지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시 동읍 35°18’N, 128°40’E 교란

8 하천 만경강 전북전주시덕진구강흥동 35°53’N, 126°59’E 유형과 우점도

9 호소 임하호 경북 안동시 와룡면 36°34’N, 128°51’E 증가 추이

10 하천 한천 경북 구미시 장천면 36°6’N, 128°29’E 유형

Page 25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0 -

표 3-4. 파랑볼우럭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 역 상세분포지역

서울권 ○ 한강: 서울시 강동구 하일동, 한강본류

경기권

○ 진위천 수계

경기도 용인시 남사면 방아리 창말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금암리 신야리

○ 오산천 수계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영천리 윗말, 신갈지 아래유역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야막리

○ 신갈저수지

○ 이동지: 용인시 이동면

○ 아산호

○ 한탄강댐 상하류(연천)

○ 팔당호: 경기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 남한강 수계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복하천

경기도 여주군 홍천면 귀백리. 복하천

경기도 여주군 홍천면 복대리 무선동, 남한강본류

경기도 여주군 이호리 이호대교, 남한강본류

○ 곡릉천: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송촌교

○ 기산저수지: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 한강수계(양주, 광주, 양평)

○ 임진강수계(연기, 연천, 파주)

○ 마전저수지: 시흥시 장곡동 별감

○ 고삼지: 안성시 고삼면

강원권○ 철원 토고저수지

○ 춘천 의암호, 춘천댐

충남권

○ 금강수계

충남 서천군 기산면 망월리, 금강본류

○ 대호

충남 당진군 석문면 초도락리 해창

충북권

○ 대청댐

정수역인 대청호 대호 내

○ 금강수계

충북 연기군 남면 화양리, 금강본류

충북 연기군 금남면 부용리, 금강본류

충북 연기군 남면 월산리, 금강본류

충북 연기군 남면 복통리, 복통천

충북 연기군 서면 봉암리, 봉암천

충북 연기군 동면 내판리, 미호천

충북 보은군 사음리 회남교, 대청댐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대청댐

Page 26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1 -

지 역 상세분포지역

○ 충주호

충북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충주호

충북 충주시 살미면 신매리, 충주호

○ 충주조정지

충북 충주시 금가면 유송리, 충주조정지

충북 충주시 금가면 원포리, 충주조정지

○ 괴산호: 충북 괴산군 청성면 운교리, 괴산호

전북권

○ 소양천, 고산천 수계: 전북 전주시 호성동 초당

○ 수월천, 전주천 수계

전북 완주군 상관면 신리 월암

전북 전주시 교동 오목대

○ 만경강, 전주천, 삼천수계: 전북 전주시 동산동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제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유유제

○ 전북 부안군 동진면 선은리 고마제

○ 동진강 수계

전남권

○ 전남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하평마을 하방

○ 옥리산 수계: 전남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 청룡부락

○ 주성산 수계: 전남 해남군 황산면 호동리

○ 전남 나주시 왕곡면 신포리

○ 전남 영암군 신북면 양계리

○ 장성댐(장성)

○ 영산강(광주): 나주댐, 장성댐

○ 섬진강 수계

○ 담양호

경남권

○ 함안천, 광노천

○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시 동읍 가월리 일원

○ 남강, 남산천, 향앙천, 지내천(진주)

○ 남강댐

경남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 가천저수지

경남 울주군 삼남면 가천리

○ 남강댐

경남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 가천저수지

경남 울주군 삼남면 가천리

○ 신천지

경남 울주군 삼남면 가천리 금사

Page 26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2 -

지 역 상세분포지역○ 낙동강 수계

경남 김해시 장유면 응달리, 조망강

부산 강서구 명지도, 낙동강

○ 울산 태화강

○ 울산 청량천

○ 우포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일대

경북권

○ 금호강의 하부와 낙동강이 만나는 하안지역

○ 낙동강의 지류인 금호강의 하류유역

○ 안동댐호

○ 안동 임하호

○ 구미 한천

그 외 ○ 제주도 저수지

Page 26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3 -

다. 붉은귀거북 Trachemys spp.

붉은귀거북은 번식과 생장이 빠르고 국내에 천적이 없으며 어류, 수서곤충,

양서류 등을 잡아먹기 때문에 하천과 호소의 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된다. 붉은

귀거북은 정체성 수역의 진흙 바닥에 수초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살고 큰 강이

나 물 흐름이 약한 호수, 저수지 등이 전형적인 서식지이며 작은 웅덩이에서

도 살아간다. 그리고 산란이나 서식지 이동 외에는 물가를 잘 떠나가지 않는

다. 국내에는 산간계곡을 제외한 전국의 담수역에 퍼져있으며 조사된 분포지

역을 바탕으로 우점도와 유형, 밀도, 증가추이, 조사의 연속성 등으로 고려하

여 모니터링 지역을 선정하였다.

표 3-5. 2010 붉은귀거북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위치 행정구역 좌표 사유

1 호소 안흥유원지 경기 이천시 안흥동 37°16’N, 127° 27’E

하천보다는

공원 및 호소의

출현비율이 높음

2 호소 옥구공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37° 21’N, 126° 44’E

하천보다는

공원 및 호소의

출현비율이 높음

3 저수지 일왕저수지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37° 18’N, 127° 0’E

외부단체 지속

관리 지역

4 호소 덕진공원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35° 50’N, 127° 7’E

과년도

모니터링

대상지역

5 방죽 상암방죽 충남 천안시 안서동 36° 50’N, 127° 11’E 조사 유형

6 호소 연호정 경북 울진군 울진읍 36° 59’N, 129° 24’E 지역 유형

7 하천 금오지 경북 구미시 원평동 36° 8’N, 128° 19’E 조사 유형

8 저수지 운암지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35° 55’N, 128° 34’E 지역 유형

9 하천 태화강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35° 35’N, 129° 4’E

과년도

모니터링

대상지역

10 저수지 대동지 전남 함평군 대동면 35° 7’N, 126° 30’E 서식 밀도

Page 26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4 -

표 3-6. 붉은귀거북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 역 상세분포지역

서울

○ 영동대교-성수대교, 반포대교-강동대교, 동작교 부근○ 영동1교-대치교, 한천교, 장평교

○ 가양대교

○ 불광천과 합류지점○ 한강합류지점

○ 탄천 제2교, 광평교

○ 묵동교○ 88호수

○ 서울대(자하연), 서울시립대, 경희대, 삼육대

○ 서울산업대, 건국대(일감호)○ 경복궁(경희루), 덕수궁, 창경궁

○ 석촌호수, 몽촌호수, 환경연못, 군자정연못

○ 예술의 전당 연못, 현충지, 공작지, 우면산저수지, 지당연못○ 구암연못, 용산공원연못, 생태연못, 잔디연못, 난지연못

경기권

○ 과천저수지

○ 남한강○ 경안천

○ 중앙공원(성남)

○ 율동공원, 탄천(구미동), 탄천(정자동), 탄천(성남동)○ 한강 선동주차장(하남)

○ 당정습지(미사동)

○ 일왕저수지(수원)○ 서호저수지, 광교저수지, 원천저수지, 만석공원(수원)

○ 안흥유원지(이천)

○ 설봉공원(이천)○ 옥수공원(시흥)

○ 농수산물센터 뒤 대화수로(고양)

○ 곡릉천(창릉동), 호수공원○ 강화 강화북부, 석모도, 교동도,

○ 내가천, 고구저수지, 승뢰저수지, 고려저수지, 국화저수지, 하리저수지,

인산저수지, 장흥저수지○ 계양: 서부간선수로 서운동 지점, 서부산선수로 원당교 부근, 굴포천

상야 부근

○ 남동 : 인천대공원 호수, 장수천○ 서구 공촌천

○ 북한강(가평 달전리), 북한강(사룡리)

○ 장자못(구리)○ 갈치저수지, 반원저수지(군포)

○ 상동공원, 중앙공원(부천)

○ 안산천(안산)○ 안양천(안양)

○서랑저수지(오산), 산정호수(포천)

Page 26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5 -

지 역 상세분포지역

강원권

○ 매지호, 섬강중류, (원주), 섬강(강현리), 섬강(월송리), 학곡저수지,

대안저수지

○ 섬강상류(횡성)○ 영랑호(속초)

○ 경포호(강릉)

○ 낙산사 경내연못(양양)○ 황지연못(태백)

○ 공지천, 의암호, 소양호(춘천)

○ 남한강(청룡포), 주천강(영월)

충남권

○ 상암방죽(천안)

○ 천호저수지, 업성저수지, 용연저수지, 마정저수지, 양전저수지(천안)

○ 유성구 어은동 감천(대전)○ 금강(공주)

○ 금강(금산)

○ 삽교호, 오봉제저수지(당진)○ 문산저수지, 홍림저수지(서천)

○ 수룡저수지(태안)

○ 흥성(홍양저수지)

