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Date post: 21-Dec-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1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72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Page 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Praat를 이용한 청각장애학생들의

가창력 향상에 관한 실험연구

2013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신 혜 경

Page 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Page 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Praat를 이용한 청각장애학생들의

가창력 향상에 관한 실험연구

지도 교수 김 동 일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1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신 혜 경

신혜경의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3년 1월

위 원 장 오 희 숙 (인)

부위원장 김 계 현 (인)

위 원 김 동 일 (인)

Page 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Page 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i

초 록

인간은 누구나 다양한 음악교육을 통해 인간적인 삶에 필수적

으로 요구되는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권리가 있다.

특히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있어서 다양한 음악교육은 심리적

안정과 언어치료적 관점에서도 중요하며, 그 중 노래관련 활동은

구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피드백(Praat;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창수업이 청각장애 학생들의 가창(특히 음에 대한 인지

능력발달)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이 실험에 대한 실험대상자들의 의견을 인터뷰하여 살펴

봄으로써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음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정청력이

중등고도 난청(56~70dB)인 청각장애학생 4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학생의 발성과 음악 수준을 고려해서

간단한 리듬과 음의 도약이 크지 않은 동요인 <작은별>을 실험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일곱 번의 실험과 한 번의 개별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리듬을

연습한 전과 후의 경우, 실험대상 전원이 사후검사에서는 크고 고른

발성과 일정한 속도, 그리고 정확한 리듬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Praat로 음정을 연습한 전과 후의 경우, 실험대상 A, B, C,

D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에서는 각각

43.3%, 63.3%, 23.3%, 53.3%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사후검사

에서는 모든 실험대상들의 상관관계계수가 0.96~1의 분포를 보였

는데, 이는 사전검사와 달리 사후검사에서는 실험대상 모두가 음정

의 상행과 하행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계명창의 변화에서 실험

Page 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ii

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사전검사 40.2%에서 사후

검사 82.9%로, 42.7%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 평균도

사전검사 0.511에서 사후검사 0.912로, 0.401 향상되었다.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사전검사 48.8%에서

사후검사 70.8%로, 22.0%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 평균도

사전검사 0.270에서 사후검사 0.865로, 0.594의 큰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가창과 관련된 기초 질문들과 실험에 대한 견해로

나눠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 중 한 명을 제외한

세 명은 평소에 팝이나 가요 듣기를 좋아하며, 잘 부르지는 못

하지만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을 좋아한다고 답하였다. 나머지 한

명은 음의 높낮이가 잘 느껴지지 않고, 목소리 조절도 잘되지

않아서 자주 부르지 않는다고 대답하였지만 평소에 음악을 자주

듣고 가사를 따라 발음 연습을 하기도 한다며 음악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또한 실험대상자들의 공통된 의견으로는 Praat가 외국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사용법이 다소 불편하다는 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인이 부르는 음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볼 수

있어서 음높이와 목소리강약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음악을 느끼고 향유할 가치가 모든 사람에게 있음

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청각장애학생들에게 다양한 방법

으로 음악교육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들의 인터뷰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잔존

청력과 다양한 감각을 통해서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감각

기관들을 이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 교재, 교구 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그들이

음악을 다양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를 열어 줄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청각장애 음악교육, 가창력 향상, 시각적 피드백

학 번 : 2006-21705

Page 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iii

목 차

I.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4

1) 청각장애 ............................................................................ 4

2) Praat .................................................................................. 5

3) 가창력 ................................................................................ 5

4) 보정 청력 ........................................................................... 5

II. 이론적 배경 .......................................................... 6

1.청각장애학생의 음악교육 ................................................ 6

1)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 6

2) 청각장애인의 음악지각 ...................................................... 7

3) 청각장애인의 발성 특성과 가창교육의 중요성 ................... 9

4) 청각장애학교의 음악교육 과정과 실태 ............................. 10

5)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악교육방법 고찰 ............................. 13

2. Praat의 유용성 ...........................................................17

1) ICT의 활용성 .................................................................. 17

2) 시각적 기기를 이용한 피드백 .......................................... 18

3) Praat 기능 ....................................................................... 19

III. 연구방법 ............................................................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기간 .....................................................................21

3. 연구절차 .....................................................................22

4. 검사도구 .....................................................................24

5. 분석방법 .....................................................................25

Page 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iv

IV. 결 과 ............................................................... 29

1. 리 듬 ........................................................................29

1) 실험대상 A 리듬검사 ........................................................ 30

2) 실험대상 B 리듬검사 ........................................................ 31

3) 실험대상 C 리듬검사 ........................................................ 31

4) 실험대상 D 리듬검사 ........................................................ 32

2. 음 정 ........................................................................33

1) 실험대상 A ....................................................................... 34

2) 실험대상 B ....................................................................... 44

3) 실험대상 C ....................................................................... 54

4) 실험대상 D ....................................................................... 64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74

3. a부분 계명창 ..............................................................76

1) 실험대상 A ....................................................................... 76

2) 실험대상 B ....................................................................... 77

3) 실험대상 C ....................................................................... 78

4) 실험대상 D ....................................................................... 79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80

4. a부분 가창 ..................................................................81

1) 실험대상 A ....................................................................... 81

2) 실험대상 B ....................................................................... 82

3) 실험대상 C ....................................................................... 83

4) 실험대상 D ....................................................................... 84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85

5. b부분 계명창 ..............................................................86

1) 실험대상 A ....................................................................... 86

2) 실험대상 B ....................................................................... 87

3) 실험대상 C ....................................................................... 88

4) 실험대상 D ....................................................................... 89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90

6. b부분 가창 ..................................................................91

1) 실험대상 A ....................................................................... 91

Page 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v

2) 실험대상 B ....................................................................... 92

3) 실험대상 C ....................................................................... 93

4) 실험대상 D ....................................................................... 94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95

7. 계명전체 .....................................................................96

1) 실험대상 A ....................................................................... 96

2) 실험대상 B ....................................................................... 97

3) 실험대상 C ....................................................................... 99

4) 실험대상 D ..................................................................... 100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102

8. 가창전체 .................................................................. 104

1) 실험대상 A ..................................................................... 104

2) 실험대상 B ..................................................................... 105

3) 실험대상 C ..................................................................... 107

4) 실험대상 D ..................................................................... 108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 110

V. 결론 및 제언 .................................................... 112

1. 결 론 ..................................................................... 112

2. 제 언 ..................................................................... 116

3. 연구의 제한점 ......................................................... 117

참고 문헌............................................................... 119

부록 1. <실험참가 학생들에 대한 설문(인터뷰)> .......... 123

부록 2. Praat 사용법 ................................................... 131

부록 3. 수업지도안 ...................................................... 135

Abstract ............................................................... 152

Page 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vi

표 목차

<표 1> 청각장애 분류 .................................................................... 6

<표 2> 코다이의 리듬읽기 ........................................................... 15

<표 3> 코다이의 손기호 ............................................................... 16

<표 4> 음의 진동수...................................................................... 19

<표 5> 대상자의 특성 .................................................................. 21

<표 6> 연구내용 ........................................................................... 23

<표 7> 음의 진동수...................................................................... 25

<표 8> 실험대상A 솔-파-미-레 .................................................. 26

<표 9> 실험대상A 솔-파-미-레 음정변화 ................................... 27

<표 10> 실험에 사용한 음정 ........................................................ 33

<표 11> 실험대상A 도-솔 ........................................................... 34

<표 12> 실험대상A 도-솔 음정변화 ............................................ 34

<표 13> 실험대상A 솔-라 ........................................................... 35

<표 14> 실험대상A 솔-라 음정변화 ............................................ 35

<표 15> 실험대상A 라-솔 ........................................................... 36

<표 16> 실험대상A 라-솔 음정변화 ............................................ 36

<표 17> 실험대상A 도-솔-라-솔 ................................................ 37

<표 18> 실험대상A 도-솔-라-솔 음정변화 ................................. 37

<표 19> 실험대상A 솔-파 ........................................................... 38

<표 20> 실험대상A 솔-파 음정변화 ............................................ 38

<표 21> 실험대상A 파-미 ........................................................... 39

<표 22> 실험대상A 파-미 음정변화 ............................................ 39

<표 23> 실험대상A 미-레 ........................................................... 40

<표 24> 실험대상A 미-레 음정변화 ............................................ 40

<표 25> 실험대상A 레-도 ........................................................... 41

<표 26> 실험대상A 레-도 음정변화 ............................................ 41

<표 27> 실험대상A 솔-파-미-레 ................................................ 42

<표 28> 실험대상A 솔-파-미-레 음정변화 ................................. 42

<표 29> 실험대상A 파-미-레-도 ................................................ 43

<표 30> 실험대상A 파-미-레-도 음정변화 ................................. 43

<표 31> 실험대상B 도-솔 ............................................................ 44

Page 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vii

<표 32> 실험대상B 도-솔 음정변화 ............................................ 44

<표 33> 실험대상B 솔-라 ............................................................ 45

<표 34> 실험대상B 솔-라 음정변화 ............................................ 45

<표 35> 실험대상B 라-솔 ............................................................ 46

<표 36> 실험대상B 라-솔 음정변화 ............................................ 46

<표 37> 실험대상B 도-솔-라-솔 ................................................. 47

<표 38> 실험대상B 도-솔-라-솔 음정변화 ................................. 47

<표 39> 실험대상B 솔-파 ............................................................ 48

<표 40> 실험대상B 솔-파 음정변화 ............................................ 48

<표 41> 실험대상B 파-미 ............................................................ 49

<표 42> 실험대상B 파-미 음정변화 ............................................ 49

<표 43> 실험대상B 미-레 ............................................................ 50

<표 44> 실험대상B 미-레 음정변화 ............................................ 50

<표 45> 실험대상B 레-도 ............................................................ 51

<표 46> 실험대상B 레-도 음정변화 ............................................ 51

<표 47> 실험대상B 솔-파-미-레 ................................................. 52

<표 48> 실험대상B 솔-파-미-레 음정변화 ................................. 52

<표 49> 실험대상B 파-미-레-도 ................................................. 53

<표 50> 실험대상B 파-미-레-도 음정변화 ................................. 53

<표 51> 실험대상C 도-솔 ............................................................ 54

<표 52> 실험대상C 도-솔 음정변화 ............................................ 54

<표 53> 실험대상C 솔-라 ............................................................ 55

<표 54> 실험대상C 솔-라 음정변화 ............................................ 55

<표 55> 실험대상C 라-솔 ............................................................ 56

<표 56> 실험대상C 라-솔 음정변화 ............................................ 56

<표 57> 실험대상C 도-솔-라-솔 ................................................. 57

<표 58> 실험대상C 도-솔-라-솔 음정변화 ................................. 57

<표 59> 실험대상C 솔-파 ............................................................ 58

<표 60> 실험대상C 솔-파 음정변화 ............................................ 58

<표 61> 실험대상C 파-미 ............................................................ 59

<표 62> 실험대상C 파-미 음정변화 ............................................ 59

<표 63> 실험대상C 미-레 ............................................................ 60

<표 64> 실험대상C 미-레 음정변화 ............................................ 60

<표 65> 실험대상C 레-도 ............................................................ 61

<표 66> 실험대상C 레-도 음정변화 ............................................ 61

<표 67> 실험대상C 솔-파-미-레 ................................................. 62

Page 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viii

<표 68> 실험대상C 솔-파-미-레 음정변화 ................................. 62

<표 69> 실험대상C 파-미-레-도 ................................................. 63

<표 70> 실험대상C 파-미-레-도 음정변화 ................................. 63

<표 71> 실험대상D 도-솔 ........................................................... 64

<표 72> 실험대상D 도-솔 음정변화 ............................................ 64

<표 73> 실험대상D 솔-라 ........................................................... 65

<표 74> 실험대상D 솔-라 음정변화 ............................................ 65

<표 75> 실험대상D 라-솔 ........................................................... 66

<표 76> 실험대상D 라-솔 음정변화 ............................................ 66

<표 77> 실험대상D 도-솔-라-솔 ................................................ 67

<표 78> 실험대상D 도-솔-라-솔 음정변화 ................................. 67

<표 79> 실험대상D 솔-파 ........................................................... 68

<표 80> 실험대상D 솔-파 음정변화 ............................................ 68

<표 81> 실험대상D 파-미 ........................................................... 69

<표 82> 실험대상D 파-미 음정변화 ............................................ 69

<표 83> 실험대상D 미-레 ........................................................... 70

<표 84> 실험대상D 미-레 음정변화 ............................................ 70

<표 85> 실험대상D 레-도 ........................................................... 71

<표 86> 실험대상D 레-도 음정변화 ............................................ 71

<표 87> 실험대상D 솔-파-미-레 ................................................ 72

<표 88> 실험대상D 솔-파-미-레 음정변화 ................................. 72

<표 89> 실험대상D 파-미-레-도 ................................................ 73

<표 90> 실험대상D 파-미-레-도 음정변화 ................................. 73

<표 91> 음정실험 음정변화 인지도 ............................................. 74

<표 92> 음정실험 상관관계계수................................................... 74

<표 93>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6

<표 94>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76

<표 95>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7

<표 96>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77

<표 97>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8

<표 98>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78

<표 9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9

<표 100>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79

<표 101>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80

<표 102>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1

<표 103>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 81

Page 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ix

<표 104>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2

<표 105>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 82

<표 106>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3

<표 107>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 83

<표 108>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4

<표 10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 84

<표 110> a부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85

<표 111>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6

<표 112>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86

<표 113>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7

<표 114>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87

<표 115>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8

<표 116>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 88

<표 11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9

<표 118>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89

<표 119>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90

<표 120>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1

<표 121>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 91

<표 122>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2

<표 123>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 92

<표 124>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3

<표 125>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 93

<표 126>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4

<표 12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 94

<표 128> b부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95

<표 129>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 96

<표 130>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 97

<표 131>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 98

<표 132>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98

<표 133>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 99

<표 134>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100

<표 13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 101

<표 136>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 101

<표 137>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102

<표 138>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 104

<표 139>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 105

Page 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x

<표 140>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 106

<표 141>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 106

<표 142>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 107

<표 143>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 108

<표 144>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 109

<표 14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 109

<표 146>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 110

Page 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xi

그림 목차

[그림 1] 성인 여성이 발성한 <솔파미레>의 파형과 피치 분석 ... 20

[그림 2] 실험대상A가 발성한 <솔파미레>의 파형과 피치 분석... 20

[그림 3] 도의 진동수 ................................................................... 24

[그림 4] 솔의 진동수 ................................................................... 24

[그림 5] 실험대상A 솔-파-미-레 ................................................ 26

[그림 6] 4분음표와 2분음표 리듬 읽기 ........................................ 30

[그림 7] <작은별> 리듬 읽기 ....................................................... 30

[그림 8] 실험대상A 리듬 사전검사 .............................................. 30

[그림 9] 실험대상A 리듬 사후검사 .............................................. 30

[그림 10] 실험대상B 사전검사 .................................................... 31

[그림 11] 실험대상B 사후검사 .................................................... 31

[그림 12] 실험대상C 사전검사 .................................................... 31

[그림 13] 실험대상C 사후검사 .................................................... 31

[그림 14] 실험대상D 사전검사 .................................................... 32

[그림 15] 실험대상D 사후검사 .................................................... 32

[그림 16] 실험대상A 도-솔 ......................................................... 34

[그림 17] 실험대상A 솔-라 ......................................................... 35

[그림 18] 실험대상A 라-솔 ......................................................... 36

[그림 19] 실험대상A 도-솔-라-솔 .............................................. 37

[그림 20] 실험대상A 솔-파 ......................................................... 38

[그림 21] 실험대상A 파-미 ......................................................... 39

[그림 22] 실험대상A 미-레 ......................................................... 40

[그림 23] 실험대상A 레-도 ......................................................... 41

[그림 24] 실험대상A 솔-파-미-레 .............................................. 42

[그림 25] 실험대상A 파-미-레-도 .............................................. 43

[그림 26] 실험대상B 도-솔 ......................................................... 44

[그림 27] 실험대상B 솔-라 ......................................................... 45

[그림 28] 실험대상B 라-솔 ......................................................... 46

[그림 29] 실험대상B 도-솔-라-솔 .............................................. 47

[그림 30] 실험대상B 솔-파 ......................................................... 48

[그림 31] 실험대상B 파-미 ......................................................... 49

Page 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xii

[그림 32] 실험대상B 미-레 ......................................................... 50

[그림 33] 실험대상B 레-도 ......................................................... 51

[그림 34] 실험대상B 솔-파-미-레 .............................................. 52

[그림 35] 실험대상B 파-미-레-도 .............................................. 53

[그림 36] 실험대상C 도-솔 ......................................................... 54

[그림 37] 실험대상C 솔-라 ......................................................... 55

[그림 38] 실험대상C 라-솔 ......................................................... 56

[그림 39] 실험대상C 도-솔-라-솔 .............................................. 57

[그림 40] 실험대상C 솔-파 ......................................................... 58

[그림 41] 실험대상C 파-미 ......................................................... 59

[그림 42] 실험대상C 미-레 ......................................................... 60

[그림 43] 실험대상C 레-도 ......................................................... 61

[그림 44] 실험대상C 솔-파-미-레 .............................................. 62

[그림 45] 실험대상C 파-미-레-도 .............................................. 63

[그림 46] 실험대상D 도-솔 ......................................................... 64

[그림 47] 실험대상D 솔-라 ......................................................... 65

[그림 48] 실험대상D 라-솔 ......................................................... 66

[그림 49] 실험대상D 도-솔-라-솔 .............................................. 67

[그림 50] 실험대상D 솔-파 ......................................................... 68

[그림 51] 실험대상D 파-미 ......................................................... 69

[그림 52] 실험대상D 미-레 ......................................................... 70

[그림 53] 실험대상D 레-도 ......................................................... 71

[그림 54] 실험대상D 솔-파-미-레 .............................................. 72

[그림 55] 실험대상D 파-미-레-도 .............................................. 73

[그림 56]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6

[그림 57]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7

[그림 58]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8

[그림 5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 79

[그림 60]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1

[그림 61]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2

[그림 62]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3

[그림 63]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 84

[그림 64]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6

[그림 65]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7

[그림 66]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8

[그림 6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 89

Page 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xiii

[그림 68]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1

[그림 69]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2

[그림 70]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3

[그림 71]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 94

[그림 72]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 96

[그림 73]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 97

[그림 74]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 99

[그림 7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 100

[그림 76]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104

[그림 77]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 105

[그림 78]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 107

[그림 79]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108

Page 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xiv

Page 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음악교육은 가창을 통해서 가장 쉽게 실음을 경험하고

음악을 이해하며 표현하는데, 이러한 표현의 행동은 그 곡의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가창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재창조,

재표현을 위해서는 가사를 이해하는 지적 수준과 표현할 수 있는

발성기술, 음악의 모든 요소의 올바른 이해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이도식, 2005).