충북권

○ 부산, 동산, 충주호(제천,단양)

○ 솔밭공원 연못, 명암저수지(청주)○ 장재저수지(보은)

○ 설성공원(음성)

○ 달천대교, 탄금대, 호암지, 목계교, 복탄1교, 칼바위, 싯계, 탑평리,대제지, 영죽지(충주)

○ 꽃바위, 평풍바위, 한들보, 세월교, 갈읍보, 송동교하천, 백마저수지(괴산)

○ 죽전저수지(영동)○ 금강, 금강댐, 대청댐(옥천)

○ 약수정(청원)

전북권

○ 마암리, 두월리, 구복리, 서포리, 구정리(김제, 정읍)○ 화삼리, 금상리, 상아중리, 수월리, 운산리(진안, 전주)

○ 진안 용담호

○ 마이산 연못(진안, 전주)○ 금평저수지, 선암저수지, 기지재(전주, 김제)

○ 전주 덕진공원

○ 김제 금평제, 능제 호수○ 만경강, 구이저수지(완주)

○ 남대천(무주)

○ 제1수원지(군산)○ 도솔제(고창)

○ 부안호(부안)

○ 만경강, 금마저수지, 왕궁저수지(익산)○ 오수천, 옥정호(임실)

○ 내장저수지(정읍)

Page 26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6 -

지 역 상세분포지역○ 주암호, 상사호, 동천(매곡동), 동천(조곡교)-순천○ 감돈저수지, 복용저수지(무안)○ 불갑사, 불갑저수지(영광)○ 담양호○ 광주 광산구 첨단쌍암공원○ 광주 서구 상무시민공원, 광주천 수중보○ 나주호, 나주천○ 쌍봉동 거북호수(여수)○ 화장동 성산공원(여수)○ 유당공원, 섬진강, 중흥저수지, 수어호, 오사저수지(광양)○ 섬진강(구례 수월리)○ 주암호(보성 동교리)○ 개천천, 장성호 상류(장성)○ 대동저수지(함평)

경북권

○ 인내산, 구미산, 도덕산, 영천 금호강(용천지), 팔공산도립공원(신일지),영천호(운곡지)- 영천, 영주

○ 심천리, 매월리(칠곡, 달성)○ 금오지, 대성지(구미)○ 연호정(울진)○ 오어지 상류, 남구 형산강(포항)○ 보문호(경주)○ 낙동강(고령)○ 위천(군위)○ 개운저수지(상주)○ 낙동강, 성주호(성주)○ 낙동강(안동)○ 영주서천, 금계저수지, 배점저수지(영주)

경남권

○ 무악산, 수리봉, 자양산○ 도청연못, 용지호수, 용추저수지(창원)○ 대암천, 모로천, 봉성저수지, 이수정연못, 지우천, 남강천(함안)○ 대구 북구 운암지, 수성구 수성못, 남구 신천, 달서구 금호강,성강못○ 울산 남구 옥동저수지, 동구 명덕저수지, 남구 울산대공원, 남구 정골저수지○ 울주군 태화강, 사연호, 구못암저수지, 관음저수지, 못안저수지, 성안저수지, 장암저수지○ 마산 월영연못, 안성2저수지○ 통영 미래사연못, 용화수원지○ 부산 서구 대신1저수지, 대신2저수지, 강서구 서낙동강, 해운대구 춘천(대천호수)○ 대가저수지, 옥천소류지(고성)○ 오동수원지(남해)○ 양산천○ 삼남저수지, 산남젓쥐(의령)○ 남강, 진양호, 금호지(진주)○ 양천, 정양늪, 명곡저수지, 율원저수지(합천)

Page 26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7 -

지 역 상세분포지역

경북권

○ 내장산 남부 약수천(정읍)

○ 계룡산 사봉소류지(공주)

○ 덕유산 원당천, 통안천(무주)

○ 북한산 우이천(서울 성북구)

○ 속리산 달천, 화양천(보은)

○ 월출산 도갑저수지(영암)

○ 주왕산 주산저수지(청송)

○ 지리산 남부 천은저수지(구례)

○ 한려해상 복곡저수지(여수)

제주 ○ 연외천-천지연폭포(서귀포)

Page 26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8 -

라.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

황소개구리는 천적이 거의 없으며 육식성으로 곤충, 절지동물, 갑각류, 어류,

양서류, 소형파충류, 조류, 소형포유류까지 먹이로 한다. 먹이가 부족할 경우

같은 종을 잡아먹기도 한다. 유입된 지역에서는 먹이사슬 교란과 생태계 피해

가 심각하게 나타나므로 황소개구리의 증식 억제와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 방

지 관리가 필요하다.

황소개구리는 전국 전역에 분포하며 하천, 호수나 저수지 등의 정체성 수역,

논·연못과 연계된 산림이나 웅덩이에 주로 분포한다. 모니터링 대상지역 선정

에서는 개체수 산정 및 조사 범위 설정에 어려움이 있는 산과 논을 제외하였

고, 하천, 저수지, 방죽, 연못 등의 지역 유형 중에서 조사유형과 서식밀도, 조

사의 연속성, 확산지역 등을 고려하여 모니터링 조사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표 3-7. 2010년 황소개구리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위치 행정구역 좌표 사유

1 저수지 함동저수지 전남 장성군 삼계면 35°14’N, 126°40’E 조사 유형

2 저수지 왕동저수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동 35°11’N, 126°44’E 서식밀도

3 저수지 평탁저수지 전남 무안군 현경면 양학리 35°0’N, 126°24’E

다수서식으로

지속적

모니터링

요구지역

4 하천월운천과

무심천 합류부충북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36°39’N, 127°28’E 지역

5 웅덩이 문씨방죽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35°3’N, 126°51’E 유형

6 저수지 침교제 전남 고흥군 남양면 침교리 34°44’N, 127°21’E 조사연속성

7 저수지 주상지 경남 산청군 금서면 주상리 35°27’N, 127°47’E 서식밀도

8 저수지 호동저수지 전남 해남군 황산면 34°33’N, 126°26’E 확산지역

9 저수지 신농저수지 전남 해남군 산이면 34°40’N, 126°20’E 확산지역

10 호소 음섬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37°16’N, 126°44’E 조사 유형

11 저수지 석모도 인천 강화군 교동면 36°47’N, 126°15’E 유형

12 저수지 교동도 인천 강화군 교동면 36°47’N, 126°14’E 유형

13 저수지 풍림제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34°59’N, 126°51’E 조사연속성

14 저수지 평척저수지 전남 무안군 망운면 양학리 34°56’N, 126°27’E 조사연속성

15 하천 장평교-평촌교 충북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 36°35’N, 127°29’E 조사연속성

Page 26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49 -

표 3-8. 황소개구리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 역 상세분포지역

경기권○ 강화북부, 석모도, 교동도 일대

○ 시화호 음섬일대

충남권

○ 법산(예산, 청양)

○ 서산시 부석면 강당리(서산)

○ 서산시 고북면

○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태안군 원북면 구례포해수욕장

충북권

○ 부산, 동산(제천, 단양)

○ 옥녀봉 일대에서 청문

○ 보광산, 마이산(음성)

○ 천관산 - 영동군과 옥천군 경계

○ 월운천과 무심천 합류부

전북권

○ 견두봉(남원, 구례)

○ 종산리, 두월리, 백산리, 서포리, 신두리, 구정리(진안, 전주)

○ 금평저수지, 선암저수지, 기지재(전주, 김제)

○ 금마저수지, 왕궁저수지(익산)

전남권

○ 견두봉(남원, 구례)

○ 서성저수지(화순, 곡성)

○ 비봉산, 적대봉, 고흥 동강면 침교리(침교제),

○ 영암 금정면 아천리 아천제

○ 장흥 북교리 북교제

○ 여수, 순천 웅덩이·논, 순천시 동내리 동내저수지, 순천시 동천

○ 나주 풍림리 문씨방죽

○ 옥리산 일대, 호동저수지, 주성산 일대, 신농저수지 (해남)

○ 광주 왕동저수지

○ 장성 함동저수지

○ 쌍계사, 내원사 인근(지리산 동부)

○ 감방산 일대(무안읍 도산마을, 노송마을, 금곡마을, 산 정상)

○ 평탁저수지 일대

무안군 현경면 약학리 모촌마을, 수동마을, 동산리 옥동마을

경북권

○ 인내산, 구미산, 도덕산(영천, 경주)

○ 운장산(경주, 포항)

○ 낙산리, 문양리, 현내리, 심천리, 매원리(칠곡, 달성)

경남권

○ 무안산, 수리봉, 자양산(함안, 창원)

○ 장산, 철마산, 용곡산(울산, 기장)

○ 벽화산 일대(진주)

○ 주상저수지(산청군)

○ 사천시 사천읍 예하리 강주연못

○ 거제

Page 26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0 -

마.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

뉴트리아는 번식력과 확산성이 높고 담수역과 기수역, 해수역의 식물을 모

두 먹이로 하며 식물의 전 부위를 섭식한다. 서식지 인근 경작지의 농작물을

먹으며 서식지 주변 수초대에 피해를 발생시키고 자연보호지 안의 습지를 파

괴하기도 한다. 물 흐름에 따라 이동하므로 사육되는 뉴트리아의 탈출이 야기

될 수 있으며 홍수와 범람으로 인한 자연 유입 등 확산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산지를 제외한 전국에서 서식이 가능하다. 물이 잔잔

하고 수초가 우거진 정체수역을 선호하며 서식처는 제방 안쪽으로 긴 굴을 뚫

고 무리를 이루며 생활한다. 자연생태계에서 확인된 뉴트리아 정착지는 경남

지방의 낙동강 수계에 집중되어 있다.