그러나 청각 손실로 인해 청각장애 학생들은 음악을 듣고 부르는

데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악을 이해하고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에 의해 청각을 손실한 이들에게 음악교육이 불필요하다고

인식되기 쉽기 때문에 그들에게 올바른 음악교육을 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음악적 체험은 중요하며, 모든

이들은 음악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고, 인간은 누구나 음악교육을

통해 인간적인 삶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음악치료사 강수경(2006)은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있어서 음악

교육은 심리적으로나 치료적으로 모두 중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노래관련 활동을 통해서 구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언어에 운율이 없고 음역의 폭이 좁아 억양의 변화가

없으며, 노래 부르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만 6세의 청각장애 아동

에게 6개월 동안 단계적으로 음악 치료(음고 변별 훈련, 자신이

내는 소리의 음고 변별 및 조절, 리듬 훈련, 전래동요 가사 말하기,

노래 부르며 신체활동하기, 노래 부르고 악기연주 등)를 실시한

결과 자신의 고정되어 있던 음역이 확대되고, 노래 부르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더불어 빠르던 말의 속도가 느려지는 등,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한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교육은

Page 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

자유발성을 할 때 목소리의 사용을 늘리는 것, 말소리의 패턴에

대한 인식의 증가, 말소리의 리듬, 음정, 억양이 좀 더 자연스럽게

되는 등, 구어-언어 병리학자가 지적한 소리 생성의 다른 측면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이러한 자유발성과 음성모방은

노래관련 활동을 통해 촉진 시킬 수 있으며, 자기의 목소리를 탐색

하고 실험해 보는 일은 보다 나은 어성을 내기 위한 첫 걸음이

된다고 하였다.

이미 오래전부터 외국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많은 교육을 실시하였다. Edwards(1974)는 청각

장애아동들에게 음악을 지도하는 것은 건청 아동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청각장애아동의 리듬

감각 증진을 통한 소리의 즐거움을 인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실험한 결과, 청각장애아동의 집중력, 자기

통제, 정신운동, 정체감, 협동력, 그리고 언어 산출 능력 등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ick, 1973;

Datillo, 1953; De Berruecos, 1967; Edwards, 1974; Hummel,

1971; Kapla, 1975; McDermott, 1971; Robbins, 1980, 김순연,

2005에서 재인용). 하지만 초기의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리듬을

활용한 치료 교육과 청능 훈련이었기 때문에 음악교육적 접근

보다는 청능 훈련과 치료의 목적에 더 관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최근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촉각과 시각을 비롯하여 자기

인식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청능 훈련이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이제는 치료의 목적을 넘어 점점 음악교과의 본질적 교육에 대한

접근을 하게 되었다(Bridgehouse, 1978; Eugenia & Bulawa &

Walczyk, 1993; Anita Givens, 2005).

우리나라 언어치료분야에서도 장혜성(1983)과 어수지(2005),

이지현(2006), 우혜영(2008) 등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시각,

촉각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고 연구도 계속

되고 있지만, 아직 음악교육에서는 시각을 비롯한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연구가 거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타악기의 진동을 이용한 리듬위주의

연구가 많으며, 김순연(2005)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청각장애

학교에서 음악과 지도 시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사항에 대해서

아직도 리듬지도가 4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러한

Page 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

리듬악기 위주의 연구들과 수업이 많은 이유는 청각장애 학생들

에게 리듬교육이 다른 음악영역보다 쉽고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이것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있어

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잔존청력

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인공와우시술로 인해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청취 능력이 향상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최성규, 정미숙

(2004), 권은영(2005), 김순연(2005), 장경화(2006)등의 실태

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의 개발이 부족함을 문제로 지적

했다. 그리고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리듬

교육 연구마저도 그리 많지 않으며, 최근 연구의 수 또한 상당히

적고 대부분의 연구가 실태조사이다.

최근 여러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각장애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음악을 좋아하며, 음악시간에 노래를 부르는 것이 즐겁고, 더

나아가 음악이 자신의 일상생활과 감정변화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

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소수의 몇몇 학생들은

음악을 전공하고 싶다고까지 밝혔다. 하지만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결여와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그리고 그들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

교재, 교구 등의 부족과 더불어 가창지도의 어려움 등은 아직도

그들에게 제대로 된 음악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시각을 통한

가창교육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본인이 부른 노래를 시각적으로

보고 수정하여, 자신의 고정되어 있던 음역을 확대시키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유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가창력을

향상 시키는 데 있으며, 이러한 가창력 향상은 자신의 감정을 조금

이나마 노래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심리적 만족감을 증진시켜 음악을 향유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데 있다.

Page 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

2. 연구문제

본 연구는 보정청력이 중등고도난청 이하의 중복장애가 없는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가창지도를

실시한 후, 가창력의 향상과 그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리듬을

연습한 전과 후의 리듬의 정확도는 어떻게 다른가?

둘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음정을

연습한 전과 후의 음정변화 인지도는 어떻게 다른가?

셋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실험

제재곡을 연습한 후, 계명창의 변화는 실험전과 후가 어떻게

다른가?

넷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실험

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는 실험전과 후가 어떻게 다른가?

다섯째, 실험 후, 청각장애학생들은 자신의 가창력 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3. 용어의 정의

1) 청각장애

청각 장애(聽覺障礙, 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이다. 미국 말하기 언어 듣기 협회(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에 따르면 청각장애는

"생리적 청각 시스템의 결손에 의한 청각 손실의 결과"이다(Robert

E. Owens, 2008). 또한 청각 장애의 정도는 관점에 따라 여러

Page 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

종류의 단계 구분이 있다. 교육의 입장에서는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거나 잔존 청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소리만으로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를 농(聾)이라 하고 보청기와 같은 기구의 도움으로

잔존 청력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를 난청이라 한다

(William L. Heward, 2007).

2) Praat

Amsterdam대학의 Paul Boersma가 개발한 음성분석 도구로써

음성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피치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음절을 비롯하여 단어, 문장에서의 음성의 강도

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리의 길이, 크기, 고저 등을 알

수 있는 음성분석 프로그램이다.

3) 가창력

가창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가창 즉, 발성으로 노래를 부를

때 폐에서 나오는 숨이 성대를 통과할 때 성대를 진동시켜 성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세광음악용어사전, 1999). 그리고 가창력

이란 일반적으로 음고, 선율, 가사, 리듬, 그리고 박의 요소를 잘

살려서 부르는 능력을 일컫는다. 또한 가사의 뜻을 살려 바른 자세,

발음, 호흡 및 무리 없는 소리로 제창, 독창, 돌림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을 말한다(이재식, 1992).

4) 보정 청력

보정 청력은 보청기나 CI(cochlear implant)등의 청각 보조 장치

에 의해 이득을 얻은 청력을 말한다.

Page 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

II. 이론적 배경

1.청각장애학생의 음악교육

1)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청각 장애(聽覺障礙, 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는 소리

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이다. 미국 말하기 언어 듣기 협회(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에 따르면 청각장애는 "생리적

청각 시스템의 결손에 의한 청각 손실의 결과"이다(Robert E.

Owens, 2008). 또한 청각 장애의 정도는 관점에 따라 여러 종류의

단계 구분이 있다. 교육의 입장에서는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거나

잔존 청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소리만으로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를 농(聾)이라 하고 보청기와 같은 기구의 도움으로 잔존

청력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를 난청이라 한다(William

L. Heward, 2007).

청각장애에 대한 정의는 청력 검사의 결과인 청력 손실의 정도에

따라 청각장애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다음은 청력장애의 정도에

따르는 청력손실 정도와 청력 상태, 고려해야 할 청각재활분야를

표로 작성한 것이다(김진숙, 2001, 김희선, 2003에서 재인용).

<표 1> 청각장애 분류

청력장애 정도

데시벨(dB)로

표기한

청력손실 정도

청력상태 고려할 청각

재활분야

정상(Normal) 20dB이하 정상 없음

경도난청

(Mild hearing loss) 21~40dB

작은 소리,

속삭이는 소리를

잘 듣지 못함.

제한적인 증폭기기

사용 가능. 어눌한

발음의 언어훈련

Page 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

중등도난청

(Moderate hearing

loss)

41~55dB

가까운 곳에서

회화 가능하거나

먼 곳의 말소리는

못 들음.

증폭기기의 사용

효율성 높음. 인지,

청능, 언어훈련

중등고도난청

(Moderate severe

hearing loss)

56~70dB

큰 소리만 들을 수

있고, 군중 속이나

강의실에서는

언어이해가 곤란함.

증폭기기의 사용

효율성 높음, 인지,

청능, 언어, 독순

훈련

고도난청

(Severe hearing

loss)

71~90dB

매우 큰 소리에만

반응, 언어의

이해는 거의

불가능.

증폭기기 사용

가능(일반적인

기능보다

특수기능이 강화된

것). 인지, 청능,

독순, 수화훈련

심도난청

(Profound hearing

loss)

91dB이상 소리에 거의

반응이 없음.

증폭기기 사용

효율성 저하. 인지,

청능, 언어, 독순,

수화훈련

2) 청각장애인의 음악지각

모든 사람들에게는 음악을 느끼고 향유할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

하고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들에게 음악을 사용한다는 가능성을

사람들은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Edwards(1975)은 청각장애인

들도 정상청력을 가진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풍부하고 다양한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청각장애 아동에게 음악을 사용하는 것은

정상아동에게 음악을 사용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하였다.

타악기 연주자 애블린 글래니와 청각장애 가수 에이비는 흔하지

않지만 청각장애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음악가로 성공한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애블린은 여덟 살 때 귀에 이상이 생겨 열두

살 때에 청력을 완전히 상실하지만 현재 그녀는 50여 개의 타악기

Page 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

를 한꺼번에 다루며, 삼십 대 중반에 세계적인 타악기 연주자의

반열에 올랐고 10장 이상의 음반과 매년 120회 이상의 음악회를

갖는 대표적인 청각장애 연주자이다. 작곡가이자 가수인 에이비

역시 청각장애인이지만, 그는 하모니카 소리의 떨림을 감지해

섬세하지 못한 귀를 보완하며 작곡을 하는 현존하는 음악가이다.

이렇듯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애블린과 에이비를 비롯한 많은

청각장애인들은 그들만이 느낄 수 있는 음악 지각과 향유를 통해

생활 속에서 항상 음악과 함께하고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음악 지각과 향유는 잔존청력과 음악 자체의

특정한 구조적 측면과 관련하여 청각장애의 종류와 분류, 사용 중인

청각 보조 장치의 종류, 그들의 개인적 배경 및 선호도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난다(Davis, Gfeller, Thaut, 2002, 김희선, 2003에서

재인용).

청각장애의 분류에 의하면, 감각신경성 청각 장애인은 주파수가

낮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으며, 이들은 일반인의 말소리 주파수인

250Hz~4,000Hz의 소리들보다 낮은 베이스와 바리톤 음역에 해당

되는 음의 낮은 악기들의 소리를 더 잘 지각할 수 있다. 또한 경도

에서 중등고도 청각장애인은 그들의 잔존청력을 통해 음악을 즐길

수 있는데 반대로, 고도, 혹은 최고도의 청각장애인들은 리듬의

박자 또는 비교적 시끄럽게 연주되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 외에는

음악을 거의 지각하지 못한다. 이들에게는 선율과 화성을 강조한

음악보다는 강한 리듬과 박자를 가진 음악이 좀 더 쉽게 지각되고

감상될 수 있을 것이다(Darrow, 1987; Korduba, 1975, 김희선,

2003에서 재인용).

음악 지각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소는 청각장애인의 개인적

배경 및 선호도이다. 성인기가 지난 후에 청력을 상실한 경우와

선천성, 언어적 청각장애를 입은 경우는 선호도와 음악적 배경에 큰

차이를 보인다(Gfeller, 1997, 김순연, 2005에서 재인용). 또한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들처럼, 특수 청각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청각장애인들도 악기나 음악 스타일에 대해 나름대로의 선호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Gfeller, Witt, 1997, 김희선, 2003에서

재인용).

Page 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

3) 청각장애인의 발성 특성과 가창교육의 중요성

청력은 언어 습득에 가장 기본이자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정상아는 항상 무의식적으로 언어를 듣고 반복하여 상대방의

언어를 모방하고 자율적으로 조절하지만,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아의

경우는 이러한 청각적인 모방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없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는 자율 자극 기제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언어의

멜로디와 리듬 요소들의 파악과 표현을 할 수 없게 된다(Fabegat,

Gougeud, 1979). 예로, Bernsteine & Tigerman(1985)은 옹아리

단계(출생 후 4개월)에 있는 농아동과 일반아동의 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의 발성이 점점 증가하는데 비해 농아동의 발성은

점점 감소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Darrow(1986, 1988)는

실험을 통해 일반적으로 청각장애 아동들의 노래 음성의 평균

범위는 매우 작으며, 중심선이 매우 낮고, 음고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대화 시에는 일반인들에 비해 높은 기본 주파수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고 하였다. Angelocci(1964)는 음색의 변형실험 통해

음색 그래프에 따라 그 손상 정도는 다르고, 고 주파수 난청은

목소리가 목쉰 소리가 나거나 혹은 흐리며, 마찰음의 발음에

어려움을 겪거나 목소리의 크기가 잘 조절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감정이나 말의 내용과 목소리의 크기가 연결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청각장애인들의 또 다른 발성 특징 중에 하나는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경우 음절의 길이는 각 음소마다 평균 67msec가 걸리나,

청각장애아의 경우는 리듬이 깨어져서 지연되고 불규칙 적이고,

흔히 아동의 발음은 비정상적이며, 길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Febegat, Goueud, 1979).

이렇듯 청각장애인들은 대화 시에는 평균음역범위가 좁으며,

음고의 변화가 거의 없고 목소리 크기를 조절하기 힘이 드는 등

여러 발성 특징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청각장애인들에게

청력 및 의사소통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청각장애인들에게 음악을

가르친다면 이는 즐거운 예술 형태가 될 뿐 아니라 치료를 위한

뛰어난 수단이 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노래 관련 활동을 통해 구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이 자유발성을 할 때

목소리의 사용을 늘린다거나 혹은 말소리의 패턴에 대한 인식의

증가, 말소리의 리듬․음정․억양이 좀 더 자연스럽게 되는 것 등

Page 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

구어-언어 병리학자가 지적한 소리 생성의 다른 측면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유발성과 음성모방은 노래 관련 활동을 통해

촉진시킬 수 있으며, 자기의 목소리를 탐색하고 실험해보는 일은

보다 나은 어성을 내기 위한 첫걸음이 된다. 특히 청각장애인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현상 중에서 언어에 운율이 없고, 음역의 폭이 좁아

억양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현상 역시 다양한

음악수업을 통해 자신의 고정되어 있던 음역이 확대되고, 노래

부르는 능력이 향상되며, 빠르던 말의 속도가 느려지는 등 긍정적

변화를 주기도 한다(강수경, 2006). 그러므로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창교육은 자신의 목소리를 탐색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던

음역을 확대시키고 더 나아가 자유발성을 촉진시켜 언어를 발달

시킬 수 있다.

4) 청각장애학교의 음악교육 과정과 실태

(1) 청각장애학교의 음악교육 과정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 35호로

고시된 제 1차 교육과정 이후에 모두 일곱 번 개정되어 지금은 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제 1차

교육과정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제정

되었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순으로 제정되어 오다가 1989년

4개영역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발전하였다. 지금은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같이 7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실제 청각장애

학교의 교육과정은 1차 교육과정 이후 4번 개정되어 5번째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별로 시간배당은 다소 차이가

나지만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청각장애학교에서도 음악교과를 정규

수업시간에 지도해 왔다. 교육과정의 내용면에서 4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가창학습은 원만히 이룰 수 없으므로 음악적

감각을 리듬 표현에 중점을 두고, 특히 기본적인 생활 리듬을

다양한 신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음악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선율보다는 리듬의 표현이나 가사의

정확한 발음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기악은

주로 리듬 악기 위주로 하고 음악 감상, 창작 활동, 청음의 내용은

Page 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

극소화 시키고 있으며, 청능 훈련기재(음악 증폭기기, 전동기기,

진동기기, 음압의 변화를 알려주는 소음계 및 기다 기재)및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제 7차 교육

과정부터는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학교

와 동일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김순연,

2005).

제 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1998)을 살펴보면, 초․중등 교육법 제

5~9조에 의거하면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자는 물론, 특수학교 및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등에

취학중인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하여 편성,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

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 목표면

에서 장애 영역별․학교 급별 교육 목표를 크게 (1)정신지체, 정서

장애학교 교육목표, (2)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부자유 학교의 교육

목표로 대별하여 제시하고 있다. 특징은 교육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인 학생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며, 학생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 수준별 교육과정과 학생

선택 과목을 개설하도록 조치하고 수준별 교육과정의 형태는

단계형, 심화 보충형, 선택형을 두어 과목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달리하도록 하고 있다(권은영, 2005).

(2) 청각장애 음악교육의 실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악과 교육의 성격은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하지만 많은 청각장애학교의 음악교육 실태 조사에

따르면 현재 음악교육과정 목표는 동떨어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전문특수음악교사와 수업시간, 특수교재와 교구의 부족 등으로

많은 청각장애학생들이 학교에서 음악을 즐기고 배우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선 첫째, 음악교사의 전문성 문제이다.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평소 음악을 좋아하고 즐기며 자신의 내면

Page 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

세계를 음악활동으로 표현․표출하고 싶어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창의력과 재능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전문

교사의 부족으로 많은 학생들은 자신들의 음악적 문제점을 교사와

학교에 대한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교재와 교수법 활용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 결여를 문제점으로 들었으며, 교과 전문성이

떨어지는 이유 중에 하나로, 교재 개발 및 활용 능력부족을 들었다.

그리고 음악과 성취 수준을 저해하는 요인 중에 하나는 교사의

전문성 부족이며, 이는 음악과 학습지도와 관련된 연수 기회로

보완해줄 수 있다고 본다(권은영, 2005; 김순연, 2006).

둘째, 음악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적 환경의 문제를 들고 있다.

청각장애학생의 음악교육에 있어서 특수한 교육자재와 자료가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어려움과 시설 미비, 그리고

교사의 능력의 한계로 인해 현실적으로 비치가 어려우며, 그 이용

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권은영, 2005). 그렇기 때문에

많은 교사들은 청각장애 학교 음악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습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지적

했고, 음악적으로 청각장애를 고려해서 고안된 교재, 교구가 가장

필요한 자료라고 밝혔다(김순연, 2006).

마지막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음악수업의 부족한

시수를 들을 수 있다. 현재 청각장애학교는 일반 학교 교육과정을

사용하고 있는데,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있어서

청각장애 학교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기에 음악

교과의 특성상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음악활동과 태도에 관한 목표와

학년 지도 내용은 구체화되거나 수정․보완 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다(김순연, 2006). 또한 음악시간을 따져보면 중학교 1학년은

주당 2시간, 중학교 2,3학년은 주당 1시간 밖에 되지 않는데,

이렇게 짧은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음악적 활동을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특히 음악교과는 청각장애 교육에 있어서 기본

적으로 필요한 ‘발성’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교과라고 할 수

있는데 유치부나 초등 저학년에서는 발성을 중심적으로 다루지만

중등부가 되면 발성보다는 학습적인 면에 치중하게 된다. 그러다

보면 발성에 있어 소홀하기 쉬우며, 이는 노래 관련 활동을 통해

말소리의 리듬․음정․억양이 좀 더 자연스럽게 될 수 있는 기회와

보다 나은 구어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없애는 것이

Page 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

된다(장경화, 2006; 강수경, 2006).

그러므로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음악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청각장애학생의 효율적인 음악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교사 배치, 현직교사의 재교육 기회제공, 조기교육 지원

방안, 그리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치 등에 관한 정책적 연구와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과 교육과정의

재편성 및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권은영, 2005).

더불어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습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과

음악적으로 청각장애를 고려해서 고안된 교재․교구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음악과 지도에 필요한 연수는 음악과 자료

제작 및 활용 방법, 음악교과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청능 훈련,

음악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중요하다(김순연, 2006).

5)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악교육방법 고찰

일찍이 1세기경 로마에서는 청각장애아 교육에 있어서 음악적인

청각자극을 이용하여 음을 확대시키는데 트럼펫을 사용하였으며,

프랑스의 Jean-Itard는 최초로 청각을 이용한 청능훈련을 실시

하였다. 그는 6명의 고도 난청아동에게 종, 드럼, 플룻 같은

자극제를 제공하고 소리를 반복시켜 일관성 있게 지속적으로 들려

주면 들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1802년 초에 청능 훈련의

기초를 확립하고 청각이용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1848년

Turner는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음악적 가치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S.J. Monro는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리듬 연구를 하였는데 리듬을

통하여 몸동작, 휴식, 발음, 말(언어)의 과정을 익힐 수 있다고

하였다. Brick(1973), Edwards(1974) Robbins and Robbins

(1980), Swiko(1974)등은 청각장애 아동들의 리듬 감각을 증진

시키고 소리의 즐거운 측면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극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Datillo(1953), De Berruecos(1967),

hummel(1971), McDermott(1971)등에 의하면 청각장애 아동들

에게 실시되는 집단 음악활동의 장점으로 집중력 향상, 자기 통제,

정신 운동교육, 자아상 증진, 협응능력 증진, 언어 산출 증가 등을

밝혔다(김순연, 2005).

Page 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

이러한 청각장애 아동들을 위한 음악교육과 더불어 현재에는

20세기 유럽의 대표적 음악 교수법인 달크로즈 교수법, 코다이

교수법, 그리고 오르프 교수법 등을 이용하여 교육하기도 한다. 이

교수법들은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아시아 등 세계 전역에 걸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도 각 교수법들의 전문가들에 의해

발전되어 가고 있다(권덕원 외, 2006).

본 논문에서는 유럽의 대표적 음악 교수법인 코다이 교수법을

응용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음악교육기초(권덕원 외, 2006)에 설명

되어 있는 그의 교수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헝가리의 작곡자이자 음악교육가인 코다이(Zoltan Kodaly, 1882

-1967, 헝가리)는 음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는

모든 인간이 글을 읽고 쓰듯이 음악을 읽고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의 교수법적 특징은 악보읽기와 기보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또한 악보 읽는 것을 노래로 불러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인간이 내는 소리라고

믿었던 그의 철학에서 나온 것이다.

코다이 교수법은 원래 코다이가 독자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프랑스의 슈베(Cheve, 1804-1864)가 사용한 리듬읽기 지도와

영국에서 1840년부터 사용하던 주음솔파체계(Tonic sol-fa

System)를 사용한 커웬(J.Curwen)의 손기호에 의한 선율 읽기

지도를 종합하여 지도법을 만들어 냈다.

코다이 교수법의 특징은 크게 리듬읽기(Rhythm syllables)와

이동do법(Tonic sol-fa)과 손기호(Hand signs)를 들을 수 있다.

리듬읽기(Rhythm syllables)는 슈베에 의해 고안된 것을 적용한

방법으로 리듬음절 읽기는 리듬을 처음 학습할 때부터 사용한다.

음표를 처음 사용할 때는 머리가 없이 기둥만을 사용하여 음절로

읽는다. 리듬의 개념 및 표기는 다음 그림과 같다.

Page 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5

<표 2> 코다이의 리듬읽기

번호 완전 기보 리듬 기보 리듬 음

(코다이)

장단식 구음

(우리나라)

1 ta 딱/따

2 ti-ti 다다

3 ti-ri-ti-ri 더러러러

4 ti-ta-ti 다따 라

5 tai-ti 따-다

6 ti-ri-ti ta 뜨르다 딱

7 ti-ti-ri ta 다라라 딱

8 trip-le-ti ta 더러러 딱

9 tim-ri/ti-rim 따르/르따

10 ti-tai 다따-

11 ta-a 따-

12

ta-a-a 따--

13 ta-a-a-a 따---

코다이 교수법은 계이름읽기를 위하여 음절(do, re, ml, fa, sol, la,

ti, do)과 손기호(Hand signs)를 사용한다. 음절의 첫 글자를 사용

하여 쉽게 계이름을 읽으며 계이름과 음의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손기호를 사용하여 학생들은 쉽게 가락학습을 하게 된다. 음절

읽기와 손기호는 내청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Page 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6

<표 3> 코다이의 손기호

계이름 손기호 모양 계이름 손기호 모양

Fa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한다. Do’

머리 위에서

팔을 올리고

주먹을 쥔다.

Mi

가슴 높이에

서 편평하게

한다.

Ti

머리 위에서

별을 가리키

듯 둘째손가

락을 세운다.

Re

손끝을 위로

하여 비탈지

게 한다.

La

고양이가 발

을 구부리듯

손등을 세운

다.

Do

허리 높이에

서 주먹을 쥔

다.

Sol

눈높이에서

눈을 가리듯

손을 세운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절대음을 기준으로 한 고정do법이 아닌

이동do법을 따르기로 하였기 때문에 이동do법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였다. 이동do법은 조성에 따라 으뜸음의 위치가 달라지며 그

음을 기준으로 각 음을 계이름으로 부르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동do법은 조성 속에서 기능을 지니며 절대적 음높이를 지니지

않는다. 이것은 귀도 다레쪼(Guido d'Arezzo, 990-1050)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그 후 죤 커웬(J.Curwen,1816-1880)에 의해 수정

되고 발전 되었다. 음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절대음을 배우기 전부터

시창하는 법을 가르쳐 주고 조의 특성을 알아내거나 음악적 화성

구조 등의 내면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데 의의를 둔다

(마효경, 2007).

Page 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7

2. Praat의 유용성

1) ICT의 활용성

ICT란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약자로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의 합성어로 정보 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간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ICT 활용교육이란 각 교과의 교수-학습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ICT를 교과과정에

통합시켜 활용하는 교육이다. 최근 그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는 ICT 활용교육은 일반교육에 비하여 오히려 재활공학의 활용

이라는 공학적 측면에서 특수교육에서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으며,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은 이미 그 중요성이 일찍부터

증명되어 의료재활 분야와 함께 ICT의 초기부터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다.

특수교육 대상자들에게 ICT의 교육활용은 시공간의 제약과

교육적 방법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그들에게 다양한

교육적 기회의 확대 및 삶의 기회를 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며, 신체장애

혹은 감각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및 생활에

대한 물리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 즉, 가상현실 기술 등을

활용하여 직접 경험해 보기 어려운 상황을 간접 경험하게 하는 것

등은 물리적 환경의 제한을 극복하게 도와준다. 또한 ICT의 활용은

정신지체 학생들을 비롯하여 인지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인지적 영역의 접근을 가능하게 해 주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박미혜, 2006).

오늘날에는 오디오, 비디오,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등 음악교과에서도 많이 이루지고 있다.

특히 ICT를 이용하면 가르치고자 하는 음악적 내용을 쉽게 전달할

수 있고, 반복연습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

한다. 그리고 동시에 보고 듣는 것을 제공하며,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 더불어 교사의 음악적 기능을

Page 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8

보완해 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에 일반화 되어 있는 컴퓨터를 음악과 관련하여 이용한다면,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들에게 다양한 교육적 기회의 확대 및 삶의 기회를

열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음악이라는 교과의 특성상 아무리 전자매체가 발달하고

그것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높다고 하더라도 음악과가 지향하는

바와 목적이 있으므로 그 목적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하지만 청각 장애아들에게 있어서 신체적 결함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ICT의 활용이라고 생각되며, 이는 음악과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지 음악 그 자체가 되지 못함을 먼저

알아야 한다.

2) 시각적 기기를 이용한 피드백

청각장애인들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함으로 인해 자신의 말소리를

듣고 수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다른 감각을 이용해서 자신의

문제를 직접 확인하여 왜곡되거나 잘못 습득된 말소리의 분절적인

오류와 초분절적인 오류를 변별하여야 한다(어수지, 2005).

Wolf(1943)는 손상된 감각을 대신하여 남아있는 감각의 사용에

대해 동물들의 청력이 상실되었을 경우 신호가 불빛으로 주어졌을

때 음식을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1930년

대부터 청각장애인의 보충피드백에 대한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안

되었는데 Hudgins(1935)는 고도난청아동은 청각을 통해서 모방

행동을 할 수 없으므로 언어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시각이나 촉각을

통한 보충 피드백이 필요하다 하였다. 그리고 Houde(1980)는

신호의 복잡성이나 시각적 인지의 한계성 때문에 아동을 비롯한

성인들의 동기유발 효과와 장기적인 훈련효과를 나타내는 데

시각적 기기의 가치가 제한 받고 있다고 하더라도 청각장애인들

에게 있어서 시각적 훈련기기는 분석적인 훈련과 동기유발로

치료사가 청각장애인의 문제 해결에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후, Ryalla, Cloutier(1991)는 청각장애인은 청각적인

피드백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거나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Page 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9

청각적인 장애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감각기관의 활용이

필수적이며, 그 가운데 특히 시각적인 단선의 활용은 기본주파수

훈련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훈련방법이 된다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발성과 함께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흥미로운 훈련과정이 되고 동기유발이 주어지

므로 훈련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어수지, 2005).

3) Praat 기능

본 논문에서 사용할 Praat는 Amsterdam 대학의 Paul Boersma

가 개발한 음성분석 도구로서 음성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으로써, 피치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음절을

비롯하여, 단어, 문장에서의 음성의 강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리의 길이, 크기, 고저 등도 알 수 있는 음성분석

프로그램이다.

Praat는 피치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음절을

비롯하여, 단어, 문장에서의 음의 강도와 음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발어의 길이, 크기, 고저 등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도의 청각장애아들은 Praat를 통해 시각적으로 자신의 목소리의

크기, 고저, 길이를 주파수와 도표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Praat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아들의 발성과 음정 및 리듬 등을 평가,

분석하여 학습에 활용한다면 보다 나은 음악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언어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표 4> 음의 진동수

음이름 도-레 레-미 미-파 파-솔 솔-라

여자(진동수차이) 32 36 19 43 48

남자(진동수차이) 16 18 10 21 24

Page 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0

[그림 1] 성인 여성이 발성한 <솔파미레>의 파형과 피치 분석

[그림 2] 실험대상A가 발성한 <솔파미레>의 파형과 피치 분석

[그림 1]은 성인 여성이 발성한 <솔파미레>이다. [그림 1]을

분석해 보면, 성인여성이 음을 일정하게 길게 유지하고 있으며,

발성도 고르고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음이 정확히 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청각장애 학생이 발성한 [그림 2]를

분석해 보면,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나 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대부분 음의 끝부분이 계속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의 높낮이 구분이 잘 안 되며, 발성도

처음부분만 제외하고 대부분 작게 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1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 대상자 4명은 현재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학생들로, 대상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표 5>와

같다. 대상자들은 보청기와 인공와우시술을 통하여 보정청력이

중등고도 난청(56~70dB)정도로 의사소통은 주로 수화나 구화로

하며, 큰 소리로 이야기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표 5>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 성별 학년 좌(보정청력) 우(보정청력)

A 여 고등학교2학년 95dB(53dB) 105dB(65dB)

B 여 고등학교2학년 70dB(65dB) 72dB(70dB)

C 남 고등학교2학년 54dB(40dB) 115dB(無)

D 남 고등학교2학년 94dB(70dB) 118dB(無)

2. 연구기간

본 연구는 2008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8차시 동안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그리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주 1회

컴퓨터실에서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7차시 동안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8차시에는 가창과 관련된 기초

질문들과 실험에 대한 견해로 나눠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Page 4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2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청각장애 학생들의

가창(특히 음에 대한 인지능력발달)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써, 종전 선행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주로

리듬위주의 연구를 한 것에 반해 본 실험은 리듬보다는 음 인지에

대한 향상 정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발성과 음악 수준을 고려해서 간단한 리듬과 음의

도약이 크지 않은 동요 <작은별>을 실험제재곡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통해 음 인지에 대한 향상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차시 동안 이루어졌으며, 1차시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주 1회 컴퓨터실에서 30분 동안 본 검사자와 개별지도를 갖은

다음, 개인별로 30분씩 Praat로 연습한 뒤, 해당 차시에 학습한

부분에 대해 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검사는

7차시 동안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했으며, 마지막 8차시에는

가창과 관련된 기초 질문들과 실험에 대한 견해로 나눠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실험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리듬연습은 코다이 교수법 중 슈베에

의해 고안된 것을 적용한 방법으로 리듬음절 읽기(4분음표는 타,

2분음표는 타안)로 지도하였으며, 손뼉 치기와 음성을 통해서

신체를 이용한 리듬연습을 하였다. 실험지도의 예로, PPT화면을

보면서 실험제재곡 a부분에 나오는 리듬을 손뼉을 치면서 한

음절로 따라 연습한다. 왼손으로(엄지=하나/ 검지=둘/ 중지=셋/

약지=넷) 박자를 세면서 연습한 후에 연습한 리듬이 정확한지

Praat로 녹음하고 확인한다(Praat에 나타나는 선의 길이로 확인할

수 있다).