조사 대상지의 선정은 피해 발생 지역과 확산지역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서식처 및 활동이 확인된 지역

을 대상으로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뉴트리아 모니터링 지역은 보호습지, 주

요 출현지, 피해지역, 조사지 유형 등을 고려하여 경남권 일대 10개 지역을 선

정하였다.

표 3-9. 2010년 뉴트리아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위치 행정구역 좌표 사유

1 보전지역 우포늪 경남 창녕군 유어면 35° 32’N, 128° 25’E 보호습지

2 하천 함안천 경남 함안군 법수면 윤내리 35° 18’N, 128° 24’E 주요 출현지

3 하천 옥열천 경남 함안군 대산면 35° 18’N, 128° 23’E 주요 출현지

4 보전지역 대평습지 경남 함안군 법수면 대송리 35° 18’N, 128° 21’E 보호습지

5 하천 양산천 경남 양산시 하북면 35° 28’N, 129° 4’E 피해지역

6 하천 남강댐상류 경남 진주시 판문동 35° 9’N, 128° 1’E 주요 출현지

7 보전지역 달성습지달서구 호림동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35° 44’N, 128° 29’E 보호습지

8 하천 삼랑진읍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35° 23’N, 128° 50’E 피해지역

9 저수지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시 동읍 35° 18’N, 128° 40’E 주요 출현지

10 하구 염막둔치 경남 진주시 대평면 35° 12’N, 127° 57’E 조사 유형

* 자체 예비조사를 수행하여 조사 대상지를 선정 하였으므로 (2)전국분포지(조사후보지) 생략

Page 27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1 -

2.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모니터링

조사지역의 선정은 문헌자료(논문, 보고서, 보도자료, 인터넷 등)와 현지 조

사 자료를 토대로, 서식처가 명백히 구별되는 지역과 우점식물이 잘 출현하는

입지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 조사 횟수는 연간 개화기와 결실기를 기준으

로 2회 실시하며, 관리 필요성에 따라 상시적으로 추가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

다. 조사항목은 입지의 좌표, 분포 유형(점, 선, 면), 서식처 유형(산지, 하천변,

경작지, 휴경작지, 도로변, 시가지, 기타), 행정구역명, 분포면적 및 규모를 기

재한다. 분포 유형 구분은 점형인 과거(2010년 이전) 방식과 달리 선형, 면형

을 추가하여 분포 지역에서의 유형에 따라 조사 방식을 융통성 있게 적용할

계획이다. 입지구분은 포괄 유형(산지, 하천변, 경작지, 휴경작지, 도로변, 시가

지, 기타)을 확인한 후, 세부 유형을 기록{예: 포괄 유형(하천) → 세부 유형(제

방하부 수변부 일대)} 한다. 조사지역의 사진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식입지

사진과 개체사진을 기록하고 사진일련번호를 기재한다. 그 외에 특기사항이

있을 때, 구체적인 예시항목을 부여한다(예: 1.많이 보이는 종, 2. 서식처 교란

실태, 3. 관리현황, 4. 기타). 각 종별 모니터링 조사지역 및 전국 분포지역은

다음과 같다.

Page 27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2 -

그림 3-2.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7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3 -

가.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생 초본으로 거의 전국적으로 빛의 양이 많은

양지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돼지풀은 국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크게 도로변,

길가, 목초지, 나지와 하천변 그리고 항만 주변으로 구별된다. 이 가운데 가장 많

은 분포를 나타내는 지역은 도로변을 대표지역으로 하는 나지이며 하천변과 항

만 주변에도 넓은 터가 확보된 지역에는 쉽게 정착하는 것을 알 수 있다(국립환

경과학원 2007).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

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길가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38°07′55.8″N, 128°00′00.8″E 100기존

모니터링지역

2 길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38°11′47.5″N,, 127°20′22.5″E 100기존

모니터링지역

3 경작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37°35′18.9″N,, 126°31′32.7″E 500주요

분포지역

4 목장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35°26′33.6″N, 126°33′03.6″E기존

모니터링지역

5 하천변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35°50′26.2″N, 127°06′28.5″E기존

모니터링지역

6 목장 제주 이시돌목장 33°20′24.0″N, 126°19′50.3″E주요

분포지역

7 길가 연천군 신서면 도신5리 38°09′29.1″N, 127°07′47.5″E기존

모니터링지역

8 하천 제천 하소천 -주요

분포지역

9 습지 낙동강 달성습지 - 보호습지

10 국립공원 경주국립공원 - 보전지역

표 3-10. 2010년 돼지풀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7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4 -

그림 3-3. 돼지풀 선형조사지역 예시도

Page 27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5 -

표 3-11. 돼지풀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서울 ○ 전체

경기

○ 고양

오금동-중소기업은행 수련장 인근 벽제교 일대

대자동에서 향고골 방향 도로변

사리현동에서 현달산 방면 도로변

원당천변 논 밀집지역 부근

식사동 방아고래 인근 도로변

산황동-도촌천 하천제방

내곡동-곡산역에서 대내역 방면 도로변 논주변

능곡동-논 밀집지역 도로변

○ 의정부

자일동-43번 국도변

민락동-축석고개 방면 도로변, 공한지

장암동-하촌 도로변, 용현리 방면 도로변

산곡동-43번 국도에서 청학리 방면 도로변

낙양동-도로변 논과 인접한 도로

○ 파주

적성면- 무건리 323번지 지방도변 설마리 인접

법원읍- 오현리 350번 도로변

삼방리 33번 도로에서 자웅산 방면 소로

법원읍- 애룡저수지 도로변

광탄면- 창만 3,4리 368번 지방도로변

신산5리 소로도로변

영장리 보광천 인근 도로변

조리면- 등원 1,2리 도로변

월릉면- 도내 3,4리 도로변

영태 3리 소로변, 영태 2리 철로 인근 도로변

덕은 4리에서 월릉면 사무소 도로변

검산동- 21번 도로변

탄현면- 금산리 탄현지방산업단지 앞 310번 도로변

금산3리 대지천 옆 도로변

교하면 당하리 310번 지방도로변

Page 27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6 -

지역 상세분포지역

경기

○ 구리

한강수계-아천동 일대

○ 양주

장흥면-삼상리 수희교 상포교 일대 도로변 (2등급)

장포교에서 신흥유원지 방면 도로변 (2등급)

양주읍-남방리 86번 도로변 (1등급)

○ 동두천

소요동에서 소요산방향 도로변 (1등급)

길산동-탐개울 돌변 (2등급)

탑동-탑동초교 지나 포천방향 334번 지방도 도로변(2등급)

조산에서 탑골방향 347번 지방도 도로변 (2등급)

상패동 새말입구 도로변 (1등급)

○ 포천

관인면-삼율리 담터 방향 도로변

영북면-자일 3리 수복기념관 37번 지방도변

창수면-운산리 수도사업소 인근 37번 지방도변

가양1리 국도변

영중면-금주오리 37번 군도변

신북면-고일2리 325번 지방도 창수면 경계

신평2리 신평3리 도로변

기지1리 들못이 도로변

물어골 약수터에서 포천동 방면

포천동-포천읍내 주변 도로변

설운2리-334번 지방도에서 1번 군도입구 도로변

가산면-마전1리 325번 지방도변

군내면-유교리 325번 도로에서 56번도로 연결 군도 도로변

직두 1,2리 56번 도로변

화현면-명덕 3리 22번 국도 굴고개 도로변-명덕 1리

화현초교 앞 19번 군도변

지현리 비선동 37번 국도변

화현 2,6리 37번 국도변

내촌면-신팔1리 소학2리 47번 국도변

진목1리 325번지 지방도변

일동면-길명3리-기산5리 37번 국도변

기산1리 샘발 37번 국도변

유동1리-길명3리 연결도로와 37번 국도변

소흘읍-축석검문소 이곡리 86번 도로변

Page 27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7 -

지역 상세분포지역

경기

○ 연천

신서면-마진리 갈대골지나 다리건너 도로변

대광리 담동리 일대 도로변

마전리 검정말 일대 도로변

마전리 조밭골에서 검정말방향 다리 지나 도로변

마전리 선벽-호막리 방향 도로변

대광리 현촌방향 도로변

답곡리 마거리 326번 도로변

중면-신곡리 324번 지방도 도로변

장남면-원당리 진압 방면 322번 도로변

○ 남양주

와부읍-조안면 송촌리 45번 국도 도로변

수동면-운수리 320번 지방도 도로변

송천리 98번 국지도 도로변

수산리 363번 도로변과 구운천변

진건읍-신월리 86번 국지도 도로변

강원

○ 삼척(산불지역)