음정은 진동수로 표현하여 실험대상자들에게 알려준 후 Praat에

나타난 진동수의 차이를 보고 자신이 부른 음정의 진동수와 비교

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로, a부분에 나오는 음정들의

진동수를 Praat화면으로 보면서 연습하였고, 또한 상반신을 이용

하여(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오른손으로 음의 위치를 짚으면서 음고를 익혔다.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진동수 표와 비교하며

Page 4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3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갔다.

음정 연습 시, 고정도법이 아닌 이동도법을 응용한 이유는 실험

대상자들에게 절대음감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도-솔’이라는 음의 차이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보다 쉽게 어느

음에서부터든지 자유롭게 노래 부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악보에 익숙하지 않은 실험대상자들의 음정 연습을

위해 코다이의 손 기호를 응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실험대상자들이

코다이의 손 기호를 어려워했기 때문에 손 기호 대신 상반신

(허리부터 머리까지)을 나눠서 허리를 도, 가슴을 레, 어깨를 미,

턱을 파, 눈을 솔, 머리를 라로 지정하고 음정연습을 하였다.

실험제재곡 <작은별>곡의 구성은 a/b/a’(앞부분 a와 구분하기

위해 뒷부분 a를 편의상 a’로 표기함)로 작은 세도막 형식이며,

a/b/a’에서 처음과 끝은 동일하기 때문에 a와 b부분만 연습하였고,

b는 a리듬과 동일하기 때문에 리듬 연습도 a부분만 하였다. a부분

연습에서는 a부분에서 나오는 음정연습과 a부분을 계명으로 부르는

연습, 그리고 가사를 넣어서 부르는 연습을 하였다. b부분에서는

b부분에 나오는 음정연습과 b부분을 계명으로 부르는 연습, 가사를

넣어서 부르는 연습을 하였다. 단, b부분의 음정이 a부분과 겹쳐

지는 부분은 연습에서 제외시켰으며, 연구 결과에서도 제외시켰다.

실험진행 순서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6> 연구내용

차시 연 구 내 용

1 <작은별> 독보연습 및 Praat사용법 설명과 사전검사

2 a부분 리듬/ 음정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3 a부분 계명창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4 a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5 b부분 음정과 계명창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6 b부분 계명창과 가사 연습과 전체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7 <작은별>사후검사

8 실험 대상자와 인터뷰

Page 4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4

4. 검사도구

실험대상자들이 부른 음정이나 노래를 Praat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화면처럼 나타난다. 다음 표는 ‘도-솔’ 음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처음 나타난 선의 값이(262.37) ‘도’이며, 그

다음 선의 값(392.58)은 ‘솔’을 가리키고, 선의 길이는 부른

음의 길이를 나타낸다. 두 음의 값의 차이를 계산하면 130.21로써,

도에서 솔의 음 간격은 130이므로 ‘도-솔’ 음정을 정확하게

불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3] 도의 진동수

[그림 4] 솔의 진동수

Page 4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5

<표 7> 음의 진동수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실험 대상자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연습하면서 본인이 부른 음의

정확도와 리듬의 길이를 확인하며 고쳐나갈 수 있다. 또한 본

실험도 이러한 방법으로 실험대상자들의 가창의 향상 정도를 검사

하였다.

5. 분석방법

분석 방법은 실험대상자들이 사전, 사후검사에서 부른 음정과

계명창, 가창을 각각 Praat로 음의 차이 값을 측정한 후, 정확한

음의 진동수와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냈다.

다음은 예로 실험대상A가 부른 음정(솔-파-미-레)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표 7> 음의 진동수를 보면, 도-솔의 진동수

차이는 130이고, 솔에서 파의 음정 차이는 43이므로 파의 값을

87로 나타냈다. 그리고 파-미의 차이는 19이므로 미의 값을 68로

나타냈고, 미-레의 차이는 36이므로 레의 값을 32로 나타냈다.

다음으로 실험대상A가 부른 음정의 값을 Praat로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에서 파가 솔보다 7만큼 높게 측정되어서

137이라고 나타냈으며, 미는 파보다 23만큼 낮게 측정되어서 114

로 나타냈다. 그리고 레는 미보다 5만큼 높게 측정되어서 119로

나타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나타낸 결과, <표 8>

과 같이 보여줄 수 있으며, 이를 다시 [그림 5]와 같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Page 4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6

<표 8> 실험대상A 솔-파-미-레

솔 파 미 레

Ideal 130 87 68 32

Before 130 137 114 119

After 130 84 75 41

[그림 5] 실험대상A 솔-파-미-레

일반적으로 절대음감자가 음의 오차를 느낄 수 있는 범위는

절대음에 대해 20%의 오차를 허용하는 범위로써, ±5Hz정도 해당

한다(백호현, 2011). 그러므로 음정이 +5Hz이상의 변화가 있으면

음정이 상행하였음(U : up), 5Hz이하의 변화가 있으면 음정이

하행하였음(D : down)이라고 정하였다. 그리고 +5Hz에서 5Hz

사이의 변화는 음정을 유지함(S : sustain)이라고 정하였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음정변화 음정변화 총점

만약 이면

그렇지 않고 이면

그렇지 않으면

음정변화 점수 만약 이면 그렇지 않으면 음정변화 총점

음정변화 인지도 음정변화 점수

음정변화 총점

여기서 은 측정된 음정 값이고 은 정확한 음의 진동수

(Ideal)에 대한 음정변화이고, 은 사전검사(Before) 또는

20

70

120

170

솔 파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4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7

사후검사(After)에 대한 음정변화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표 8>의

측정에 대한 음정 변화를 나타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9> 실험대상A 솔-파-미-레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U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표 9>를 보면, 실험대상A가 부른 음정이 +5Hz이상 변화가

있으면 음정이 상행하였음(U)으로 표시하고, 5Hz이하의 변화가

있으면 음정이 하행하였음(D)이라고 표시하였다. 그리고 정확한

음의 진동수(Ideal)의 방향과 동일할 때마다, 1점을 부과하였다.

예를 들어 <표 9>를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 실험대상 A는 파-미

에서만 음정의 방향이 정확한 음의 진동수(I)의 방향과 동일하게

하행 하였으므로 1점을 부과하였다.

또한 음정변화 인지도는 사전 혹은 사후검사에서 얻은 음정

변화점수를 음정변화 총점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비율이다.

예를 들어 <표 9>에서 사전검사를 살펴보면, 음정(솔-파-미-레)

사전검사에서 얻은 1점을 음정변화 총점인 3점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하면 33.3%가 나온다. 즉, 33.3%는 실험대상A가

사전검사에서 받은 점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실험대상이 Praat를 사용하기 전과 후의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확한 음의 진동수(I)와 사전(B), 사후검사 음정

진동수(A)의 상관관계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비교하였다.

상관관계계수(r)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표 8>의 측정값에 대한 사전검사 음정 진동수의 상관관계계수

와 사후검사 음정 진동수의 상관관계계수

를 구하면 , 가 된다.

이와 같이 상관관계계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Page 4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8

같은 값이 나오는데, 양의 상관관계계수로써 1에 근접할수록 정확한

음의 진동수(I)와 상관관계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관관계계수가 -1에 근접한 음의 상관관계인 경우, 실험대상이

원래 음과 다르게 반 진행, 즉 반대방향으로 부르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후검사의 상관관계계수가 사전검사의 상관관계계수보다

1에 더 가까우면 향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Page 4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29

IV. 결 과

본 연구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청각장애 학생들의 가창

(특히 음에 대한 인지능력발달)능력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써, 종전의 선행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주로 리듬

위주의 연구를 한 것에 반해, 본 실험은 리듬보다는 음 인지능력에

대한 향상 정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는 리듬, 음정, 계명창, 가창으로 구분하고, 실험대상자

별로 정확한 음의 진동수, 사전검사, 사후검사로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냈다. 그리고 실험결과 마지막에 각각 실험대상자들의 음정변화

점수와 인지도를 도출하고, 정확한음의 진동수 대비 사전, 사후검사

값의 상관관계계수를 계산하였다.

1. 리 듬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사후검사 전에 코다이 교수법을 이용해서

[그림6]과 같이 4/4박자의 개념과 실험제재곡 <작은별>리듬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30분 개별지도 연습 후 사후검사를

실시 하였다.(실험 지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 참고)

실험제재곡 <작은별>은 작은 세도막형식으로 [그림7]의 리듬이

3번 반복된다. 그러므로 [그림7]리듬에 대해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대상자 별로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4분음표(1박 ∨) =

2분음표(2박 ∨∨) =

타아

Page 4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0

[그림 6] 4분음표와 2분음표 리듬 읽기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그림 7] <작은별> 리듬 읽기

1) 실험대상A 리듬검사

[그림 8] 실험대상A 리듬 사전검사

[그림 9] 실험대상A 리듬 사후검사

실험대상A는 [그림 8]과 같이 사전검사에서도 정확한 리듬감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중간부분에서는 시작과 끝부분에서와 다르게

발성이 작아졌고, 전체적으로도 발성이 고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림 9]에서처럼 사후 검사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더 크고

고른 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리듬도 4분음표와 2분음표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5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1

2) 실험대상B 리듬검사

[그림 10] 실험대상B 사전검사

[그림 11] 실험대상B 사후검사

[그림 10]을 보면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에서 작고 고르지 못한

발성을 보이고, 또한 4분음표와 2분음표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림 11]에서와 같이 사후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발성이 커졌으며, 또한 고른 발성을 보인다. 그리고 사전검사에서는

음표의 구분이 없었던 것과 다르게 사후검사에서는 4분음표와 2분

음표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실험대상C 리듬검사

[그림 12] 실험대상C 사전검사

[그림 13] 실험대상C 사후검사

[그림 12]에서와 같이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결과, 발성이 일정

하지 않고 작으며, 호흡량이 적고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Page 5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2

있다. 또한 4분음표와 2분음표의 구별이 없으며 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림 13]과 같이 실험대상C의

사후검사에서는 발성이 크고 일정하게 나타나며 호흡량도 사전

검사와 비교하여 크게 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4분음표와 2분

음표의 구분도 사전검사 보다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4) 실험대상D 리듬검사

[그림 14] 실험대상D 사전검사

[그림 15] 실험대상D 사후검사

[그림 14]를 보면 사전검사에서 실험대상D는 발성이 매우

약하며, 호흡량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리듬감을

보이고 있지만, 4분음표와 2분음표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림 15]에서와 같이 사후검사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전체적으로 크고 고른 발성을 보이며, 호흡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중간과 끝부분의 2분음표가 육안으로 구별될 만큼 4분

음표와 2분음표의 구분도 사전검사 보다 더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5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3

2. 음 정

실험제재곡 <작은별>에 나오는 음정을 정리하면 (1)도-솔,

(2)솔-라, (3)라-솔, (4)도-솔-라-솔, (5)솔-파, (6)파-미,

(7)미-레, (8)레-도, (9)솔-파-미-레, (10)파-미-레-도 로

구성되어 있다.

<표 10> 실험에 사용한 음정

실험순서 악보

(1) 도-솔

(2) 솔-라

(3) 라-솔

(4) 도-솔-라-솔

(5) 솔-파

(6) 파-미

(7) 미-레

(8) 레-도

(9) 솔-파-미-레

(10) 파-미-레-도

음정 실험은 개인별로 30분씩 지도 후, 30분간 개별 연습을 한

Page 5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4

뒤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제재곡 <작은별>에 나오는

음정을 실험대상 별로 정확한 음의 진동수(Ideal)차이와 사전검사

(Before), 사후검사(After)로 비교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상A

(1) 도-솔

[그림 16] 실험대상A 도-솔

<표 11> 실험대상A 도-솔

도 솔

Ideal 0 130

Before 0 93

After 0 85

<표 12> 실험대상A 도-솔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U 1 10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도 솔

Ideal

Before

After

Page 5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5

(2) 솔-라

[그림 17] 실험대상A 솔-라

<표 13> 실험대상A 솔-라

솔 라

Ideal 130 178

Before 130 132

After 130 177

<표 14> 실험대상A 솔-라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20

140

160

180

200

솔 라

Ideal

Before

After

Page 5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6

(3) 라-솔

[그림 18] 실험대상A 라-솔

<표 15> 실험대상A 라-솔

라 솔

Ideal 178 130

Before 178 142

After 178 161

<표 16> 실험대상A 라-솔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20

140

160

180

200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5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7

(4) 도-솔-라-솔

[그림 19] 실험대상A 도-솔-라-솔

<표 17> 실험대상A 도-솔-라-솔

도 솔 라 솔

Ideal 0 130 178 130

Before 0 27 56 -29

After 0 57 107 54

<표 18> 실험대상A 도-솔-라-솔 음정변화

Ideal U U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D 3 100.0%

After U U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0

0

100

200

도 솔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5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8

(5) 솔-파

[그림 20] 실험대상A 솔-파

<표 19> 실험대상A 솔-파

솔 파

Ideal 130 87

Before 130 118

After 130 97

<표 20> 실험대상A 솔-파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80

100

120

140

솔 파

Ideal

Before

After

Page 5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39

(6) 파-미

[그림 21] 실험대상A 파-미

<표 21> 실험대상A 파-미

파 미

Ideal 87 68

Before 87 86

After 87 77

<표 22> 실험대상A 파-미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60

70

80

90

파 미

Ideal

Before

After

Page 5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0

(7) 미-레

[그림 22] 실험대상A 미-레

<표 23> 실험대상A 미-레

미 레

Ideal 68 32

Before 68 58

After 68 47

<표 24> 실험대상A 미-레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40

60

80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6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1

(8) 레-도

[그림 23] 실험대상A 레-도

<표 25> 실험대상A 레-도

레 도

Ideal 32 0

Before 32 31

After 32 13

<표 26> 실험대상A 레-도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10

20

30

40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6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2

(9) 솔-파-미-레

[그림 24] 실험대상A 솔-파-미-레

<표 27> 실험대상A 솔-파-미-레

솔 파 미 레

Ideal 130 87 68 32

Before 130 137 114 119

After 130 84 75 41

<표 28> 실험대상A 솔-파-미-레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U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70

120

170

솔 파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6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3

(10) 파-미-레-도

[그림 25] 실험대상A 파-미-레-도

<표 29> 실험대상A 파-미-레-도

파 미 레 도

Ideal 87 68 32 0

Before 87 75 72 71

After 87 69 23 12

<표 30> 실험대상A 파-미-레-도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D S S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파 미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6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4

2) 실험대상B

(1) 도-솔

[그림 26] 실험대상B 도-솔

<표 31> 실험대상B 도-솔

도 솔

Ideal 0 130

Before 0 32

After 0 75

<표 32> 실험대상B 도-솔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U 1 10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도 솔

Ideal

Before

After

Page 6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5

(2) 솔-라

[그림 27] 실험대상B 솔-라

<표 33> 실험대상B 솔-라

솔 라

Ideal 130 178

Before 130 155

After 130 174

<표 34> 실험대상B 솔-라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U 1 10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20

140

160

180

200

솔 라

Ideal

Before

After

Page 6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6

(3) 라-솔

[그림 28] 실험대상B 라-솔

<표 35> 실험대상B 라-솔

라 솔

Ideal 178 130

Before 178 174

After 178 139

<표 36> 실험대상B 라-솔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20

140

160

180

200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6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7

(4) 도-솔-라-솔

[그림 29] 실험대상B 도-솔-라-솔

<표 37> 실험대상B 도-솔-라-솔

도 솔 라 솔

Ideal 0 130 178 130

Before 0 55 55 37

After 0 85 105 74

<표 38> 실험대상B 도-솔-라-솔 음정변화

Ideal U U D 점수 인지도

Before U S D 2 66.7%

After U U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200

도 솔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6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8

(5) 솔-파

[그림 30] 실험대상B 솔-파

<표 39> 실험대상B 솔-파

솔 파

Ideal 130 87

Before 130 154

After 130 96

<표 40> 실험대상B 솔-파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U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80

100

120

140

160

솔 파

Ideal

Before

After

Page 6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49

(6) 파-미

[그림 31] 실험대상B 파-미

<표 41> 실험대상B 파-미

파 미

Ideal 87 68

Before 87 104

After 87 56

<표 42> 실험대상B 파-미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U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70

90

110

파 미

Ideal

Before

After

Page 6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0

(7) 미-레

[그림 32] 실험대상B 미-레

<표 43> 실험대상B 미-레

미 레

Ideal 68 32

Before 68 82

After 68 25

<표 44> 실험대상B 미-레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U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40

60

80

100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7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1

(8) 레-도

[그림 33] 실험대상B 레-도

<표 45> 실험대상B 레-도

레 도

Ideal 32 0

Before 32 40

After 32 1

<표 46> 실험대상B 레-도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U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7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2

(9) 솔-파-미-레

[그림 34] 실험대상B 솔-파-미-레

<표 47> 실험대상B 솔-파-미-레

솔 파 미 레

Ideal 130 87 68 32

Before 130 140 132 123

After 130 94 89 62

<표 48> 실험대상B 솔-파-미-레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D 2 66.7%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70

120

170

솔 파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7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3

(10) 파-미-레-도

[그림 35] 실험대상B 파-미-레-도

<표 49> 실험대상B 파-미-레-도

파 미 레 도

Ideal 87 68 32 0

Before 87 91 88 75

After 87 51 18 -2

<표 50> 실험대상B 파-미-레-도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S S D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파 미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7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4