○ 고성(산불지역)

○ 강릉(산불지역, 소금강)

○ 동해(산불지역)

○ 화천, 춘천, 홍천, 양구, 인제, 속초

○ 오대산(평창, 강릉), 중봉산(삼척), 덕항산(태백), 설악산

(양양, 인제, 속초)

○ 태백(공설운동장 앞, 국도변)

○ 철원

○ 원주

충남 ◦서산, 천안, 대전, 가야산(서산), 아산

충북

○ 제천/단양

동산(충북 제천시 금성면 단양군 적성면)

월악산(제천), 청주, 영동

Page 27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8 -

지역 상세분포지역

전북 ○ 전주, 김제, 군산(항구), 익산, 정읍 외 4곳

전남 ○ 광주, 나주, 신안, 목포, 영암, 완도, 영광, 순천, 태청산(장성), 광양

경북

○ 영천

도덕산, 인내산, 구미산

○ 경주

남산지구 포석정에서 통일전에 이르는 구간

○ 기타

울진(산불지역) 외 13곳

경남

○ 함안/창원

자양산 대천소류지 인근(많은 개체 서식)

○ 울산/기장

철마산, 장산

○ 진주

망룡산(의령군과 진주시의 경계)

○ 기타

통영, 북병산(거제), 진해, 부산 금정산 외 21곳

제주 ○ 제주도

기타 ○ 울릉도, 독도지역

Page 27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59 -

나.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생 초본으로 일반적으로 돼지풀에 비

해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며, 우리나라에는 주로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단풍잎돼지풀은 주로 경기도 북부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분포

지역 유형을 구분하면 도로변, 길가, 목초지, 나지와 하천변 및 논 주변의 도

로변으로 구분되지만, 일반적으로 하천변에서도 생육이 활발한 편이다(국립환

경과학원 2007).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표 3-12. 2010년 단풍잎돼지풀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길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38°16′57.2″N, 127°21′38.9″E 5,000기존

모니터링지역

2 길가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38°08′24.4″N, 127°41′45.4″E 9,500 주요 분포지

3 강변 경기도 고양시 신원동 37°40′13.8″N, 26°53′03.2″E 300기존

모니터링지역

4 강변 부산 강서구 대저1동 35°12′17.1″N, 28°59′02.9″E 1,800기존

모니터링지역

5 도로변 파주시 법원읍 37°54′16.9″N, 126°54′37.3″E기존

모니터링지역

6 하천변 청원 무심천 36°33′02.6″N, 127°32′36.2″E 주요 분포지

7 도로변 마산시 교동리 35°07′29.6″N, 128°30′08.4″E 주요 분포지

8 도로변 대전 동구 원동 36°19′36.7″N, 127°26′15.7″E 주요 분포지

9 도로변 연천군 78번 도로 38°04′13.4″N,127°08′07.8″E 300,000 주요 분포지

10 하천변 김해시 상동면 매리 35°18′32.9″N, 128°58′18.5″E 주요 분포지

11 하천변 제천시 영천동 장평천 37°07’31.09"N, 128°10’ 33.1"E 주요 분포지

12 하천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37°20’18.08"N, 127°11’ 53.00"E 주요 분포지

13 도로변 경남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35°20′34.1″N, 128°58′49.6″E 주요 분포지

14 도로변 충남 연기군 서면 봉암리 36°53′45.7″N, 127°17′09.6″E 주요 분포지

15 하천변 경기도 동두천시 송내동 37°53′48.6″N, 127°02′51.6″E 80,000 주요 분포지

Page 27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0 -

그림 3-4. 단풍잎돼지풀 선형(하천변) 및 면형(하천변)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8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1 -

표 3-13. 단풍잎돼지풀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경기

○ 고양

곡릉천-(선유동-내유동), 하천, 사면과 도로변

창릉천-(지축동-현천동), 하천, 하천사면과 도로변

고봉로-(성석동, 설문동)

내유동-1번 도로변 논으로 내려가는 사면

관산동-1번 도로변 논으로 내려가는 사면

지영동-논과 인접한 도로변(우기촌방향)

조리면과 경계면 논과 인접한 도로변

설문동에서 파주 대능리 방향 논과 인접한 도로변

설문동-307번 도로 논과 인접한 도로변

성석동과 석문동 경계도로변

성석동-고봉산 입구에서 논과 인접한 부근

백마아파트 지나 고봉산 방면 도로변(소개울)

탄현동-307번 도로 도로변 논과 인접

황룡산 약수터

내곡동-곡산역에서 대내역 방면 도로변 논주변

능곡동-한국수자원공사에서 상대장 방면 도로변(공한지)

행주외동-행주산성부근 도로변

행주내동-북로분기점에서 가양대교 방면 한강변

덕은동-가양인터체인지 부근 한강변

효자동과 양주 장흥면 경계부근 도로변

효자동-사기막골 다리지나 장흥방면 도로변

효자비에서 사기막골 방향 도로변

신도동-숫돌고개방면 사거리

오금동-중촌에서 하천방향 349번 도로변

대자동-관상동에서 대자동 향고골 방향 도로변

벽제동-서울시공동묘지방향 도로변

○ 의정부

자일동-금곡교 부근 인근 하천과 밭 사면

축석고개 인근 도로변

민락동에서 축석고개 방향 도로 옆 소하천변

산곡동-43번 국도 도로변

송산동-송산교도소 입구 주변

장암동-하촌 도로변(석림사방향)

하촌에서 상촌방향 도로변

중랑천변 (의정부1동, 장암동), 동두천방향 하천도로

백석천변 (가능2동, 가능3동)

Page 28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2 -

지역 상세분포지역

경기

○ 파주

문산읍-이천1리 도로변, 장산4리 통일대교 방면 도로변, 임진리 1-1,

파주읍-파주6리 하천변, 파주1리, 파주4리, 부곡1리 56번 도로변 논 사이,

백석리 문산천 하천일대, 백석3리 (교회부근), 백석4리 논과 인접한 도로변

봉암1리 봉암 2리 하천, 봉서3리 동문천변, 법원읍-갈곡리 법원도서관 방면 도로

변, 오현2리, 직천1리 지방도 도로변, 직천2리 350번 지방도 도로변, 동문1,2리),

가야1,2리, 교하읍-와동리 와동초교 부근, 다윤리, 야당리 63, 동패1리 일산공원묘

지 가는 1번 도로 도로변, 조리읍-동원리, 봉일천2리 농협하나로마트 지나 86번 도

로변, 원롱면-영태5리 도로변, 탄현면-축현1리, 금승리 만우천 하천 일대, 오금리 마

을회관, 오금2리 마을 앞, 금산2리 용수로, 만우리 한마당가든, 적성면-마지리, 두지

리, 식현리, 무건리, 설마리, 적암리, 어유지리, 장현리, 율포리, 객현리, 구읍리,

파평면-두포리, 마신리, 율곡리, 금파리, 늘노리, 장파리, 군내면, 조리면

○ 구리

한강수계(아천동-토평 IC)

사노동-43번 국도 도로변

퇴계원면-퇴계원리 갈매천 일대

퇴계원리 왕숙천 인근 도로변

덕송리 43번 국도변

○ 포천

포천동, 선단동, 설운2,3리, 동교리,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창수

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관인면, 화현면 등 다수서식

○ 양주

광적면, 남면, 백석읍, 양주읍, 은현면, 장흥면, 회천읍 등 다수서식

○ 동두천

용현동, 상봉암동, 소요동, 안흥동, 상패동, 지행동, 광양동, 탑동, 송천교-선업교,

선업교-신천교, 신천교-상패교, 소요교-하봉암교, 하봉암교-승전교, 소요산역-한일주

유소, 한일주유소-제일주유소, 제일주유소-상수도사업소, 불현동, 장림, 왕방리 등 다

수서식

○가평

가평읍, 설악면, 외서면, 상면 등 다수서식

○ 연천

연천읍, 전곡읍, 군남면, 청산면, 백학면, 미산면, 왕징면, 신서면, 중면, 장남면 등

다수서식

○ 남양주

화도읍, 진건읍, 도농동, 와부읍 등 다수서식

○ 기타

여주, 양평-삼각산

용인, 화성-여계산(경기도 오산시 금암동)

포천, 가평-포천, 동두천소권역, 종현산, 수원산

광주, 양평-무갑산

경기남북부지역-의정부, 파주, 김포, 인천, 안양, 안성

광덕산

Page 28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3 -

지역 상세분포지역

강원 ○ 철원, 고성, 춘천, 인제, 홍천, 강릉, 화천

충남 ○ 연기, 대전(대전, 통영 고속도로 경계지점 도로변)

충북

○ 제천/단양

부산(山)(충북 제천시 청풍면, 충주시 동량면-귀화식물 종류가 많음)

○ 기타

보은, 옥천

전북 ○ 전주

경남○ 울산/기장

철마산, 양산, 마산(도로변), 부산, 진주

Page 28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4 -

다.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서양등골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초로 서울, 경기 일대의 숲과 공원

의 그늘진 곳, 지하철 역 근처의 반음지에서 잘 자란다. 서양등골나물은 주로

공원과 야산 및 숲 주변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중앙 도심 내에서 지하철 역 주

변의 산지에서도 흔히 보인다. 또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일대의 대학 내 뒷

산에서도 분포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국립환경과학원 2007).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

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표 3-14. 2010 서양등골나물 모니터링 선정지역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하천변 서울 마포구 평화의공원 37°33′49.5″N, 126°53′49.8″E 1,500기존

모니터링 지역

2 산지서울 중구 회현동 1가

남산37°32′52.1″N, 126°59′34.8″E 50,000

기존

모니터링 지역

3 산지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

성리37°28′16.2″N, 127°10′59.2″E 30,000

기존

모니터링 지역

4 산지 부천 원미산 주요 분포지

5 하천변 경기도 광주시 경안천 주요 분포지

Page 28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5 -

그림 3-5. 서양등골나물 면형(산지)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8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6 -

표 3-15. 서양등골나물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서울

○ 서울시

세종로, 독립문역, 종묘, 창덕궁, 남산, 올림픽공원, 건국대,

종합운동장, 도봉산, 창경궁, 현충묘지, 하늘공원, 강남구 근린

공원, 청담공원, 청계천, 북한산

경기

○ 안산

○ 의왕

덕성초교 인근 도로변

○ 광주

남한산성

○ 하남(미사리 일대-덕풍동)

○ 성남

백국역

○ 부천

원미산

○ 고양(소수개체)

Page 28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7 -

라. 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도깨비가지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가지과 다년생초본으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 생육하는 도깨비가지의 분포유형은 크게 목초지, 밭 및 과수원과

도로변 등으로 구별되며, 주로 목초지에서 자라나 나지 형태의 지역이 확보된

다면 어느 지역에서나 잘 생육하는 것을 알 수 있다(국립환경과학원 2004, 국

립환경과학원 2007).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

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도로변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35°10′19.0″N,127°08′06.9″E 7,500주요

분포지

2 목장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37°13′40.6″N,126°56′55.0″E 500주요

분포지

3 산지 마산시 봉화산 35°13′22.7″N,128°32′59.5″E 200주요

분포지

4 공원 고양시 성저공원 37°40′47.8″N,126°45′29.3″E 1,000주요

분포지

5 도로변 대전 유성구 구성동 36°22′09.6″N,127°21′29.8″E 200주요

분포지

6 도로변 고창군 성내면 35°32′44.2″N,126°44′16.6″E 500주요

분포지

7 목장 영암군 금정면 서광목장 34°48′51.4″N,126°45′34.5″E 40,000주요

분포지

8 목장 서산목장 36°45′26.8″N,126°33′57.1″E 50,000주요

분포지

9 목장 제주시 한림읍 이시돌목장 33°20′24.0″N,126°19′50.3″E 600주요

분포지

10 도로변 거제시 연초면 34°55′00.0″N,128°39′32.3″E 200주요

분포지

표 3-16. 2010 도깨비가지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8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8 -

그림 3-6. 도깨비가지 선형(하천변) 및 면형(하천변)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8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69 -

표 3-17. 도깨비가지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경기

○ 안산

○ 고양: 성저공원

○ 화성: 해동목장

○ 인천: 대청도

○ 수원: 호매실동

충남

○ 서산

서산목장

○ 대전

○ 논산

전북

○ 익산(안성면 사과과수원)

○ 군산(목장)

○ 무주

○ 전주

○ 장수

전남

○ 광주

시내

고속도로주변

○ 영암

서광목장

○ 광양

경북 ○ 포항

경남

○ 밀양

○ 김해(불모산)

○ 거제

○ 울산

다운동 개천(다전교)

문수공원

○ 창녕

창녕교육청 뒤 공터

○ 마산

○ 창원

○ 양산: 다방리 경부고속도로 인근 농원근처

○ 부산

제주 ○ 목장: 이시돌목장, 제동목장, 정물오름

Page 28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0 -

마.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정수성 수생식물인 털물참새피는 열대아시아와 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 벼

과식물로서 제주도를 포함한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국내에 자라는 털물

참새피의 분포지역 유형을 구분하면 크게 습지 및 하천변과 간척지로 구별되

었다(국립환경과학원 2007). 털물참새피는 하천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는

데, 홍수의 수위에 따라 분포하는 변동폭이 좌우되기도 한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

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하천변 서산시 음암면 음암저수지 35°47′25.7″N,, 126°31′54.4″E 4 주요 분포지

2 하천변 정읍시 소성면 주동저수지 35°34′22.1″N,126°48′19.1″E 50 주요 분포지

3 하천변 진주 남강 35°09′42.2″N,128°07′04.1″E 300 주요 분포지

4 하천변 부산 낙동강 35°08′58.3″N,128°58′17.1″E 주요 분포지

5 하천변 해남군 화원면 개초저수지 34°38′33.6″N, 126°19′03.4″E기존

모니터링지역

6 하천변 제주시 내도동 도근천 33°29′19.5″N, 126°26′38.2″E기존

모니터링지역

7 하천변 나주시 산포면 산제제 35°01′18.5″N, 126°49′30.2″E기존

모니터링지역

8 하천변 무안 남양제 34°50′38.0″N,126°25′43.7″E 주요 분포지

9 하천변 김해 운하교 35°14′02.5″N,128°59′07.3″E 주요 분포지

10 하천변 고성 고성천 34°59′34.3″N,128°21′06.4″E 주요 분포지

표 3-18. 2010 털물참새피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9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1 -

그림 3-7. 털물참새피 면형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9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2 -

표 3-19. 털물참새피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전북 ○ 군산(비행장 주변), 전주시내의 전주천 고수부지, 익산

전남○ 나주, 목포 삼학도, 여수 돌산도, 무안, 순천, 해남, 광주, 강

진, 구례, 광양

경북 ○ 대구

경남 ○ 부산, 우포늪

제주

○ 제주시

도근천, 이호동 현사마을(주변 습지), 이호해수욕장,

○ 북제주군

수산저수지, 한림읍(옹포리-대군락, 귀덕리), 하도리(구좌읍),

종달리, 한경면 용수리

○ 남제주군

사계리(안덕면)

기타 한반도 서남해안 간척지(대 군락 형성)

Page 29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3 -

바.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물참새피는 열대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 벼과 수생식물로서 제주도를 비롯

한 남부지방의 습지와 논에 털물참새피보다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물참새피는

주로 수변에서 자라지만 수변 근처 육지의 토양 표면에서 포복하여 자라기도

한다(국립환경과학원 2007).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2007년-2009년)의 모니터링 지역에, 조사 자료를 바탕

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

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하천변 전남 고흥군 도양읍봉암리 34°31′51.8″N,, 127°08′27.1″E 2,000기존

모니터링지역

2 하천변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33°18′58.5″N, 126°11′01.2″E 10,000기존

모니터링지역

3 하천변 통영 원평소류지 34°52′51.7″N,128°27′16.5″E 주요 분포지

4 하천변 거제 효촌교 35°54′30.2″N,128°39′22.9″E 주요 분포지

5 하천변 제주 안덕면 사계리 주요 분포지

표 3-20. 물참새피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9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4 -

그림 3-8. 물참새피 면형 및 선형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9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5 -

표 21. 물참새피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전북 ○ 전북지역

전남

○ 해남

○ 고흥

○ 영광

○ 목포

경남 ○ 진해

제주

○ 제주

이호동, 이호해수욕장

○ 북제주군

애월읍 수산리 수산저수지

한림읍 옹포리 군락

한림읍 귀덕리

하도리(구좌읍)

종달리

한경면 용수리

○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기타 한반도 남해안 지역

Page 29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6 -

사. 가시박 Sicyos angulatus

가시박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일년생 덩굴식물로서 주변을 덮으면서 생육한

다. 개체당 수천 개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에 가시가 많다. 멀리서 보면 칡과

같은 모습으로 생육하여 주변식생을 파괴하고 토착식물의 생육을 저해할 우려

가 있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하천변 대구달서구월성동달성습지 35°49′27.51″N,128°29′4.36″E 475,340 보전지역