3) 실험대상C

(1) 도-솔

[그림 36] 실험대상C 도-솔

<표 51> 실험대상C 도-솔

도 솔

Ideal 0 65

Before 0 56

After 0 52

<표 52> 실험대상C 도-솔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U 1 10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도 솔

Ideal

Before

After

Page 7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5

(2) 솔-라

[그림 37] 실험대상C 솔-라

<표 53> 실험대상C 솔-라

솔 라

Ideal 65 89

Before 65 73

After 65 94

<표 54> 실험대상C 솔-라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U 1 10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60

70

80

90

100

솔 라

Ideal

Before

After

Page 7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6

(3) 라-솔

[그림 38] 실험대상C 라-솔

<표 55> 실험대상C 라-솔

라 솔

Ideal 89 65

Before 89 -24

After 89 62

<표 56> 실험대상C 라-솔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7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7

(4) 도-솔-라-솔

[그림 39] 실험대상C 도-솔-라-솔

<표 57> 실험대상C 도-솔-라-솔

도 솔 라 솔

Ideal 0 65 89 65

Before 0 34 58 22

After 0 48 63 38

<표 58> 실험대상C 도-솔-라-솔 음정변화

Ideal U U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D 3 100.0%

After U U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도 솔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7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8

(5) 솔-파

[그림 40] 실험대상C 솔-파

<표 59> 실험대상C 솔-파

솔 파

Ideal 65 44

Before 65 63

After 65 51

<표 60> 실험대상C 솔-파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40

50

60

70

솔 파

Ideal

Before

After

Page 7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59

(6) 파-미

[그림 41] 실험대상C 파-미

<표 61> 실험대상C 파-미

파 미

Ideal 44 34

Before 44 26

After 44 29

<표 62> 실험대상C 파-미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30

40

50

파 미

Ideal

Before

After

Page 7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0

(7) 미-레

[그림 42] 실험대상C 미-레

<표 63> 실험대상C 미-레

미 레

Ideal 34 16

Before 34 16

After 34 17

<표 64> 실험대상C 미-레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

20

30

40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8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1

(8) 레-도

[그림 43] 실험대상C 레-도

<표 65> 실험대상C 레-도

레 도

Ideal 16 0

Before 16 -3

After 16 -4

<표 66> 실험대상C 레-도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

0

10

20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8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2

(9) 솔-파-미-레

[그림 44] 실험대상C 솔-파-미-레

<표 67> 실험대상C 솔-파-미-레

솔 파 미 레

Ideal 65 44 34 16

Before 65 61 75 65

After 65 49 38 24

<표 68> 실험대상C 솔-파-미-레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S U D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솔 파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8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3

(10) 파-미-레-도

[그림 45] 실험대상C 파-미-레-도

<표 69> 실험대상C 파-미-레-도

파 미 레 도

Ideal 44 34 16 0

Before 44 71 72 28

After 44 31 18 9

<표 70> 실험대상C 파-미-레-도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U S D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파 미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8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4

4) 실험대상D

(1) 도-솔

[그림 46] 실험대상D 도-솔

<표 71> 실험대상D 도-솔

도 솔

Ideal 0 65

Before 0 -5

After 0 78

<표 72> 실험대상D 도-솔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D 0 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도 솔

Ideal

Before

After

Page 8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5

(2) 솔-라

[그림 47] 실험대상D 솔-라

<표 73> 실험대상D 솔-라

솔 라

Ideal 65 89

Before 65 63

After 65 84

<표 74> 실험대상D 솔-라 음정변화

Ideal U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U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60

70

80

90

100

솔 라

Ideal

Before

After

Page 8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6

(3) 라-솔

[그림 48] 실험대상D 라-솔

<표 75> 실험대상D 라-솔

라 솔

Ideal 89 65

Before 89 91

After 89 73

<표 76> 실험대상D 라-솔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S 0 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60

70

80

90

100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8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7

(4) 도-솔-라-솔

[그림 49] 실험대상D 도-솔-라-솔

<표 77> 실험대상D 도-솔-라-솔

도 솔 라 솔

Ideal 0 65 89 65

Before 0 -5 6 11

After 0 58 83 54

<표 78> 실험대상D 도-솔-라-솔 음정변화

Ideal U U D 점수 인지도

Before D U U 1 33.3%

After U U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도 솔 라 솔

Ideal

Before

After

Page 8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8

(5) 솔-파

[그림 50] 실험대상D 솔-파

<표 79> 실험대상D 솔-파

솔 파

Ideal 65 44

Before 65 56

After 65 48

<표 80> 실험대상D 솔-파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40

50

60

70

솔 파

Ideal

Before

After

Page 8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69

(6) 파-미

[그림 51] 실험대상D 파-미

<표 81> 실험대상D 파-미

파 미

Ideal 44 34

Before 44 28

After 44 26

<표 82> 실험대상D 파-미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30

40

50

파 미

Ideal

Before

After

Page 8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0

(7) 미-레

[그림 52] 실험대상D 미-레

<표 83> 실험대상D 미-레

미 레

Ideal 34 16

Before 34 29

After 34 15

<표 84> 실험대상D 미-레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

20

30

40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9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1

(8) 레-도

[그림 53] 실험대상D 레-도

<표 85> 실험대상D 레-도

레 도

Ideal 16 0

Before 16 -3

After 16 -4

<표 86> 실험대상D 레-도 음정변화

Ideal D 점수 인지도

Before D 1 100.0%

After D 1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

0

10

20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2

(9) 솔-파-미-레

[그림 54] 실험대상D 솔-파-미-레

<표 87> 실험대상D 솔-파-미-레

솔 파 미 레

Ideal 65 44 34 16

Before 65 62 63 60

After 65 48 35 25

<표 88> 실험대상D 솔-파-미-레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S S S 0 0.0%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10

30

50

70

솔 파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9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3

(10) 파-미-레-도

[그림 55] 실험대상D 파-미-레-도

<표 89> 실험대상D 파-미-레-도

파 미 레 도

Ideal 44 34 16 0

Before 44 57 38 39

After 44 36 18 -3

<표 90> 실험대상D 파-미-레-도 음정변화

Ideal D D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S 1 33.3%

After D D D 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20

0

20

40

60

파 미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4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91> 음정실험 음정변화 인지도

음정실험 실험대상 A 실험대상 B 실험대상 C 실험대상 D

Before After Before After Before After Before After

(1) 도-솔 100% 100% 100% 100% 100% 100% 0% 100%

(2) 솔-라 0% 100% 100% 100% 100% 100% 0% 100%

(3) 라-솔 100% 100% 0% 100% 100% 100% 0% 100%

(4) 도-솔-라-솔 100% 100% 66.7% 100% 100% 100% 33.3% 100%

(5) 솔-파 100% 100% 0% 100% 0% 100% 100% 100%

(6) 파-미 0% 100% 0% 100% 100% 100% 100% 100%

(7) 미-레 100% 100% 0% 100% 100% 100% 100% 100%

(8) 레-도 0% 100% 0% 100% 100% 100% 100% 100%

(9) 솔-파-미-레 33.3% 100% 66.7% 100% 33.3% 100% 0% 100%

(10) 파-미-레-도 33.3% 100% 33.3% 100% 33.3% 100% 33.3% 100%

평균값 56.7% 100% 36.7% 100% 76.7% 100% 46.7% 100%

<표 92> 음정실험 상관관계계수

음정실험 실험대상 A 실험대상 B 실험대상 C 실험대상 D

(1) 도-솔 1 1 1 1 1 1 -1 1

(2) 솔-라 1 1 1 1 1 1 -1 1

(3) 라-솔 1 1 1 1 1 1 -1 1

(4) 도-솔-라-솔 0.46 0.96 0.95 0.99 0.92 0.99 0.33 0.99

(5) 솔-파 1 1 -1 1 1 1 1 1

(6) 파-미 1 1 -1 1 1 1 1 1

(7) 미-레 1 1 -1 1 1 1 1 1

(8) 레-도 1 1 -1 1 1 1 1 1

(9) 솔-파-미-레 0.59 0.99 0.45 0.99 -0.20 1 0.92 0.99

(10) 파-미-레-도 0.84 0.98 0.77 0.98 0.36 0.99 0.59 0.99

Page 9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5

음정실험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실험대상자들은 사후검사에서

음정변화 인지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대상A는 음정

실험에서 음정변화 인지도 평균이 사전검사 56.7%에서 사후 검사

100%로 향상 되었으며,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 36.7%에서 사후

검사 100%로,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76.7%에서 사후검사 100%

로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대상D 또한 사전검사 46.7%에서

사후검사 100%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상관관계계수를 살펴보면, 실험대상D의 음정 (1)~(3)

과 실험대상B의 음정 (5)~(8)에서 상관관계계수가 -1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상행 또는 하행진행의 음정을 반대로 부르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실험대상D는 음정의 상․하행 구분을 정확히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실험대상B 역시 하행하는 음정을 잘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사후검사에서는 모든 실험

대상자들의 상관관계계수가 0.96~1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즉,

사전검사와 달리 사후검사에서는 음정의 상행과 하행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Page 9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6

3. a부분 계명창

1) 실험대상A

[그림 56]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표 93>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 45 69 122 62 -7 2 10 15 12 -20 -39 -38

After 0 -1 79 80 123 124 46 40 39 34 33 -10 -11 -27

<표 94>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U U U D D U U U S D D S 6 46.2%

After S U S U S D D S D S D S D 13 100.0%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150

2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7

2) 실험대상B

[그림 57]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표 95>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7 39 34 45 42 20 27 32 15 7 -3 -9 -11

After 0 1 106 107 123 106 80 57 53 19 19 6 7 13

<표 96>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D U S D U U D D D D S 6 46.2%

After S U S U D D D S D S D S U 11 84.6%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150

2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8

3) 실험대상C

[그림 58]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표 97>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19 41 62 61 35 -1 30 31 32 17 16 1 1

After 0 -1 45 47 61 60 37 35 34 18 20 13 12 5

<표 98>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U S D D U S S D S D S 3 23.1%

After S U S U S D S S D S D S D 12 92.3%

U:상행, D:하행, S:유지

-20

0

20

40

60

80

1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79

4) 실험대상D

[그림 5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표 9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0 1 6 13 24 21 1 10 7 19 3 5 12

After 0 -2 78 83 89 87 73 72 74 56 55 46 49 32

<표 100>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S U U U S D U S U D S U 5 38.5%

After S U U U S D S S D S D S D 11 84.6%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9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0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01> a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46.2% 100.0% 0.808 0.958

B 46.2% 84.6% 0.806 0.948

C 23.1% 92.3% 0.697 0.985

D 38.5% 84.6% 0.523 0.903

a부분 계명창 실험을 분석한 결과,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23.1%에서 사후검사

92.3%로, 69.2%가 향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 46.2%에서 사후검사 100%로, 53.8%가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대상D는 사전검사 38.5%에서 84.6%로,

46.1%가 향상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실험대상B는 46.2%에서 84.6

%로 38.4%가 향상되었다. 모든 실험대상자 들의 음정변화 인지도

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는 평균 50%가 넘는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향상된 변화를 보여준 것과 같이,

상관관계 계수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큰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대상D→C→A→B순으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그

중에서 실험 대상D가 사전검사 0.523에서 사후검사 0.903으로,

0.38이 향상 되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Page 10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1

4. a부분 가창

1) 실험대상A

[그림 60]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표 102>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12 6 -20 19 -23 18 0 4 -37 24 -27 -43 -15

After 0 1 77 78 109 117 86 -16 -19 -17 -14 1 -3 1

<표 103> 실험대상A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D U D U D S D U D D U 5 38.5%

After S U S U U D D S S S U S S 9 69.2%

U:상행, D:하행, S:유지

-100

-50

0

50

100

150

2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0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2

2) 실험대상B

[그림 61]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표 104>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6 -35 -37 -38 -33 -5 -11 -30 -12 0 8 0 16

After 0 4 89 84 111 93 54 46 43 8 10 -2 -1 -7

<표 105> 실험대상B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D D S S U U D D U U U D U 2 15.4%

After S U D U D D D S D S D S D 11 84.6%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150

2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0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3

3) 실험대상C

[그림 62]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표 106>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7 -33 -6 -57 -59 -58 -11 -9 -4 -3 5 1 11

After 0 6 52 48 63 59 40 32 33 24 23 5 0 -6

<표 107> 실험대상C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D U D S S U S U S U S U 4 30.8%

After U U S U S D D S D S D D D 11 84.6%

U:상행, D:하행, S:유지

-100

-50

0

50

1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0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4

4) 실험대상D

[그림 63]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표 108>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22 -5 -18 5 -11 -3 5 -2 -8 -19 -30 -53 -45

After 0 -4 26 32 36 34 7 22 17 16 16 11 10 -1

<표 109> 실험대상D의 <작은별> a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D U D U D U U D D D D D U 4 30.8%

After S U U S S D U D S S D S D 8 61.5%

U:상행, D:하행, S:유지

-100

-50

0

50

1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0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5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10> a부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38.5% 69.2% 0.204 0.816

B 15.4% 84.6% -0.706 0.942

C 30.8% 84.6% -0.875 0.978

D 30.8% 61.5% 0.539 0.887

a부분 가창을 분석한 결과,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 15.4%에서 사후검사 84.6%

로, 69.2%가 향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

대상C는 사전검사 30.8%에서 사후검사 84.6%로, 53.8%가 향상

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B, C가

사전검사에서 사후검사에서의 변화가 각각 -0.706에서 0.942로,

-0.875에서 0.978로 큰 향상을 보였다. 즉, 사전검사에서 -0.706,

-0.875를 보인 것처럼 두 실험대상B와 C는 음이 상∙하행해야 될

부분에서 반대로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의 변화의 차이가 실험대상B, C가 각각 1.648과

1.853으로 큰 변화를 보인 것처럼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제재곡과

거의 비슷한 선율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0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6

5. b부분 계명창

1) 실험대상A

[그림 64]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표 111>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130 192 209 149 200 211 226 173 163 222 232 202 215 229

After 130 126 83 90 51 45 26 108 88 71 58 43 42 33

<표 112>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D U U U D D U U D U U 1 7.7%

After S D U D D D U D D D D S D 9 69.2%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200

250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10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7

2) 실험대상B

[그림 65]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표 113>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130 126 125 161 155 152 155 112 123 133 150 145 153 158

After 130 126 121 118 92 93 69 138 132 112 106 70 71 53

<표 114>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S U D S S D U U U D U U 4 30.8%

After S D S D S D U D D D D S D 11 84.6%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200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10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8

3) 실험대상C

[그림 66]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표 115>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65 87 103 108 110 119 119 87 69 65 88 112 111 119

After 65 65 61 60 43 43 32 74 74 60 61 42 43 27

<표 116>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U S U S D D S U U S U 1 7.7%

After S S S D S D U S D S D S D 12 92.3%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10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89

4) 실험대상D

[그림 6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표 11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65 66 58 51 55 57 52 51 51 62 50 58 58 47

After 65 68 39 40 18 25 17 78 86 48 40 24 22 2

<표 118>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D D S S D S S U D U S D 7 53.8%

After S D S D U D U U D D D S D 10 76.9%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100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Before After

Page 10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0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19> b부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7.7% 69.2% -0.699 0.920

B 30.8% 84.6% -0.805 0.916

C 7.7% 92.3% -0.798 0.945

D 53.8% 76.9% 0.400 0.955

b부분 계명창을 분석한 결과,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7.7%에서 사후검사 92.3%로,

84.6%가 향상되었다,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 7.7%에서 사후검사 69.2%로, 61.5%가 향상되었으며,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 30.8%에서 84.6%로, 53.8%가 향상 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대상D는 53.8%에서 76.9%로, 23.1%가 향상

되었다. 모든 실험대상자들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은 사전검사

23.0%에서 사후검사 80.8%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55.8%로가 향상된 높은 변화를 보였다.

다음으로 상관관계계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A, B, C가

사전검사에서 사후검사에서의 변화가 각각 1.619, 1.721, 1.743의

큰 향상을 보였다. 이는 사전검사에서 -0.699, -0.805, -0.798을

보인 것처럼 실험대상A, B와 C는 대부분의 선율이 불규칙하게

상․하행하고, 실험제재곡과 다르게 부부적으로 반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선율을 거의 인식할 수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모든 실험대상자들의 상관관계계수의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실험대상자들이 실험제재곡과 매우 흡사한 선율흐름을

보여주는 등 전체적으로 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부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1

6. b부분 가창

1) 실험대상A

[그림 68]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표 120>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130 136 164 111 134 170 139 168 151 148 132 106 165 165

After 130 125 61 56 35 26 -4 88 100 68 55 19 23 6

<표 121> 실험대상A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U U D U U D U D S D D U S 3 23.1%

After D D D D D D U U D D D S D 8 61.5%

U:상행, D:하행, S:유지

-50

0

50

100

150

200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2

2) 실험대상B

[그림 69]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표 122>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130 122 140 136 161 163 179 146 132 125 119 164 154 176

After 130 120 105 99 80 79 61 126 129 100 93 50 41 44

<표 123> 실험대상B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D U S U S U D D D D U D U 3 23.1%

After D D D D S D U S D D D D S 8 61.5%

U:상행, D:하행, S:유지

0

50

100

150

200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3

3) 실험대상C

[그림 70]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표 124>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65 69 43 42 29 31 85 47 37 41 62 76 75 89

After 65 65 55 49 37 40 24 63 62 58 53 43 42 22

<표 125> 실험대상C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D S D S U D D S U U S U 6 46.2%

After S D D D S D U S S D D S D 10 76.9%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100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4

4) 실험대상D

[그림 71]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표 126>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65 62 61 71 73 65 74 56 50 52 63 70 71 76

After 65 55 47 44 34 37 4 58 54 47 41 37 27 9

<표 127> 실험대상D의 <작은별> b부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점수 인지도

Before S S U S D U D D S U U S U 2 15.4%

After D D S D S D U S D D S D D 9 69.2%

U:상행, D:하행, S:유지

0

20

40

60

80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5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28> b부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23.1% 61.5% -0.051 0.955

B 23.1% 61.5% -0.781 0.898

C 46.2% 76.9% -0.386 0.961

D 15.4% 69.2% -0.734 0.947

b부분 가창을 분석한 결과,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D는 사전검사15.4%에서 사후검사 69.2%로,

53.8%가 향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

A와 B가 사전검사 23.1%에서 사후검사 61.5%로, 38.4%가 향상

되었다. 다음으로 상관관계계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모든 실험

대상자가 사전검사에서 사후검사의 변화가 각각 -0.051에서

0.955로, -0.781에서 0.898로, -0.386에서 0.961 로, -0.734에서

0.947로 큰 향상을 보였다. 또한 사후검사에서 상관관계계수의

변화가 평균 1.428로, 모든 실험 중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계수의

변화를 보였다.

모든 실험대상자들이 사전검사에서 각각 -0.051, -0.781,

-0.386, -0.734를 보인 것처럼 실험대상자 모두가 b부분 선율의

대부분에서 음이 상∙하행해야 될 부분에서 반대로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전검사와 달리 사후검사에서는 상관관계계수

가 평균 0.940으로 거의 1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6

7. 계명전체

1) 실험대상A

[그림 72]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표 129>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 45 69 122 62 -7 2 10 15 12 -20 -39 -38

After 0 -1 79 80 123 124 46 40 39 34 33 -10 -11 -27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60 -2 -19 41 -10 -21 -36 17 27 32 -42 -12 -25 -39

After 103 99 56 63 24 18 -1 81 61 44 31 16 15 6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4 -26 65 -24 24 41 -12 6 -12 -32 -40 -39 -33 -21

After -21 -18 87 83 159 168 70 19 8 20 21 -26 -30 -15

-100

-50

0

50

100

150

2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7

<표 130> 실험대상A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S U U U D D U U U S D D S U

After S U S U S D D S D S D S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D D U D D D U U U D U D D U

After S D U D D D U D D D D S D D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D U D U U D U D D D S U U

After S U S U U D D D U S D S U

점수 인지도

Before 16 39.0%

After 33 80.5%

U:상행, D:하행, S:유지

2) 실험대상B

[그림 73]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50

0

50

100

150

2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8

<표 131>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7 39 34 45 42 20 27 32 15 7 -3 -9 -11

After 0 1 106 107 123 106 80 57 53 19 19 6 7 13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35 39 40 4 10 13 10 53 42 32 15 20 12 7

After 80 76 71 68 42 43 19 88 82 62 56 20 21 3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28 31 16 20 30 34 37 44 36 35 34 39 38 39

After 2 8 116 106 117 94 71 58 62 32 30 18 26 15

<표 132> 실험대상B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U U D U S D U U D D D D S U

After S U S U D D D S D S D S U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S S D U S S U D D D U D D U

After S D S D S D U D D D D S D S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S D S U S S U D S S U S S

After U U D U D D D S D S D U D

점수 인지도

Before 18 43.9%

After 32 78.0%

U:상행, D:하행, S:유지

Page 1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99

3) 실험대상C

[그림 74]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표 133>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19 41 62 61 35 -1 30 31 32 17 16 1 1

After 0 -1 45 47 61 60 37 35 34 18 20 13 12 5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47 25 9 4 2 -7 -7 25 43 47 24 0 1 -7

After 41 41 37 36 19 19 8 50 50 36 37 18 19 3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11 17 49 49 32 31 6 7 7 4 1 1 2 -7

After 9 10 33 36 46 44 32 33 30 14 14 6 9 -3

-20

0

20

40

60

80

10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0

<표 134> 실험대상C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U U U S D D U S S D S D S U

After S U S U S D S S D S D S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D D D S D S U U S D D S D U

After S S S D S D U S D S D S D U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U U S D S D S S S S S S D

After S U S U S D S S D S D S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17 41.5%

After 37 90.2%

U:상행, D:하행, S:유지

4) 실험대상D

[그림 7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50

0

50

100

150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Before After

Page 1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1

<표 13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0 1 6 13 24 21 1 10 7 19 3 5 12

After 0 -2 78 83 89 87 73 72 74 56 55 46 49 32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1 0 8 15 11 9 14 15 15 4 16 8 8 19

After 105 108 79 80 58 65 57 118 126 88 80 64 62 42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30 23 18 34 50 51 50 16 22 22 29 26 26 30

After 32 33 92 95 89 91 80 88 89 67 69 54 52 21

<표 136> 실험대상D의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S S U U U S D U S U D S U D

After S U U U S D S S D S D S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S U U S S U S S D U D S U U

After S D S D U D U U D D D S D D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D D U U S S D U S U S S S

After S U S D S D U S D S D S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15 36.6%

After 34 82.9%

U:상행, D:하행, S:유지

Page 1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2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37> <작은별> 계명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39.0% 80.5% 0.673 0.934

B 43.9% 78.0% 0.469 0.934

C 41.5% 90.2% 0.650 0.935

D 36.6% 82.9% 0.253 0.848

실험제재곡 <작은별> 계명창을 분석한 결과, 음정변화 인지도 와

상관관계계수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에서 음정변화 인지도가 41.5%에서 사후검사 90.2%로, 48.7%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0.935로, 전체적으로 사전검사보다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전검사에서는 동일 음의 음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음을 잘 조절하지 못해 음이 낮아지는 부분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선율의 흐름을 보였다. 이후, 사후 검사에서는 반복되는

동일 음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음정변화 인지도가

90.2%로 향상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사전 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D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36.6%에서 사후검사 82.9%로, 46.3%가 향상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253에서 사후검사0.848로, 0.595

가 향상되었으며 <작은별> 계명창 실험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계수

의 변화를 나타냈다. 즉, 실험대상D는 사전검사에서는 선율이라고

볼 수 없을 만큼 음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며,

또한 음역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후검사에서는 전체

적으로 선율선이 실험제재곡 보다 높게 나타나고, 반복되는 동일

음이 부분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이탈하기는 하나, 음정변화의

인지도가 82.9%로 향상된 것을 보인 것처럼 전체적으로 선율의

상․하행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대상A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39.0%에서 80.5%로,

Page 1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3

41.5%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후검사 0.934로 높게

나타났다. 사전검사에서 실험대상A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음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음정의 상,

하행을 올바르게 부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후검사

에서는 부분적으로 동일 음이 이탈하기도 하지만, 0.934의 높은

상관관계계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사전검사에서 보다

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부르며, 실험제재곡과 유사한 선율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대상B는 43.9%에서 78.0%로, 34.1%가 향상

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에서 0.469에서 사후검사 0.934

로, 0.465가 향상되었다. 실험대상B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사전

검사에서는 음의 높낮이와 방향이 거의 변화가 없이 노래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후검사에서는 상관관계계수가 0.934

로 높게 나타나고 있듯이 사전검사 보다 전체적으로 선율 흐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특히 하행하는 선율을 잘 인지하고 부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전검사보다 반복되는

동일 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부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4

8. 가창전체

1) 실험대상A

[그림 76]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표 138>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12 -6 20 -19 23 -18 0 -4 37 -24 27 43 15

After 0 1 77 78 109 117 86 -16 -19 -17 -14 1 -3 1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43 37 9 62 39 3 34 5 22 25 41 67 8 8

After 111 106 42 37 16 7 -23 69 81 49 36 0 4 -13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74 -50 5 -55 -9 -52 -29 -55 -48 -41 -30 -38 -4 -30

After -9 -13 95 105 145 141 86 -11 9 -25 4 14 16 11

-100

-50

0

50

100

150

2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5

<표 139> 실험대상A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D U U D U D U S U D U U D U

After S U S U U D D S S S U S S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D D U D D U D U S U U D S D

After D D D D D D U U D D D S D S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U U D U D U D U U U D U D

After S U U U S D D U D U U S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13 31.7%

After 27 65.9%

U:상행, D:하행, S:유지

2) 실험대상B

[그림 77]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100

-50

0

50

100

150

2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6

<표 140>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0 26 35 37 38 33 5 11 30 12 0 -8 0 -16

After 0 4 89 84 111 93 54 46 43 8 10 -2 -1 -7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130 130 87 87 68 68 32 130 130 87 87 68 68 32

Before 53 61 43 47 22 20 4 37 51 58 64 19 29 7

After 78 68 53 47 28 27 9 74 77 48 41 -2 -11 -8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130 130 178 178 130 87 87 68 68 32 32 0

Before -31 -44 -21 -11 -26 -24 -41 -27 -13 -29 -36 -43 -47 -56

After -8 -1 93 92 106 96 61 51 51 31 32 5 14 2

<표 141> 실험대상B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U U S S D D U U D D D U D U

After S U D U D D D S D S D S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U D S D S D U U U U D U D D

After D D D D S D U S D D D D S S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D U U D S D U U D D D S D

After U U S U D D D S D S D U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23 56.1%

After 30 73.2%

U:상행, D:하행, S:유지

Page 1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7

3) 실험대상C

[그림 78]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표 142>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7 33 6 57 59 58 11 9 4 3 -5 -1 -11

After 0 6 52 48 63 59 40 32 33 24 23 5 0 -6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21 17 43 44 57 55 1 39 49 45 24 10 11 -3

After 45 45 35 29 17 20 4 43 42 38 33 23 22 2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17 -6 23 32 39 42 34 -7 0 -2 -6 -7 -16 -24

After 10 12 43 47 62 68 38 30 31 29 27 16 14 2

-50

0

50

1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8

<표 143> 실험대상C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D U D U S S D S D S D S D U

After U U S U S D D S D S D D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S U S U S D U U S D D S D D

After S D D D S D U S S D D S D U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U U U U S D D U S S S D D

After S U S U U D D S S S D S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27 65.9%

After 33 80.5%

U:상행, D:하행, S:유지

4) 실험대상D

[그림 79]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100

-50

0

50

100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Before After

Page 1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09

<표 144>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22 5 18 -5 11 3 -5 2 8 19 30 53 45

After 0 -4 26 32 36 34 7 22 17 16 16 11 10 -1

서 쪽 하 늘 에 서 도 동 쪽 하 늘 에 서 도

Ideal 65 65 44 44 34 34 16 65 65 44 44 34 34 16

Before 66 69 70 60 58 66 57 75 81 79 68 61 60 55

After 57 47 39 36 26 29 -4 50 46 39 33 29 19 1

반 짝 반 짝 작 은 별 아 름 답 게 비 치 네

Ideal 0 0 65 65 89 89 65 44 44 34 34 16 16 0

Before 0 -10 -1 -22 -10 -19 -26 -48 -27 -30 -29 1 14 -3

After 6 11 40 44 58 65 38 34 46 47 46 33 31 25

<표 145> 실험대상D의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U

Before U D U D U D D U U U U U D U

After S U U S S D U D S S D S D U

Ideal S D S D S D U S D S D S D D

Before S S D S U D U U S D D S D D

After D D S D S D U S D D S D D U

Ideal S U S U S D D S D S D S D

Before D U D U D D D U S S U U D

After U U S U U D S U S S D S D

Ideal 점수 인지도

Before 17 41.5%

After 26 63.4%

U:상행, D:하행, S:유지

Page 1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0

5) 실험의 측정치 분석

<표 146> <작은별> 가창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

실험대상 음정변화 인지도 상관관계계수

Before After

A 31.7% 65.9% 0.051 0.846

B 56.1% 73.2% 0.363 0.931

C 65.9% 80.5% 0.746 0.964

D 41.5% 63.4% -0.077 0.719

실험제재곡 <작은별> 가창을 분석해 보면, 음정변화 인지도 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에서 31.7% 에서

사후검사 65.9%로, 34.2%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

검사 0.051에서 사후검사 0.846으로, 0.795가 향상되었다.

[그림76]을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는 선율이 실험제재곡과는 상관

없이 불규칙 하게 상, 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부분적으로 음정이 이탈하는 부분도 보이지만 전체적

으로 사전검사에 비해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D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41.5%에서 사후검사 63.4%로, 21.9%가 향상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077에서 사후검사0.719로,

0.796이 향상되었으며 <작은별> 가창 실험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

계수의 변화를 나타냈다. [그림79]를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는

다른 실험대상자들에 비해 넓은 음역을 보이지만 정확한 음의

진동수와는 상관없이 불규칙하게 상․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선율을 거의 인식할 수 없다. 하지만 사후검사에서는 처음 부분에서

도약하는 음과 일시적으로 a’부분에서 음이 이탈하는 것을 제외

하고는 전체적으로 정확한 음의 진동수 값과 유사한 선율의 흐름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에서 56.1%에서 사후검사 73.2%

로, 17.1%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363에서

사후검사 0.931로, 0.568가 향상되었다. [그림77]을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는 음역이 전체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으나 a부분과

Page 1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1

a'부분에서 도약하는 음과 순차하는 음의 구별이 없어서 전체적으로

실험제재곡의 선율을 인식하기에는 힘들어 보인다. 반면 사후검사

에서는 반복되는 동일 음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조금씩 이탈되는

부분도 있지만 사후검사의 상관관계계수가 0.931로 나타났듯이

전체적으로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후검사 중,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실험

대상C는 사전검사에서 65.9%에서 사후검사 80.5%로, 14.6%가

향상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746에서 사후검사

0.964로, 0.218이 향상되었지만 사후검사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

관계계수를 보였다. [그림78]을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는 다소

음이 불안정 하게 낮아진다거나 부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부분도 있으나 다른 실험대상에 비해 음역이 넓으며, 전체적으로

실험제재곡 선율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또한 사후검사에서

음정변화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분적으로

음이 이탈 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실험제재곡 선율과

유사한 선율 흐름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2

V.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보정청력이 중등고도난청이하의 중복장애가 없는

청각장애학생들 4명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가창지도를

실시한 후, 가창력의 향상과 그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청각장애학생의 발성과 음악 수준을 고려

해서 간단한 리듬과 음의 도약이 크지 않은 동요 <작은별>을 선정

한 후,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대상자들의 리듬, 음정변화 인지도 등

을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8차시 동안 독보 및 Praat에 대한 사용

설명,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대상자와 실험 이후의 가창력 향상

변화에 대한 만족도를 개별적으로 인터뷰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로 리듬을

연습한 전과 후의 리듬의 정확도 경우,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 모두

정확도는 물론 크고 고른 발성의 향상을 보였다.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 에서 다른 대상자들보다 발성도 크고 고르며 2분 음표와

4분 음표를 정확하게 구분하였다. 반면 나머지 대상자들은 2분

음표와 4분 음표의 구분이 없으며, 발성도 작고 고르지 못했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대상자 모두 크고 고른 발성과 일정한 속도,

정확한 리듬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음정을 연습한 전과 후의 음정변화 인지도는 대부분의 대상

모두 인지도가 향상되었다. 음정실험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실험

대상자들은 사후검사에서 음정변화 인지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대상A는 음정실험에서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사전

검사 56.7%에서 사후검사 100%로 향상되었으며,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 36.7%에서 사후검사 100%로,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

76.7%에서 사후검사 100%로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대상D

역시 사전검사 46.7%에서 사후검사 100%로 향상 되었다. 또한

사후검사에서는 모든 실험대상자들의 상관관계계수가 0.96~1의

Page 1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3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즉, 사전검사와 달리 음정의 상행과 하행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계명창의 변화에서 먼저 실험

대상A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39.0%에서 80.5%로, 41.5%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후검사 0.934로 높게 나타났다.