2 하천변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36°33′42″N, 128°41′33″E 200,000 주요 분포지

3 하천변 춘천 중도 하중도 37°49′4.4″N, 27°32′13.9″E 6,000 주요 분포지

4 하천변 한탄강-신천 합류부 관리필요지역

5 하천변 낙동강 하구 주요 분포지

6 하천변 서울시 밤섬 37° 32' 14" N, 126° 55' 42" E 90,000 관리필요지역

7 하천변 한강공원 잠원지구 37° 31' 42" N, 126° 55' 37" E 10,000 관리중점지역

8 하천변 충주 36°59′08″N, 127°53′57″E 30,000 주요 분포지

9 하천변 전주 덕진구 송천동 35° 51' 59" N, 126° 07' 19" E 300 주요 분포지

10 도로변 양평군 37°32′1.9″N, 27°20′25.1″E 10,000 주요 분포지

11 도로변 수원시 37°17′23.3″N,126°57′37.1″E 10,000 주요 분포지

12 하천변 원주시 섬강 36° 12' 35" N, 128° 21' 04" E 100,000 주요 분포지

13 목장 서산 36° 52' 36" N, 126° 51' 48" E 3,000 주요 분포지

14 도로변 인천 37° 32' 58" N, 126° 40' 23" E 8,000 주요 분포지

15 철로변 구리 37° 36' 25" N, 126° 11' 23" E 30,000 주요 분포지

표 3-22. 2010 가시박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9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7 -

그림 3-9. 가시박 면형 및 선형 조사지역 예시도

Page 29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8 -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서울

○ 서울

밤섬 37° 32' 14" N 126° 55' 42" E

○ 올림픽공원 37° 31' 04" N 127° 07' 34" E

○ 여의도 37° 31' 42" N 126° 55' 37" E

○ 강서습지 37° 35' 29" N 126° 48' 23" E

90,000

4,000

10,000

50,000

인천 ○ 인천 37° 32' 58" N 126° 40' 23" E 8,000

울산 ○ 울산 35° 33' 47" N 126° 11' 39" E 400

경기

○ 포천 37° 55' 22" N 127° 13' 14" E 100

○ 강화 37° 41' 58" N 126° 27' 07" E 500

○ 안양 37° 24' 52" N 126° 53' 45" E 25,000

○ 구리 37° 36' 25" N 126° 11' 23" E 30,000

강원

○ 춘천

중도 37° 53' 17" N 127° 42' 22" E

춘천 37° 51' 01" N 126° 40' 32" E

500,000

40,000

○ 강릉 37° 47' 05" N 126° 55' 05" E 1,000

○ 원주(섬강) 36° 12' 35" N 128° 21' 04" E 100,000

○ 안동 36° 33' 42" N 126° 41' 33" E 200,000

○ 속초 38° 11' 18" N 128° 35' 43" E 1,000

충북○ 충주 36° 59' 08" N 126° 53' 57" E 300,000

○ 청주 36° 32' 59" N 126° 30' 15" E 100

충남 ○ 서산 36° 52' 36" N 126° 51' 48" E 3,000

전북 ○ 전주 35° 51' 59" N 126° 07' 19" E 300

전남 ○ 나주 35° 09' 12" N 126° 48' 34" E 2,500

경남 ○ 구미 37° 17' 09" N 127° 48' 27" E 100

표 3-23. 가시박 주요 분포지역 현황

Page 29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79 -

아. 서양금혼초 Hypochoeris radicata

서양금혼초는 유럽 원산의 유럽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침입지역을 덮어나

가며 생육하는데, 개체당 최고 만개 정도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로 번식한다.

서양금혼초의 군락지는 봄에 노란 꽃으로 뒤덮일 정도로 밀생하여, 목초지와

초지에 침입하면 해당 지역의 토착식생을 크게 위축시킨다. 목초지와 농경지

에서는 잡초로 축산과 농업생산성을 저해하고, 억새군락 주변부에서도 침입해

들어가며 확산하여 침입지역의 식생을 훼손하기도 한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길가 제주도 전역 도로변 일대 - 5,000주요

분포지

2 습지 전북 부안군 변산면격포리 35°36′25″N, 126°28′17″E 100주요

분포지

3 목장 전남 영암읍 34°48′13″N, 126°42′12″E 2,500주요

분포지

4자연

보전지역

충남 서산시 태안면 안

면읍 승언리 안면도36°30′38″N, 126°21′11″E 800

주요

분포지

5자연

보전지역

전북 무주군 설천변 덕

유산국립공원33°14′57″N, 126°37′29″E 400

주요

분포지

표 3-24. 2010 서양금혼초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29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0 -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충남○ 서산

안면도 자연휴양림 내 조경지역

40m×40m

40m×20m

제주도

○ 제주도 전역

한라수목원 산책로변

산굼부리 관광지 조경지역

10m×10m

2m×5m

전북

○ 부안

변산반도 국립공원 격포리 닭이봉10m×10m

○ 무주

덕유산국립공원 무주리조트 도로변, 나지 및 슬로프

10m×3m

20m×20m

전남○ 영암

서광이목장 내 목초지50m×50m

표 3-25. 서양금혼초 주요 분포지역 현황

Page 30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1 -

자.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수변부와 도로와 공지

등을 덮어 자란다. 개체당 삼사 만개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와 뿌리로 번식한

다. 미국쑥부쟁이의 군락지는 9~10월에 하얗게 꽃으로 덮일 정도로 밀생하며

수변생태계에서 확산되어 토착식생을 급속하게 퇴조시키다. 도로변과 산지부

에 침입하면서 국립공원 등으로 확산되어 식생을 교란하기도 하며, 억새와 쑥

군락내로도 침입하여 확산된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길가 서울강서구개화동강서습지 37° 35’ 24.96"N,, 126° 48’ 50.74"E 주요 분포지

2 하천변 전북 남원시 주천면 35° 21’ 49.78"N,, 127° 31’ 19.36"E 주요 분포지

3 경작지 춘천시 서면 중도동 하중도 37° 53’ 07.01"N,, 127° 41’ 50.73"E 주요 분포지

4 길가 연천군 전곡읍 신답리 37° 03’ 23.4"N,, 127° 06’ 31.6"E 주요 분포지

5 하천변 고양시 곡릉천 37° 45’ 39.7"N,, 126° 42’ 21.6"E 주요 분포지

6 공원 서울 노을공원 33° 16’ 34.5"N,, 126° 44’ 40.8"E 주요 분포지

7 하천변서울 강남구 대치동

양재천주요 분포지

8 하천변 포천시 영중면 영평천 37°59’41.77"N, 127°14’ 20.34"E 주요 분포지

9 산지 계룡산 국립공원 36°22’10.43"N, 127°10’ 58.75"E 주요 분포지

10 도로변 거창 도로변 주요 분포지

표 3-26. 2010년 미국쑥부쟁이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30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2 -

표 3-27. 미국쑥부쟁이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서울

○ 서울

중랑천

탄천

양재천

노을공원

올림픽공원

63빌딩 앞 도로변 절개사면

올림픽대로변

강서구 개화동 전호리 철새도래지

1km×5m

2km×5m

2km×5m

1.5km×1km

1km×3m

40m×40m

5km×3m

1km×3m

강원

○ 춘천

하중도3km×800m

○ 속초

청초호500m×3m

○ 속초

설악산 공원진입도로1m×3m

○ 원주

치악산 국립공원 내 드림랜드 내 교란지역150m×60m

경기

○ 파주:

곡릉천

문산천

동문천

자유로변

4km×5m

1.5km×5m

1km×5m

10km×3m

○ 포천

포천천, 영평쳔, 산정호수1.5km×5m

○ 남양주

축령산 자연휴양림 주변 나지 50m×50m

○ 구리

46번 국도변8km×3m

충북

○ 연기군

도로변 나지300m×200m

○ 괴산

속리산 국립공원 쌍곡폭포20m×20m

충남

○ 반포면

계룡산 국립공원 동학사 주변 및 인근 교란지역50m×10m

○ 계룡면

계룡산 국립공원 갑사 주변 및 인근 교란지역30m×30m

전북

○ 부안

고서항변 나지10m×10m

○ 남원

지리산 국립공원 정령치 휴게소20m×20m

Page 30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3 -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전북○ 부안

○ 정읍

5㎞×20m

50m×10m

전남

○ 해남

○ 강진

○ 순천

8㎞×20m

100m×5m

30m×10m

차.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양미역취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침입 지역을 덮어나가며 생

육한다. 개체당 만개 정도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와 뿌리로 퍼져나간다. 양미역

취의 군락지는 9~10월에 노란 꽃으로 덮이며 수변부에 크게 밀생하여 토착식

생을 위축시킨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 길가 전라북도 부안 35° 45′ 01″N, 126° 43′ 33″E 주요 분포지

2 강변 전라북도 정읍 35° 34′ 51″N, 126° 50′ 54″E 주요 분포지

3 강변 전라남도 해남 34° 35′ 10″N, 126° 35′ 55″E 주요 분포지

4 길가 전라남도 강진 34° 39′ 56″N, 126° 47′ 45″E 주요 분포지

5 길가 전라남도 순천 34° 56′ 42″N, 127° 30′ 11″E 주요 분포지

표 3-28. 2010년 양미역취 모니터링 선정지역

표 3-29. 양미역취 주요 분포지역 현황

Page 30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4 -

카.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은 유럽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침입지역을 덮어나가며 생육하고,

개체당 최고 만개 정도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와 뿌리로 번식한다. 애기수영의

군락지는 여름철에 붉은 융단을 깔아놓은 형태로 자라며 목초지와 주변 초지

를 덮을 정도로 생육한다. 주로 목초지와 초지에 침입하고 해당 지역의 토착

식생을 크게 위축시키며, 목초지와 농경지에서는 잡초로 축산과 농업생산성을

저해시킨다.