사전검사에서 실험대상A는 전체적으로 동일 음들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음정의 상, 하행이 올바르게

불러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후검사에서는 부분적으로

동일 음이 이탈하기도 하지만, 0.934의 높은 상관관계계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사전검사에서 보다 음을 안정적으로 유지

하면서 부르며, 실험제재곡과 비슷한 선율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험대상B는 43.9%에서 78.0%로, 34.1%가 향상

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에서 0.469에서 사후검사 0.934

로, 0.465가 향상되었다.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에서는 음의 높낮이

와 방향이 거의 변화가 없이 노래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후검사에서는 사전검사 보다 전체적으로 선율흐름이 두드

러지게 나타나며, 특히 하행하는 선율을 잘 인지하고 부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동일 음을 안정적

으로 유지하면서 부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정변화의 인지도와 상관관계계수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C는 사전검사에서 음정변화 인지도가 41.5%에서 사후

검사 90.2%로, 48.7%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0.935로,

전체적으로 사전검사보다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거의 유사

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전검사에서는 동일 음의 음높

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음을 잘 조절하지 못하여

음이 낮아지는 부분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선율의 흐름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D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36.6%에서 사후검사 82.9%로, 46.3%가 향상 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253에서 사후검사 0.848로, 0.595가

향상되었다. 또한 <작은별> 계명창 실험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

계수의 변화를 나타냈다. 사후검사에서 실험대상자D는 전체적으로

선율선이 실험제재곡 보다 높게 나타나고, 반복되는 동일 음이

부분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이탈하기도 하였으나, 음정변화 인지도

Page 1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4

가 82.9%로 향상된 것을 보인 것처럼 전체적으로 선율의

상․하행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는 대상 모두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가창실험 중,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많은 향상

을 보인 실험대상A는 사전검사에서 31.7%에서 사후검사 65.9%로,

34.2%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051에서 사후

검사 0.846으로, 0.795가 향상되었다. 또한 사후 검사에서는 부분적

으로 음정이 이탈하는 부분도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사전검사에

비해 선율의 흐름이 실험제재곡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험대상B는 사전검사에서 56.1%에서 사후검사 73.2%

로, 17.1%가 향상되었으며,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363에서

사후검사 0.931로, 0.568가 향상되었다. 또한 사후검사에서는

반복되는 동일 음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조금씩 이탈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사후검사의 상관관계계수가 0.931로 나타났듯이 선율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실험제재곡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후검사 중, 음정변화 인지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실험

대상C는 사전검사에서 65.9%에서 사후검사 80.5%로, 14.6%가

향상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746에서 사후검사

0.964로, 0.218이 향상되었지만 사후검사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

관계계수를 보였다. 실험대상C는 사후검사에서 음정변화의 인지도

와 상관관계계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분적으로 음이 이탈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실험제재곡 선율과 유사한 선율 흐름

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많은 향상을 보인 실험대상D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 41.5%에서 사후검사 63.4%로, 21.9%가 향상되었다.

또한 상관관계계수는 사전검사 -0.077에서 사후검사0.719로,

0.796이 향상되었으며 <작은별> 가창 실험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

계수의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사후검사에서는 처음 부분에서 도약

하는 음과 일시적으로 a'부분에서 음이 이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실험제재곡 선율과 유사한 선율 흐름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age 1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5

다섯째, 대상자 모두에게 실험 이후, 자신의 가창력 변화에 대한

만족도를 인터뷰하였다.

인터뷰는 가창과 관련된 기초 질문들과 다른 하나는 실험에 대한

견해로 나눠서 인터뷰하였다. 우선 가창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음악

활동 경험과 가창에 대한 흥미 등을 알아보았다. 실험대상A는

1~2년간 개인적으로 음악 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관심으로 음악치료를 받은 경험도 있었다. 그리고 매일 음악을 들을

정도로 음악을 좋아하며, 노래 부르는 것 역시 좋아한다고 하였다.

또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음악회나 뮤지컬 등 다양한 공연을 보러

간다며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보였다. 실험대상B는 중학교

때까지는 남 앞에서 노래 부르는 것을 싫어했었지만, 이는 일반

중학교에 다녔을 당시 실험대상B의 자신감의 결여에서 온 것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은 다 함께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을 좋아

한다고 하였다. 실험대상C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음악을 즐겨

듣지만 노래 부르는 것 보다는 방과 후 수업에서 배웠던 난타

연습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하였다. 실험대상D는 자신의 목소리

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부르는 것보다 듣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하였으며, 하루 8시간 이상 음악을 들을 정도로 좋아

한다고 하였다.

본 실험의 효과에 대한 실험 대상들의 견해는 개인마다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공통된 의견은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Praat가 외국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사용법이 불편하다는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또한 여러 버튼을

눌러야 결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에는 조금 불편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하지만 본인이 부르는 음들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볼 수 있어서 음을 인식하고 부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실험 후, 그 전보다 음의 높이와 목소리 세기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음을 생각하면서 부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다. 또한 사람들 앞에서 노래 부를 때 더

자신감이 생겼으며, 계속 연습하면 더 잘 부를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을 나타냈다. 더불어 일반 사람들 못지않게 청각장애인도 할

수 있다는 의지와 자신감도 밝혔다.

Page 1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6

2. 제 언

음악을 느끼고 향유할 가치가 모든 사람들에게 있음에도 불구

하고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들에게 음악을 사용한다는 가능성을

사람들은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 들의 인터뷰

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잔존청력과 다른 다양한 감각으로

음악을 느끼고 향유하고 있었다.

많은 음악치료 연구에서도 밝혔듯이 언어와 음악은 유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청각장애인들에게 가창을 통하여 목소리의

사용을 늘린다거나 혹은 말소리의 패턴에 대한 인식을 증가 시킨

다면 언어 병리학자가 지적한 것처럼 그 전보다 훨씬 더 말소리의

리듬․음정․억양이 좀 더 자연스럽게 되는 등 소리 생성의 다른

측면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 가창 수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들의

청력 및 의사소통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청각장애인들에게 음악을

가르친다면 이는 즐거운 예술 형태가 될 뿐 아니라 치료를 위한

뛰어난 수단이 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노래 관련 활동을 통해 구어

발달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창교육은 자신의 목소리를 탐색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던 음역을

확대시키고 더 나아가 자유발성을 촉진시켜 언어를 발달시킬 수

있다. 이는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가창교육이 심리적으로나 치료적

으로 모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청각장애학생들에게도 지금보다 더 음악을 향유할 수

있도록 가창지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활동, 교재, 교구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인터뷰와 여러

실태조사에서도 밝혔듯이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이 음악을 좋아하며,

음악시간에 노래를 부르는 것이 즐겁고 또한 음악이 자신의 일상

생활과 감정변화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결여와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그리고 그들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 교재, 교구 등의 부족과

더불어 가창지도의 어려움으로 많은 청각장애학생들이 당연히 누려

Page 1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7

야 할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잔존청력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인공와우시술로 인해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청취 능력이 향상

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의 개발이 부족함을 여러

논문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 및 많은 수업현장

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가창지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활동, 교재, 교구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시각을 비롯한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한 음악 수업과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언어치료분야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시각, 촉각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그 효과성을 입증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도 리듬악기

위주의 수업과 연구들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과 연구는 청각장애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리듬교육 연구마저도 적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시각을 비롯한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한 음악교육 프로그램과 연구를 통해 그들에게 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열어 줄 필요가 있다.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밝힌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노원구에 위치한 A고등학교 2학년 학생 남,

여 4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창력을 판단하는 요소는 일반적으로 음고,

선율, 가사, 리듬, 박을 얼마나 정확하게 부르는가에 있는데 이를

음성분석 도구로 측정하고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있어서 실험대상 결과와 정확한

음의 진동수 차이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정

변화 인지도의 결과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의

Page 1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8

결과분석에 있어서 사용한 음정변화 인지도란 사전검사 대비 사후

검사에서 실험대상이 음의 상·하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 결과를 일반화 시키기

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넷째, 8차시에 걸친 짧은 실험기간으로 결과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Page 1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19

참고 문헌

강수경 (2006). 음악치료. 희망의 소리를 뿜어내다, 삼성소리샘복지

관 소식지통권 제 13호.

강정희 (1985). 청각장애아의 리듬교육에 관한 실험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권덕원외. (2006). 음악교육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10-213.

권은영 (2005). 청각장애학교 음악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대구대학

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김미은 (1989). 청각장애 유아의 음악을 통한 청능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김순연 (2005). 청각장애학교 음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대구

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김진숙 (2001). 청각재활의 이론과 실제. Journal of Hearing, 2001,

Autumn, 통원 제9호.

김희선 (2003). 고․ 심도 난청인의 보정청력 정도와 유형에 따른

악기 음색의 변별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나덕실 (2002). 피치파이프를 활용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청각장

애유아의 음정 및 리듬의 정확성에 미친 효과. 현장특수교육연

구보고서.

두미자 (2006). 통합수업이 청각장애학생의 흥미도 및 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논문.

박미혜 (2006).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ICT 활용 중학교 미술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백호현 (2011). 소리, 음악, 음악이론, 음향; 조율이론.

http://blog.naver.com/hymmmn

마효경 (2007). 코다이 교수법에 따른 활동 내용의 분석 연구; 초

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논문.

양병곤 (2003). Praat를 이용한 음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만수

출판사.

Page 1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0

어수지 (2005).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한 음도 치료 후 청각장애 성

인의 기본주파수변화.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 대학원 석사논문.

오영자 (1999).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모음 및 파열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우혜영 (2008). EG SPEECH를 이용한 조음치료가 정신지체 청소년

들의 마찰음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이규식 (1973). 청각교육. 서울: 배영출판사.

이도식 (2005). 노래, 가창 그리고 음악표현(가창교육론). 서울: 한

국교원대학교출판부.

이재식 (1992). 놀이음악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특수학급 아동의

가창력 신장. 특수교육총연합회.

이지현 (2006). CAI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아동의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재활과

연구소.

이홍수 (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 출판사.

장경화 (2006). 특수학교 음악교과의 이론과 실제(청각장애학교의

음악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학술저널. vol.22, no.2.

188-202.

최성규, 정미숙 (2004). 청각장애학교의 제 7차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저널 vol.39

No.1.287-310.

황혜옥 (2000). 가창력 결함의 유형별 지도방법연구.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 논문.

세광음악용어사전 (1999). 서울: 세광음악 출판사, 223.

피아노 관련 기술(2011). 서울: 일진사.

Anita Givens (2005). Learning &Leading with Technology Vol.32,

no.8.

Brick, R. M. (1973). Eurhythmics ; One aspect of audition, The Volta Review 75(3), 155-160.

Bridgehouse, Pamela L. (1978). Progressive Exercises for the

Tone Deaf. Music Educators Journal, V65 n3 p51-53 Nov

1978.

Darrow, A. (1985). Music for the deaf, Music Educators Journal,

Feb, 33, 44-56.

Page 1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1

Darrow, A. (1984). A comparison of the rhythmic responsiveness

in normal hearing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rhythmic

responsiveness to the suprasegmental aspects of speech

percep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 21: 48-66.

Darrow, A. (1987). An investigative study: The effect of hearing

impairment on musical aptitude. Journal of Music Therapy, 24(2): 88-96.

Darrow, A, (1979). The beat reproduction response of subjects

with normal and impaired gearing: An empirical comparison.

Journal of Music Therapy , 16:6-11.

Datillo. M. (1953). Music for the deaf. Bulleti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2(2), 158-168.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2002). 음악치료학 개

론(김수지, 고일주, 권혜경 공역). 서울: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De Berruecos, P. V. (1967). Music for the deaf child. International audiology, 6, 229-235.

Edwards, E. M. (1974). Music for the deaf. South Waterford, ME;

Merriam Eddy Co.

Edwards, E. M. (1975). Music for the exceptional child. MENC.

Gfeller, K. E. & Lansing C. R. (1991). Melodic, rhythmic, and

timbre perception of adult cochlear implant users. Journal of Speech Hearing Research 34: 916-920.

Gfeller, K. E. & Witt, S. (1997). A qualitative assessment of music

listening experiences by adult cochlear implant recipients.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National Conference Research Session, November 21. Los Angeles, CA.

Gfeller, K. E. Woodworth, G, Robins, D. A, Witt, S & Knuston, J. F.

(1997). Perception of rhythmic and sequential pitch patterns

by normally hearing adults and adult cochlear implant users.

Ear and hearing, 18: 252-260.

Houde, R. A. (1980) Evaluation of independent drill with visual aid

for speech training. In J. D. Subtelny(Ed), Speech Assessment and Speech Improvement, Washington D. C: Alexander

Graham Bell Association for the Deaf.

Hudgins, C. V. (1935). Visual aids in correction of speech. The Volta Review, 37, 637-643.

Page 14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2

Hummel, C. J. M. (1971). The value of music in teaching deaf

students, Volta Review, 73(4), 224-228, 243-249.

Kapla, P. S. (1975). Music and the hearing handicapped child.

MENC.

Korduba, O. M. (1975). Duplicated rhythm patterns between deaf

and normal hearing children. Journal of Music Therapy, 12(3),

136-146.

McDermott, E. F. (1971). Music and rhythms from movement to

lipreading and speech. The Volta Review, 73(4), 229-232.

Robbins, C. (1980). Music for the hearing-impaired. Magnamusic-

Baton.

Ryalls, J, Cloutier, M & Cloutier, D. (1991). Two clinical

applications of IBM's Speech Viewer: Therapy and its

evaluation on the same machine. Journal for Computer Users in Speech and Hearing, 7, 22-27.

Robert E. Owens. (2008). 의사소통 장애: 전생애적 조망 (김화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50.

Walczyk & Eugenia & Bulawa. (1993). Music Educators Journal, v80 n1 p42-44.

William L. Heward. (2007). 최신 특수교육 제8판 (김진호, 역). 서

울: 시그마프레스, 270.

Wolf, A. (1943). The dynamics of the selective inhibition of

specific functions in neurosis; A preliminary report.

Psychosomatic Medicine, 27-38.

Page 14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3

부록 1. <실험참가 학생들에 대한 설문(인터뷰)>

(1) 실험대상A

성명 실험대상A 학 년 2

진단

평가

순 응 청 력 좌( 95 )dB 우( 105 )dB

교 정 청 력 좌( 53 )dB 우( 65 )dB

질 문

1. 음악수업 중 가장 흥미 있는

영역은?(가창/기악/창작/연주/감상)

수업시간에는 가창을 좋아하며, 집에서 음악 듣는 것을

좋아한다.

2.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음악 청취 정도

희미하게 멜로디나 리듬의 진동을 느낄 수 있다.

3.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가창능력 정도

노래 부르는 것을 많이 좋아하며 가사를 외워서 매일

화장실에서도 부른다. 가수의 노래를 따라 하며 박자를 맞춰서

부를 수 있다. 목소리가 청량하고 우렁차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4. 가창에 대한 본인의 흥미도

많이 좋아한다.

5. 가창을 할 때 어려운 점과 그 이유는?

엄마가 어렸을 때부터 음의 높낮이를 알도록 시켰고, 유치원 때

받은 음악 치료나 보청기 회사에서 새의 그림으로 음의 높이를

따라 하는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목소리가 크고 우렁찬 것 같다.

Page 14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4

6. 음악 활동경험

초등학교 2학년 때 1년 반 정도 피아노를 배웠으며, 초등학교

6학년 때 1년 정도 클라리넷을 배웠다.

7. 본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음악과의 관련 정도

기분에 상관없이 거의 매일 음악을 들으며, 음악은 내 인생에

있어서 1순위이며, 나의 삶 그 자체이기 때문에 음악이 없으면

못 살 것 같다. 엄마와 함께 종종 음악회나 뮤지컬, 공연 등을

보러 간다. 또한 음악 관련 영화나 음악 관련 모든 정보를

수집하는 편이다.

1. Praat(시각적 피드백) 사용이 가창연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가?

지금까지 내가 몰랐던 음의 높이를 조금씩 알게 되어 내 자신이

기뻤으며, 또한 고치는 대로 노래를 불러보니 더 자연스러워 진

것 같다. 이 프로그램은 나에게는 너무 잘 맞으며, 다른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있으면 다 참여하고 싶다.

2. Praat사용에 있어서 어려웠거나 불편했던 점

처음에는 연습하는 것이 어려웠고, 어느 정도 불편했지만 이제는

익숙해져서 괜찮다.

3. 가창 실험 후 음악이나 가창에 대한 나의 관심 정도와 태도에

변화가 있는가?

노래하는 것을 워낙 좋아했는데, 더 높아진 것 같다. 또한

가창력이 좋은 가수들을 보면 나도 노래를 더 잘하고 싶은

욕심이 난다. 엄마가 노래를 좋아해서 어렸을 때 나를 혹독하게

노래연습(음 높이)을 시켰는데 그 때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것 같다.

4. 본인 생각에 실험 후 가창 실력이 그 전보다 향상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예전보다 자연스럽게 노래를 하게 된 것 같으며, 전반적으로

가창 실력이 늘은 것 같다.

Page 14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5

5. 향상되었다면 자신의 가창실력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앞으로 더 잘하고 싶은 욕심이 있기 때문에 내가 할 수 있는

그날까지 계속 연습하고 싶으며, 일반 사람들 못지않게

청각장애인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2) 실험대상B

성명 실험대상B 학 년 2

진단

평가

순 응 청 력 좌( 70 )dB 우( 72 )dB

교 정 청 력 좌( 65 )dB 우( 70 )dB

질 문

1. 음악수업 중 가장 흥미 있는

영역은?(가창/기악/창작/연주/감상)

같이 따라 부르는 가창수업을 좋아함. 특히 장구 치면서 민요

부르기를 좋아함.

2.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음악 청취 정도

음과 가사를 약간은 알 수 있다. (크게 틀면)리듬과 느낌은 알고

듣는다.

3.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가창능력 정도

악보는 읽지 못하나 가사를 보고 따라 부르는 것을 좋아하고

음정은 안 맞는다는 것을 알지만 느낌으로 부른다.

4. 가창에 대한 본인의 흥미도

일반 중학교에 다닐 때에는 남 앞에서 노래 부르는 것을

싫어했으나 (장애)고등학교 때부터는 편하게 부를 수 있다.

Page 14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6

5. 가창을 할 때 어려운 점과 그 이유는?

내가 부르는 음의 높이가 잘 느껴지지 않아서 부르고 있어도

잘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또한 세기나 높이는 몰라도 리듬은

어느 정도 따라 할 수 있다.

6. 음악 활동경험

거의 없다.

7. 본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음악과의 관련 정도

가끔 쉬는 날 TV(인기가요, 뮤직 뱅크)등을 본다.

1. Praat(시각적 피드백) 사용이 가창연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음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2. Praat사용에 있어서 어려웠거나 불편했던 점

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헷갈리며, 내가 부른 노래를 저장할 때

여러 버튼을 눌러야 해서 불편했다.

3. 가창 실험 후 음악이나 가창에 대한 나의 관심 정도와 태도에

변화가 있는가?

그냥 부르지 않고 아주 진지하게 음의 높이를 생각하며 부르게

된 것 같다.

4. 본인 생각에 실험 후 가창 실력이 그 전보다 향상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그 전에는 무조건 크게 부르곤 했으나 이제는 전보다 음의

높이와 목소리의 세기를 생각하며 부르게 되어서 조금이나마

알게 된 것 같다.

5. 향상되었다면 자신의 가창실력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Page 14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7

예전보다는 음의 높이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음의 높이나 목소리의 세기가 좋아진 것 같아서 자신같이 조금은

생긴 것 같다. 계속한다면 더 잘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3) 실험대상C

성명 실험대상 C 학 년 2

진단

평가

순 응 청 력 좌( 54 )dB 우( 115 )dB

교 정 청 력 좌( 40 )dB 우( 無 )dB

질 문

1. 음악수업 중 가장 흥미 있는

영역은?(가창/기악/창작/연주/감상)

고2때는 음악 수업이 없었고, 고1때는 음악 수업 중에서 연주와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했다.

2.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음악 청취 정도

큰 소리가 나는 리듬의 진동을 느낌으로써 음악을 재미있게

듣는다.

3.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가창능력 정도

높은 음을 잘 느끼지 못하지만 가요를 연습하면서 따라 부른다.

4. 가창에 대한 본인의 흥미도

관심이 많다.

5. 가창을 할 때 어려운 점과 그 이유는?

높은 음을 잘 느끼지 못해서 부르지 못하지만 그냥 느끼는 대로

부르곤 한다.

Page 14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8

6. 음악 활동경험

악보는 잘 보지는 못하지만, 고 2때부터 방과 후 수업으로

난타를 배우고 있다.

7. 본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음악과의 관련 정도

화가 날 때도 들으며, 평소에도 많이 듣는다. 주로 가요나 팝을

많이 듣는다.

1. Praat(시각적 피드백) 사용이 가창연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가?

스스로 음을 내고 나의 목소리를 들으려고 하기 때문에 음을

조절하는 연습이 된 것 같아 도움이 된 느낌이 든다.

2. Praat사용에 있어서 어려웠거나 불편했던 점

영어 때문에 조금은 불편했지만 그래도 할만 했다.

3. 가창 실험 후 음악이나 가창에 대한 나의 관심 정도와 태도에

변화가 있는가?

예전보다 더 음악에 관심이 많아졌다. 특히 노래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이 신경 쓰게 됐다.

4. 본인 생각에 실험 후 가창 실력이 그 전보다 향상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향상 되었다고 생각한다.

5. 향상되었다면 자신의 가창실력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90%정도 만족감이 느껴진다. 사람들 앞에서 노래 부르는 데 더

자신감이 높아진 것 같다. 이번 졸업생들 앞에서 노래 부를 때

음을 맞게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또한 메가 TV에서

노래를 부르는 데 음정, 박자가 잘 맞으면서 점수가 그 전보다

올라갔다.

Page 14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29

(4) 실험대상D

성명 실험대상 D 학 년 2

진단

평가

순 응 청 력 좌( 94 )dB 우( 118 )dB

교 정 청 력 좌( 70 )dB 우( 無 )dB

질 문

1. 음악수업 중 가장 흥미 있는

영역은?(가창/기악/창작/연주/감상)

감상수업을 좋아함. 평소에도 음악 듣는 것을 좋아한다.

2.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음악 청취 정도

음악을 들을 때에 가사를 들으면서 리듬을 느낀다. 그리고 가사를

듣고 발음 연습을 하거나 글씨로 써보기도 한다.

3.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가창능력 정도

워낙 노래 부르는 것보다 듣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잘 부르지는

못하지만 느낌으로 부르곤 한다.

4. 가창에 대한 본인의 흥미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5. 가창을 할 때 어려운 점과 그 이유는?

노래 부르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으며, 또한 노래할 때

목소리를 조절하기 힘들어서 잘 부르지 않는다.

6. 음악 활동경험

초등학교 1학년~3학년 때까지 피아노를 배웠고, 초등학교 4~5학년

때까지 장구, 북 등을 배웠다. 그래서 현재까지 악보는 볼 수

있다.

Page 14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0

7. 본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음악과의 관련 정도

하루에 대략 8시간 정도 음악(대부분 가요)을 듣는다. 가끔 드림

콘서트 등을 보러 가기도 한다.

1. Praat(시각적 피드백) 사용이 가창연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가?

전보다는 음의 높이를 알 수 있어서 약간 도움이 되었다.

2. Praat사용에 있어서 어려웠거나 불편했던 점

별로 없었다.

3. 가창 실험 후 음악이나 가창에 대한 나의 관심 정도와 태도에

변화가 있는가?

음의 높이를 생각하게 되어서 전 보다는 약간 도움이 되었다.

4. 본인 생각에 실험 후 가창 실력이 그 전보다 향상 되었다고

생각하는가?

목소리 조절하기가 힘들었지만, 결과로서는 조금 만족한다.

5. 향상되었다면 자신의 가창실력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목소리 조절하기가 힘들었지만 예전보다는 음의 높이 등을

생각해서 부르기 때문에 좀 나아진 것 같다. 하지만 노래 부르는

것을 원래 좋아하지 않아서 여전히 자신감은 없다.

Page 15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1

부록 2. Praat 사용법

[Praat 사용법]

1. Praat 다운 받기

- Http://www.fon.hum.uva.nl/praat/

2. Praat 실행

3. Praat 메뉴창에서 New 클릭 ⇨ Record stereo Sound 클릭

Page 15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2

4. Record 녹음 ⇨ Stop ⇨ Save to list & close

5. Periodicity ⇨ To Pitch 클릭

Page 15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3

6. OK 클릭

7. Smooth 클릭

8. OK 클릭

Page 15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4

9. Edit 클릭

10. 자신이 부른 노래의 음고값이 나타남

Page 15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5

부록 3. 수업지도안

Praat를 이용한 청각장애학생들의 가창력 향상에 관한 실험연구

<작은별> 실험과정

차시 연 구 내 용

1 <작은별> 독보연습 및 Praat사용법 설명과 사전검사 실시

2 a부분 리듬/ 음정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3 a부분 계명창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4 a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5 b부분 음정과 계명창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6 b부분 계명창과 가사 연습과 전체 연습-해당 차시에 대한 사후검사

7 <작은별>사후검사

8 실험 대상자와 인터뷰

Page 15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6

단원 <작은별>사전검사 차시 1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1

.

1. 다음 리듬 악보를 보고 리듬에 맞게 부르시오.

(발음하기가 불편할 경우 본인이 부르기 편한 음절로 불러도 상관없음.)

▶ 리듬테스트

- a만 부르기, 전체 부른다.

(a. b 리듬 동일함)

Page 15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7

2

.

2. 다음 음정을 보고 음정에 맞게 부르시오.

(본인이 부르기 편한 음절로 부르시오.

그리고 한 문제를 부르고 난 후, 지시에 따라 다음 음정을 부르시오.)

(1) (2) (3)

(4) (5) (6)

(7) (8)

(9) (10)

▶ 음정테스트

- 음정 테스트

<작은별>에 나오는 음정 테스트

Page 15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8

3

.

3. 다음 곡을 보고 부르시오.

(부르기 편한 음절 (예; 아, 이, 음 등)또는 계명으로 부르시오.)

4. 다음 곡을 보고 부르시오.

(부르기 편한 음절 (예; 아, 이, 음 등)또는 계명으로 부르시오.)

5. 다음 곡을 보고 부르시오.

(부르기 편한 음절 (예; 아, 이, 음 등)또는 계명으로 부르시오.)

▶ 전체 테스트

- 계명이나 본인이 부르기 편한 음절로

부르기(전체)

Page 15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39

4

.

6. 다음 곡을 보고 음정과 리듬을 생각하며 부르시오.

(작은별 가사로 부르시오.)

7. 다음 곡을 보고 음정과 리듬을 생각하며 부르시오.

(작은별 가사로 부르시오.)

8. 다음 곡을 보고 음정과 리듬을 생각하며 부르시오.

(작은별 가사로 부르시오.)

▶ 가사 붙여 전체 테스트

- 악보 보고 가사로 부르기(전체)

Page 15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0

단원 <작은별> a부분 리듬/ 음정 연습 차시 2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 a 부분(4마디) ICT화면

작은별

[그림1] 작은별의 a부분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a부분 예시

▶ Praat 사용법과 a 부분(4마디)를

연습한다.

-Praat 사용법을 익힌다.

- a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ICT화면(혹은 프린트 악보)과

Praat(음정과 리듬을 정확하게 맞추어

부른 예시화면)화면을 보여준다.

Page 16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1

1

.

4분음표(1박 ∨) = 2분음표(2박 ∨∨) =

① ②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타 타 타 타 타 타 타아

▶ a 부분 리듬연습 (코다이 교수법

이용-리듬 읽기 연습 참고)

- PPT화면으로 4/4박자 개념을

설명한다.

(4분음표( )를 기본박으로 하며, 한

마디안에 4분음표가 4개씩 들어가는 강/

약 /중간 /약 의 강약을 갖는 박자이다.)

- PPT화면을 보면서 a부분에 나오는 다양한

리듬을 손뼉을 치면서 한 음절로 따라

연습한다.

- 왼손으로 (엄지=하나/ 검지=둘/

중지=셋/약지=넷)박자를 세면서 연습한다.

- 연습한 리듬이 정확한지 Praat로 녹음하고

확인한다.

(Praat에 나타난 선의 길이로 확인할 수

있다.)

Page 16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2

2

.

(2) a부분 음정연습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음의 진동수]

▪ 도솔의 음정과 Praat(도솔음정 음고) 예시

▶ a부분 음정연습

- a부분에 나오는 각각의 음정들을

Pitch값과 Praat 화면을 보면서 연습한

후, Praat로 녹음하고 확인한다.

- 상반신을 이용해 음정의 높이를 익힌다.

(오른손으로 음의 위치를 짚으면서 음고를

익힌다.)

-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코다이 손기호를 응용함)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주어진 진동수 차이를

나타낸 표와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나간다.

- 다음 음정들을 Praat로 녹음하고

확인하면서 연습한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이 부른 노래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 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Page 16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3

# 다음 음정들을 연습하시오.

(1) (2) (3)

(4) (5) (6)

(7) (8)

(9) (10)

Page 16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4

단원 <작은별>a부분 계명창 연습 차시 3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a부분

계명

연습

▶ a 부분(4마디) ICT화면

작은별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그림1] 작은별의 a부분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a부분 예시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음의 진동수]

▶ a부분 계명창 연습

a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계명으로

부른다.

- 상반신을 이용한 음정연습을 시용해서

계명창 연습을 한다.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 a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부른 후

Praat로 녹음한 후 확인한다.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평가표를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나간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이 부른 노래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 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Page 16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5

단원 <작은별>a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 및 전체 연습 차시 4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b

▶ a부분(4마디) ICT화면

작은별

도 도 솔 솔 라 라 솔 파 파 미 미 레 레 도

[그림1] 작은별의 a부분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a부분 예시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음의 진동수]

▶ a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

- 지난 시간에 연습한 계명창을 다시

부르고 연습한다.

Page 16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6

b

▶ a 부분(4마디) 가사화면

작은별

[그림1] 작은별의 a부분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a부분 예시

▶ a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가사로

부르는 연습을 한다.

- a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Praat로

녹음한 후, 확인한다.

- 상반신을 이용한 음정연습을 사용해서

연습한다.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 a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Praat로

녹음한 후 확인한다.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평가표를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나간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 이 부른 노래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 발음에 신경 쓰다 보면 음의 Pitch가

떨어질 수 있으니 유의하며 연습한다.

Page 16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7

단원 <작은별>b부분 음정과 계명창 연습 차시 5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도입

▶ b부분(4마디) ICT화면

작은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그림1] 작은별의 b부분예시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b부분 예시

▶ b부분 음정과 계명창 연습

-실험 과제곡의 b부분(4마디)을 실험한다.

- 오늘 실험 과제곡 b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ICT화면(혹은 프린트 악보)과

Praat(음정과 리듬을 정확하게 맞추어

부른 예시화면)화면을 보여준다.

Page 16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8

b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음의 진동수]

# 다음 음정들을 연습하시오.

(1) (2)

(3) (4)

- b부분에 나오는 음정을 연습한 후 Praat로

녹음하고 확인한다.

- 상반신을 이용한 음정연습을 사용해서

연습한다.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평가표를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

나간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이 부른 노래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Page 16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49

b

작은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그림1] 작은별의 b부분예시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b부분 예시

▶ b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부른다.

- 상반신을 이용한 음정연습을 사용해서

계명창 연습을 한다.

- 상반신을 사용한 음정연습을 이용해서

연습을 한다.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평가표를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나간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이 부른 노래 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Page 16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50

단원 <작은별>b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 및 전체 연습 차시 6 / 7 학 년 고등학교 2

단계 자 료 교 수 활 동

b

▶ b부분(4마디) ICT화면

작은별

솔 솔 파 파 미 미 레 솔 솔 파 파 미 미 레

[그림1] 작은별의 b부분예시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b부분 예시

음이름 도-솔 솔-라 솔-파 파-미 미-레 레-도

여자(진동수차이) 130 48 43 19 36 32

남자(진동수차이) 65 24 21 10 18 16

[음의 진동수]

▶ b부분 계명창 연습과 가사 연습

- 지난 시간에 연습한 계명창을 다시

부르고 연습한다.

Page 17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51

b

▶ b 부분(4마디) 가사화면

작은별

[그림1] 작은별의 b부분예시

[그림2] Praat로 본 <작은별> b부분 예시

▶ b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가사로

부르는 연습을 한다.

- b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Praat로

녹음한 후, 확인한다.

- 상반신을 이용한 음정연습을 사용해서

연습한다.

(허리=도/ 가슴=레/ 어깨=미/ 턱=파/

눈=솔/ 머리=라)

- b부분을 음정과 리듬에 맞추어 Praat로

녹음한 후 확인한다.

- 본인이 부른 노래가 Praat화면에 음의

진동수로 나타나면 평가표를 비교하며

틀린 부분은 연습을 통해 계속해서

고쳐나간다.

- 위에 제시된 음의 진동수의 값을 보고

본인이 부른 노래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 위의 보기에서처럼 Praat화면에 나타난

굵은 선을 클릭하면 본인이 부른 음정의

Pitch 값이 나타난다.

- 발음에 신경 쓰다 보면 음의 Pitch가

떨어질 수 있으니 유의하며 연습한다.

▶ a/b/a’를 연결해서 연습한다.

# 7차시 <작은별>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순서 및 내용이 동일함.

Page 17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52

Abstract

The improvement of singing abiliti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by using Praat

Shin, Hye-kyung

Interdisciplinary Music Education Major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Human beings have the right to have the opportunity to aesthetic experiences

that is essential to human life, through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o teach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 because that could be helpful to them in terms of

therapeutic language, psychological stability. For the more, song-related

activities could help foster spoken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inging abilitie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especially cognitive skills development on note, by

using visual feedback (Praat: analysis program of speech in phonetics), and

observes the satisfaction of this test.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seeking

direction of meaning in music education to hearing-impaired students.

In this study, this test was conducted with four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are sophomores in high school and have calibrated moderate severe

hearing loss (56~70dB), and selected the children's song ‘little star’, which

has simple rhythm and small leap of note, as the test song by considering

student's vocalization and level of music. Then, eight experiments and two

individual interviews were 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subjects practiced rhythm by using Pra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improved in good vocalization and regular tempo, the exact rhythm.

Page 17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 · 넷째, Praat로 실험제재곡을 연습한 후, 가창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대상 전원의 음정변화 인지도의 평균이

153

Second, after subjects practiced pitch, accuracy of the descending notes

lower than accuracy of the ascending notes, also accuracy of chromatic

interval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intervals. However, results showed

that overall accuracy of pitch and note was also improved.

Third, after subjects practiced the test song using sol-fa,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 to change pitch than the test before using Praat. Often

the same sound or that, such as narrow escape, may partially appear deaf

vocalization characteristic phenomena, but subjects sang a song stably

maintained notes and widely range of vocal.

Fourth, after subjects practiced the test song by using lyrics, melodic flow

wa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song, and more reliable than the test before

using Praat.

Finall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individual views about

singing and basic questions about experiments. Three of the subjects like to

listen to pop and popular music, they don't sing well but like to sing along

with song. The other does not feel well and often voice was not well

controlled, but likes to listen to music and practice pronunciation along lyrics,

also showed interest in music. And the consensus among the subjects, that was

pretty inconvenient because Praat is foreign software. However subjects said

it can be helpful to control the voices because they can see exactly the pitch.

In conclusion, many of us would overlook to teach hearing-impaired

students music via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 However, in this

interview, as you can see, they could feel the music enjoyed through the

various senses and residual of hearing. Therefore, they are badly in need of

development music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activities, textbooks,

teaching aids, etc. by using various sens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more opportunities to take music lessons via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

Keywords : hearing-impaired music education, improvement of singing

abilities, visual feedback

Student Number : 2006-21705


Recommended