모니터링 지역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연속성과

우점도, 그리고 교란 우려가 높은 지역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유형 행정구역 좌표면적

(㎡)사유

1목장 제주시 해안동 1117번 도로 33°25′25″N, 126°28′02″E 주요 분포지

2목장 충청남도서산시운산면원벌리 36°46′36″N, 126°33′22″E 주요 분포지

3목장 전라남도 영암읍서광이목장 34°48′00″N, 126°42′06″E 주요 분포지

4목장 강원도 세화목장 38°13′14″N, 128°29′45″E 주요 분포지

5하천 울진군 불영천 33°20′27″N, 126°19′43″E 주요 분포지

6목장 제주도 표선면(제동목장) 33°24′42″N, 126°42′09″E 주요 분포지

7유원지 치악산국립공원내 드림랜드 37°09′51″N, 128°03′48″E 국립공원

8유원지 덕유산국립공원 무주리조트 33°14′57″N, 126°37′29″E 국립공원

9도로변 양양군 가평리 도로변 38°05′47.2″N, 128° 39′15.6″E 주요 분포지

10공원 울산생태공원 33°24′39″N, 126°27′45″E 주요 분포지

표 3-30. 2010 애기수영 모니터링 선정지역

Page 30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5 -

표 3-31. 애기수영의 주요 분포지역 현황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인천

○ 옹진군백령도

대청도

100m×50m

5m×5m

울산 울산생태공원 인접 논경작지 변 20m×5m

강원

○ 고성군 신평리

새화목장 내 목초지 분포

설악목장 내 소사육장 건물 뒤 나지

○ 고성군 인흥리

일출냉장 앞 도로변

500×200m

50×20m

20m×3m

○ 평창

축산기술원 목장내 목초지

삼양목장 내 목초지

500×500m

〈1 ㎢

○ 속초

56번 국가지원지방도변1km×3m

○ 양양군

전진리 7번 국도변

상문리 도로변

여운포리 도로변

가평리 도로변

5m×5m

10m×3m

10m×3m

2km×3m

○ 평창

삼한분교앞 도로변50m×10m

○ 속초

학평저수지 주변 나지10m×10m

○ 평창

횡계초등학교 주변 나지10m×10m

○ 인제설악산 국립공원 내 취락지구 및 매표소 주변

산재

○ 원주치악산 국립공원 내 드림랜드

150m×60m

Page 30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6 -

지역 상세분포지역 비고

경북

○ 경주목장 목초지와 도로 인접지역 30×10m

○ 울진

불영천변 제방

수곡리 마을내 논둑

200m×5m

50m×3m

○ 청송

월매리 마을내 논 경작지변, 주변 무덤가 분포10m×7m

경남 ○ 덕유산 국립공원 인접 에덴목장 내 목초지 500×500m

충북 ○ 소백산 관광목장내 목초지 및 건물 주변 5×5m

충남○ 서산

가축계량사업소 내 목초지500×300m

전북

○ 남원

가축유전자 시험장 내 목초지

○ 군산

옥곡리 주변 논경작지

500×300m

10m×5m

○ 남원

지리산 국립공원 내 정령치 휴게소10m×10m

○ 정읍

내장산 국립공원 조경식재지 잔디밭 내20m×10m

○ 무주

덕유산 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10m×10m

전남

○ 영암 서광이목장 내 목초지 100×50m

○ 해남군 조선대목장 내 목초지 20×20m

○ 보성

주릿재 도로변2m×2m

○ 구례군

화엄사 경절내5m×5m

○ 영암

월출산 국립공원 정상부산재

제주

○ 해안동

1117번 제1산록도로변 목초지

○ 내도동

제주시 서해안도로변

표선면 관통 도로변

○ 제주

용당 1동 하천변

남원큰엉해안경승지 잔디밭내 연못 조경지

○ 목장

이시돌목장

제동목장

정물오름

500×500m

5m×5m

3km×7m

50m×10m

5m×3m

Page 30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7 -

Ⅳ. 현장조사표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모니터링 서식은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하나는 지방

환경청과 물환경연구소 혹은 지방자치단체 등의 외래종 업무 담당 관련자나

조사자가 분포양상과 서식지 특성 등을 쉽게 쓸 수 있는 방식이다. 이들이 작

성하는 자료가 전국적인 분포자료의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이들 자료를 정량

화할 수 있게 분포 규모, 분포 장소와 그 특성이 기록되도록 하였다. 사진자료

가 첨부될 수 있으면 첨부할 수 있도록 지침을 주었고 기타 기록될 수 있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육특성과 생태계영향 등에 관한 자료는 일반 조사자가 객관적으로 기술하

기 쉽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정밀 모니터링 서식은 우리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지향하고 서식보다는 현지조사노트의 활용성이 높은 점을 감

안하여 서식에 조사되어야 할 항목을 명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어획 및 포획 조사는 생태계교란종 및 주요 출현종의 어획 및 포획량을 개

체수와 생중량 등의 조사에 적합한 서식을 마련하였다. 현지조사는 학계에서

이루어지는 조사방법을 따르되 조사수역과 지역의 개체군 크기와 변동을 대략

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보완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모니터링에서 어

획과 포획 조사는 물론 생태계교란동물과 식물을 포함하여 지자체 등의 생태

계교란종 관리에 부수되어 얻어지는 정량적 자료를 지원받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조사 자료의 신뢰도가 확보되기 전에는 참고용 자료로 사용이 제

한된다.

Page 30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8 -

표 3-32. 생태계교란야생식물 현장조사표(일반)

조사지역

대상종

돼지풀 도깨비가지 가시박 양미역취

단풍잎돼지풀 털물참새피 서양금혼초 애기수영

서양등골나물 물참새피 미국쑥부쟁이

날짜

위치 N, E (WPT: ), 해발고도(m):

사진일련

번호

분포형태

A. 단생 B. 단생/산재 C. 군생 D. 군생/산재 E. 대군

분포규모

분포유형

점, 선, 면

분포

지역

양상

물가 공원

도로변 산지우점종면적

(폭x길이) 경작지 나지우점종피도(%) 시가지 기타

특기사항

1. 많이 보이는 종 2. 서식처 교란실태 3. 관리현황 4. 기타

조사자: 기록자: 채집자:

Page 30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89 -

표 3-33. 생태계교란야생식물 현장조사표(정밀)

번호대상종

날짜

특기

사항

지역

정보

GPS

WPT해발고도

사진번호

분포면적

분포양상

A. 단생 B: 단생/산재 C. 군생 D. 군생/산재 E. 대군

서식처유형 도시형, 농촌형, 산지형, 하천형, 해안형, 초원형, 기타( )

빛 조건 양지, 반음지, 음지

접근성 강(평지), 중, 약(절벽) 입지거리 인접(도로), 보통, 이격(오지)

입지교란요소 방화, 벌채, 경작, 조림, 나대지, 쓰레기터, 기타( )

인접우점식물 동( )서( )남( )북( )

공서종 정보

No. 공서종 높이(cm)

면적(㎡)

피도(%)

개엽여부

개화여부

결실여부

No. 공서종 높이(cm)

면적(㎡)

피도(%)

개엽여부

개화여부

결실여부

1 11

2 12

3 13

4 14

5 15

6 16

7 17

8 18

9 19

1. 많이 보이는

2. 서식처의

교란실태

3. 관리현황 4. 기타 서식처 모식도

조사자: 기록자: 채집자:

Page 30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0 -

표 3-34. 현장조사표(예시)

1) 파랑볼우럭/큰입배스 모니터링 현장조사표

파랑볼우럭 및 큰입배스의 현지 조사표- 포/어획 조사[조사구 현황(정밀)]조사지역

포획조사구조사구 번호 조사구 위치

좌 표조사자 조사일

조사 시간

N S 개시 종료

수온 용존산소 pH 전도도 탁도 BOD SS TN TP 날씨 바람 기온 7일 이내 강우 유무

☀ / ☁ / ☂ 없음/미풍/강풍 ℃

조사구 현황

수심 하천(유폭/하폭)

수초생육상태

침수식물

하상구조 정수식물저수지 또는 염못

(유입수 발달상황)부엽식물

수변부 상태

공서종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특이사항

Page 31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1 -

파랑볼우럭 및 큰입배스의 현지 조사표-포/어획조사[개체현황(정밀)]

조사종 파랑볼우럭 큰입배스

채집도구

샘플링번호 개체수 개체번호 무게 길이 사진 비고투망 족대

정치

망낚시

소 계

합 계

Page 31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2 -

파랑볼우럭 및 큰입배스의 현지 조사표- 포/어획 조사[조사구 현황(일반)]

조사지역

포획조사구조사구 번호 조사구 위치

좌 표조사자 조사일

조사 시간

N S 개시 종료

수온 용존산소 pH 전도도 탁도 BOD SS TN TP 날씨 바람 기온 7일 이내 강우 유무

☀ / ☁ / ☂ 없음/미풍/강풍 ℃

조사구 현황

수심

저수지 또는

연못(유입수

발달 상황)

수변부 상태

공서종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특이사항

Page 31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3 -

파랑볼우럭 및 큰입배스의 현지 조사표-포/어획조사[개체현황(일반)]

조사종 파랑볼우럭 큰입배스

채집도구

샘플링번호 개체수 개체번호

무게 길이

사진 비고투망 족대

정치

망낚시

명시된 기준에 따라 기입

소 계

합 계

Page 31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4 -

파랑볼우럭 및 큰입배스의 현지 조사표-사회연계[행사(활동)명]

조사지역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행사(활동)명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 개체번호 무게 길이조사지 현황

(관리실태/밀도/활동성과/어획방법 기술)사진

N E

소계

합계

Page 31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5 -

황소개구리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조사구현황]조사지역

포획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위치

좌표조사자 조사일

조사시간

N S 개시 종료

수질상태 조사구 현황 기상상태

수온 용존산소 pH 전도도 탁도 BOD SS TN TP 가로*세로*깊이 날씨 바람 기온

공서종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특이사항

2) 황소개구리 모니터링 현지 조사표

Page 31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6 -

황소개구리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개체현황]

채집도구샘플링 번호 개체수 개체번호

성 발달단계무게 길이 사진

투망 족대 통발 M F 유생 성체

소 계

합 계

Page 31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7 -

황소개구리 현지 조사표-목견 조사[개체현황(정밀)]

조사지역

목견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

좌표

개체

수개체번호

성발달

단계

무게 길이 목견지 현황 사진

N E M F유

소계

합계

Page 31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8 -

황소개구리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조사구현황(일반)]

조사지역

포획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위치

좌표조사자 조사일

조사시간

N S 개시 종료

특기사항(조사지역 특이사항) 기상상태

날씨 바람 기온

공서종

번호 국명 개체수 번호 국명 개체수

특이사항

Page 31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299 -

황소개구리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개체현황(일반)]

채집도구샘플링 번호 개체수 개체번호

성 발달단계사진

투망 족대 통발 M F 유생 성체

소 계

합 계

Page 31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0 -

황소개구리의 현지 조사표-사회연계[행사(활동)명]

조사지역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행사(활동)명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 개체번호성 발달단계 조사지 현황

(관리실태/밀도/공서종/포획방법 기술)사진

N E M F 유생 성체

소계

합계

Page 32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1 -

3) 붉은귀거북 모니터링 현지조사표

붉은귀거북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조사구현황(정밀)]

조사지역

포획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위치

좌표조사자 조사일

조사시간

N S 개시 종료

수질 조사구 현황 기상상태

수온 용존산소 pH 전도도 탁도 BOD SS TN TP 가로*세로*깊이 날씨 바람 기온

공서종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번호 국명 학명 개체수

특기사항

(서식처 교란실태 및 관리현황)

Page 32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2 -

붉은귀거북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개체현황(정밀)]

채집도구

샘플링 번호 개체수 개체번호

무게 등갑길이 등갑폭 사진통발형

그물주낙 정치망 M F

소 계

합 계

Page 32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3 -

붉은귀거북의 현지 조사표-목견 조사[개체현황(정밀)]

조사지역

목견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 개체번호성 무

등갑길

등갑

폭목견지 현황 사진

N E M F

소계

합계

Page 323: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4 -

붉은귀거북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조사구현황(일반)]

조사지역

포획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위치

좌표조사자 조사일

조사시간

N S 개시 종료

조사지 상황(서식처 및 서식환경 일반사항 서술) 조사구 현황 기상상태

가로*세로*깊이 날씨 바람 기온

공서종

번호 국명 개체수 번호 국명 개체수

특기사항

(교란실태 및 관리현황)

Page 324: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5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사회연계[행사(활동)명]

조사지역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행사(활동)명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개체

번호

성 무

등갑

길이

등갑

조사지 현황

(서식처 교란실태/관리실태/밀도)사진

N E M F

소계

합계

4) 뉴트리아 모니터링 현장조사표

Page 325: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6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 포획 조사[조사구 현황(정밀)]

조사지역

포획조사구조사구 번호 조사구 위치

좌 표조사자 조사일

조사 시간

N S 개시 종료

수온 용존산소 pH 전도도 탁도 BOD SS TN TP 날씨 바람 기온 7일 이내 강우 유무

☀ / ☁ / ☂ 없음/미풍/강풍 ℃

조사구 현황

수심 하천(유폭/하폭)

수초생육상태

침수식물

정수식물

서식지 구조

(인접지역 특성) 부엽식물

수변부 상태

특이사항

Page 326: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7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목견 조사[개체현황(정밀)]

조사지역

목견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 개체번호성

무게 체장길이 목견지 현황 사진N E M F

소계

합계

Page 327: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8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 포획 조사[조사구 현황(일반)]

조사지역

포획조사구조사구 번호 조사구 위치

좌 표조사자 조사일

조사 시간

N S 개시 종료

서식지 구조

(인접지역 특성)

날씨 바람 기온 7일 이내 강우 유무

☀ / ☁ / ☂ 없음/미풍/강풍 ℃

조사구 현황

특이사항

Page 328: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09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포획조사[개체현황(일반)]

채집도

구샘플링번호

개체번

호개체수

무게 체장길이 사진 비고트

기M F

소 계

합 계

Page 329: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10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목견 조사[개체현황(일반)]

조사지역

목견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

좌표

개체수 개체번호

성 무게체장길

이목견지 현황 사진

N E M F제시된 기준에

따라 표기

소계

합계

Page 330: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11 -

뉴트리아의 현지 조사표-사회연계[행사(활동)명]

조사지역

조사구조사구번호 조사구/행사(활동)명

조사자 조사일조사시간 기상상태

개시 종료 날씨 바람 기온

번호좌표

개체수 개체번호 무게 길이조사지 현황

(관리실태/밀도/활동성과/포획방법 기술)사진

N E

소계

합계

Page 331: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12 -

표 3-35. 생태계교란야생동물 종별 조사일정

종명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뉴트리아

생장기, * 중간보고 및 최종보고

표 3-36.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종별 조사일정

종명 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도깨비가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서양금혼초

양미역취

애기수영

생장기, 개화, 결실기, * 중간보고 및 최종보고

현장조사, 데이터베이스 입력

현장조사, 데이터베이스 입력

Page 332: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pdf/2010/09/5001425.pdf · Y_ S (^H X>eX@2·ùæyïÌ eX@¼òY ùæ 1 YD b1(^H X eX@2·ùæ& XeX ½Ì eX@b ùæ ^ XS2·vD (^ eXL@$øÙ&-Ì

- 313 -

Ⅴ. 참고문헌

국립환경과학원. 2003. 야생동물실태조사.

국립환경과학원. 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Ⅴ). 212 pp.

국립환경과학원. 2005.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Ⅰ). 76 pp.

국립환경과학원. 2006.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도깨비가지의 확산실태 파악 및 우선관리지역

선정. 176 pp.

국립환경과학원. 2007.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Ⅰ). 492 pp

국립환경과학원. 2008.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Ⅱ). 677 pp

국립환경과학원. 2009. 한국의 주요 외래생물Ι. 346 pp.

농촌진흥청. 2008. 농생태계 위해외래잡초 단풍잎돼지풀의 종합관리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 제 3차년도 완결보고서. 66 pp.

변화근. 2004. 국제생태계외래종 심포지움.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신창민. 2004. 경기도 북부지역에 자생하는 위해외래식물의 생육특성 및 생육지 분

포실태조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재한. 2001. 외래동물 붉은귀거북의 전국서식실태 조사.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생태계교란종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219 pp.

환경부. 2005.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

환경부. 2006. 생태계교란종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